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러시아 북극권 지역에서의 자원/ 물류 전쟁: 현황과 이슈

        한종만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4 한국시베리아연구 Vol.18 No.1

        temp 2007년 여름 캐나다 북극해의 빙하가 녹으면서 처음으로 북서항로가 개통되었으며, 2007년 8월 초 러시아의 북극점 인근해역에 티타늄 러시아국기 게양 사건 이후 정치계, 국제기구, 학계, 비정부단체(NGO), 매스미디어에서 북극이 주요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달과 지구 온난화 현상 등으로 인해 인간의 생활공간 이 북쪽으로 올라가야만 하는 상황으로 바뀌고 있어 북극권은 지정학적 가치의 중요성뿐만 아니라 지경학적 가치로서 육해공의 통합물류시스템의 잠재력이 높은 지역으로 지구상에 남은 마지막 처녀지이며, 자원의 보고지역으로 부각되고 있다. 실제로 북극양의 빙하가 녹으면서 북극항로(북동항로, 북서항로, 북극점 경유 항로)의 이용 가능성, 풍부한 연료 및 원료자원과 수산자원과 관광자원의 이용과 채굴이 용이한 상태로 변모하면서 북극권 국가뿐만 아니라 비 북극권 국가(EU와 한중일 등)들의 북극에 대한 관심도 고조되고 있다. 북극의 이용과 개발과정에서 여러 형태의 협력과 갈등이 상존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제2장에서는 ‘러시아 북극권의 자원과 물류 잠재력’을, 제3장에서는 ‘러시아 북극권 개발전략’을 개관한 후 제4장에서는 ‘러시아 북극권 자원/물류 부문의 갈등과 협력 가능성’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러시아 북극권 개발이 주는 시사점을 분석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북극권의 진출로 오호츠크 해와 베링 해 지역연구: 선적활동과 장애요인

        한종만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8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2 No.1

        Global warming in the Arctic region is twice as fast as that in other regions. Arctic sea ice in summer keeps renewing its lowest extent every year since 2010, which has been monitored by satellite observations since 1970s. This decrease of Arctic sea ice is expected to benefit the usage of the Arctic route, and developments and utilizations of energy, fishery, and ecotourism resources in the Arctic Circle. The vessels in the Russian Far East and the vessels of Korea, China, and Japan using Arctic shipping route, which includes the Northeast Passage, the Northwest Passage, and the Transpolar Sea Route, trail the Bering Strait, through the East Sea, the Sea of Okhotsk, and the Bering Sea. Therefore, developments in the Arctic region and shipping activities across the Bering Strait are expected to increase steadily. Although the developments and increased shipping activities can raise risks of accidents and harm the ecosystem, not only infrastructure for prevention and post-management of accidents is lacking, but also national, bilateral, and multilateral governance system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has not been settled. Sustainable ecosystem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developments, uses of the Arctic route, and the governance. In this article, Chapter 2 outlines the physical and human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a of Okhotsk and the Bering Sea. Chapter 3, the current status and analysis of marine activity in the study area, contemplates the trade structure and current status of importation and exportation, ports, and shipment through the Aleutian Islands and the Bering Strait. Chapter 4 explores the obstacles to the Arctic route and activation strategies for the route. 북극 지역의 온난화는 기타 지역보다 2배나 빠르게 상승하고 있으며, 1970년대 인공위성 관측을 시작한 이래 2010년부터 여름철 북극해 얼음 규모는 매번 최소치를 갱신하고 있다. 북극해의 해빙으로 북극항로의 이용과 북극권의 자원/에너지 개발, 수산자원의 활동, 생태관광자원의 이용가능성을 높여주고 있다. 러시아 극동지역과 한중일의 선박은 동해 , 오호츠크 해, 베링 해를 거쳐 베링해협을 통과해야만 가능한 북극항로는 북동항로, 북서항로, 북 극점 경유 항로로 구분된다. 북극개발과 베링해협 통과 선적활동은 꾸 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북극권 개발과 선적활동과 증가로 야기되는 여러 형태의 사고 위험 성과 부정적 생태계의 변화 가능성도 병행되고 있으며, 사전 및 사후 사고 예방을 위한 인프라 시설의 부족과 부재뿐만 아니라 환경보호를 위한 국가별, 쌍무간, 다자간 거버넌스 시스템도 정착되지 않은 상황이 다. 개발과 항로 이용과 거버넌스는 지속가능한 생태계에 기반을 둔 차 원에서 이루어져야만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 제2장은 오호츠크 해, 베링해협과 베링 해 남부와 북부 지역의 자연 및 인문 지리적 특성을 개관한 후 제3장 연 구공간 해양활동의 현황과 분석에서는 수출입 현황과 구조, 항구 현황, 알류샨열도와 베링해협 통과 선적 현황을 고찰한다. 제4장에서는 북극 항로의 장애요인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한다.

      • KCI등재

        LNG선 화물격납용기 Invar strake edge 이음부 형상 개선에 관한 연구

        한종만,Han, Jong-Man 대한용접접합학회 2009 대한용접·접합학회지 Vol.27 No.5

        The membrane of the LNG carriers consists of thin strips of INVAR(Fe-36%Ni) steel plates, and the junction between INVAR strips is fabricated by welding. Thousands of the raised edge joints, regularly spaced, are located around all the side of the tank corner near the transverse bulkhead, and TIG welding is manually made on the top of the raised edges. Since the thickness of all the laminated edge plies is extremely thin and the weld position is under a bad accessibility, highly skilled workers are required to perform welding relatively for a long welding time. An alternative scheme for the corner membrane fabrication is proposed in the study to improve the installation workability and thus productivity. The scheme replaces the welded edges with the preformed corrugation ones. A panel strip with regularly-spaced corrugations is installed at the corner instead of the individual flat strip of which edge is vertically raised to be welded with the adjacent strip. In the study, a series of the evaluation on the corrugated edge members was performed to assess the applicability to the real LNG carrier fabrication. Opening displacement at the raised edge was experimentally examined. Elastic stiffness regressed from the displacement was nearly same in both edge types. Edge displacement and local stresses were calculated under hydrostatic pressure and temperature change due to liquefied cargo. Fatigue test was performed on both corrugated and welded edge specimens consisting of two or five plies of invar strips. Fatigue strength of the corrugated specimens was not less than that of the welded specimens.

      • KCI등재

        북극권의 진출로 오호츠크 해와 베링 해 지역연구: 지속가능한 개발협력과 시사점

        한종만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9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3 No.1

        The decrease of Arctic sea ice is expected to trigger the opening of the Arctic route, and the development & utilizations of energy, fishery, and ecotourism resources in the Arctic Circle. Arctic issues such as territorial problems, extended continental shelf, commercial shipping, resource development, fisheries activities, endangered species, environmental disasters, ship accidents,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ncreased military activities will soon be transformed into arena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or competition and conflicts in the near future. In this article, from the polito-economic perspective Chapter 2 and Chapter 3 outline the conflict and competition factors in the Sea of Okhotsk and the Bering Sea. In Chapter 4, I analyz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cooperation that can draw a win-win strategy in the Arctic countries as well as the non-Arctic countries by creating ideas that may alleviate conflicts and competitions. Chapter 5 explores the positive and negative functions in the process of sustainable development cooperation, and draws implications for S. Korea’s entry into the Arctic. 북극해 얼음과 빙하가 녹으면서 영토문제, 대륙붕 외연 경계 문제, 상업적 선적, 자원개발, 수산 활동, 멸종위기 종, 환경재난, 선박사고, 지속가능한 개발, 증대되는 군사 활동 등의 북극 이슈는 가까운 장래에 북극이 국제 협력 혹은 경쟁과 갈등의 아레나로 변모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제2-3장에서는 연구공간에서 갈등과 경쟁 요인을 정치경제 관점에서 고찰한 후 제4장에서는 갈등과 경쟁을 완화할 수 있는 아이디어 창출을 통해 북극권 국가뿐만 비북극권 국가들도 윈윈(win-win)할 수 있으며 지속가능한 협력 내역을 분석한다. 제5장에서는 지속가능한 개발 협력과정에 나타나는 역기능과 순기능을 고찰하면서 한국의 대북극 진출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