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소기업 연쇄도산 방지를 위한 매출채권 팩토링제도 도입운용방안 연구

        한종관 중소벤처기업연구원 2017 중소기업정책연구 Vol.2 No.2

        "There are various payment and settlement systems in Korea, such as commercial bills, accounts receivable mortgage loans, corporate purchase loan, corporate card for purchase-only, mutual growth payment system, etc. These systems are all effective in revitalizing transaction between companies, but each one has different kinds of problems. First, in the case of discounting on commercial bills and accounts receivable mortgage loans, client companies are exposed to the risk of chain bankruptcy, because banks exercise their right to recourse if a customer company fails to make payment. Second, corporate purchase loan and corporate card for purchase-only are effective measures that provide customer companies with funds for payment, but a lot of financial costs relatively will be incurred. Third, the mutual growth payment system has no risk of chain bankruptcy caused by the right to recourse. However, there is a critical limit to universal utilization because only SMEs in partner -ship with large enterprises are eligible for this system. This research suggests the introduction of “Accounts Receivables Factoring System without Recourse” as an alternative that can complement the weak points of existing settlement systems in financing, risk hedge, chain bankruptcy prevention, financial structure improvement, compliance with the international norms, and universal applicability." "우리나라는 상업어음, 외상매출채권담보대출, 기업구매자금대출, 기업구매전용카드, 상생결제제도 등과 같이 다양한 지급 결제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이 제도들은 기업 간 거래를 활성 화하는 효과가 있지만 각각 다른 문제점을 갖고 있다. 첫째, 상업어음할인 및 외상매출채권담보대출은 구매기업이 지급결제를 하지 못할 경우 은행이 상환청구권을 행사하기 때 문에 판매기업들이 연쇄도산의 위험에 처하게 된다. 둘째, 기업구매자금대출 및 기업구매전용카드는 구매기업의 지급결제를 원활하게 하는 유용한 제도이지만 상대적으로 많 은 금융비용이 발생된다. 셋째, 상생결제제도는 상환청구권이 없어 연쇄도산의 위험은 없다. 그러나 대기업과 협력관계에 있는 중소기업만이 이용 할 수 있기 때문에 보편성이 부족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급결제제도의 문제점 해결을 위한 대 안으로 ‘상환청구권 없는 매출채권 팩토링제도’의 도입방안을 제시한다. 이 제도는 자금조달, 리스크 헷지, 연쇄도산 방지, 재무구조 개선, 국제규범 부합, 적용의 보편성 등 기존 제도의 문제점을 모두 보완할 수 있는 선진적 금융제도이므로 적극적 인 도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

      • KCI등재

        회계정보를 활용한 비상장 중소기업 가치평가모형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한종관,한길석,김성규 한국경영교육학회 2015 경영교육연구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intrinsic value of equity is useful in discriminating a financially healthy unlisted SME from an unhealthy one. Since fair-market values are unobservable for private stocks, this study uses surrogate figures estimated from models like RIM(residual income valuation model) such as EVA(economic value added), CT(Claus and Thomas, 2001) and Ohlson(1995). DCF(discounted cash flow) model is also tested for comparion with RIM. Data is extracted from the database unlisted SMEs maintained for and used in rendering guarantees by KODIT(Korea Credit Guarantee Fund. Quasi-population (sample data) of this study is 118,990 firm/years observation and each firm should have at least three consecutive financial statements and total assets over one billion won.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see if equity value estimates would have incremental usefulness in partitioning the sample into the bankrupt firms and the non-bankrupt ones. In the analyses, five financial ratios which were selected as best predictors of SME default study in Altaman and Sabato(2007) were employed as control model(variables). Empirical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all the equity value estimates considered in this study seem to have incremental explanatory power over and above control model in predicting business failures of unlisted SMEs. Among the estimates, the EVA estimate displays the highest discerning power and the DCF estimate shows the least predictive capabil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RIM, whose implications in understanding accounting phenomena for public firms have widely been delved into, have the potential to assist creditors and credit-guarantors render rational decisions in assessing financial risks of unlisted SMEs. This study is one of the initial contributors to the research along this line of field. 본 연구는 회계수치를 이용한 기업가치평가모형으로서의 초과이익할인모형(RIM)이 채권자인 금융기관의 입장에서 비상장 중소기업과 관련된 경제적 의사결정을 수행함에 있어 얼마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 표본은 신용보증기금이 보유하고 있는 자료 중 총자산 10억원 이상이고 3년 연속으로 재무제표를 보유하고 있는 비상장 중소기업 118,990개/년 자료이다. 검토대상 RIM은 김권중(2012)에서 제시된 영업초과이익할인모형(EVA)과 Claus and Thomas(2001)의 CT모형 그리고 Ohlson(1995)의 Ohlson모형이다. 비교대상 기업가치평가모형으로 현금흐름할인법(DCF)에 해당하는 FCF모형을 추가하였다. 실증분석방법으로는 Altman and Sabato(2007)가 중소기업 부실예측에 유용한 변수로 제시하고 있는 다섯 가지의 회계변수를 통제변수(모형)로 설정하고, 이 통제모형에 기업가치를 자기자본으로 나눈 기업가치변수와 현재 금융실무계에서 신용공여한도 산출시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매출액 기준 운전자금사정한도를 자기자본으로 나눈 WDC를 검토변수에 추가하였다. 검토변수에 대하여는 다변량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건전기업과 부실기업의 차이(변별력)에 대한 증분적인 설명력을 갖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으며, 자기자본 기업가치한도가 운전자금사정한도에 대한 대체적인 검토수단이 될 수 있는지도 함께 검토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RIM(EVA, CT, Ohlson)은 모두 통제모형에 추가될 경우 그 모형의 부실예측력이 향상되기 때문에 각각의 기업가치변수는 독립적으로 추가적인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FCF모형과 WDC는 모두 추가적인 설명력을 보이지 아니하여 중소기업과 관련된 경제적 의사결정에 유용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매우 의미있는 시사점을 보여주고 있다. 첫째, 비상장 중소기업 가치평가 실무에서 DCF모형 보다는 RIM이 더욱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DCF모형은 많은 한계점을 보유하고 있어 실무에 사용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둘째, 기업가치에 의한 자기자본한도는 금융기관이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운전자금사정한도에 대한 대체적인 한도산정방법으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중소기업에 대한 여신한도를 부여할 때 매출액을 기준으로 산출하는 매출액한도 뿐만 아니라 기업가치에 의한 자기자본한도를 추가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 KCI등재

        시공자 중심의 주요 공종별 공기지연 원인분석에 관한 연구

        한종관(Han Jong-Kwan),진상윤(Chin Sangyoon),김예상(Kim Yae-Sang) 대한건축학회 2003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19 No.3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rive the factors that affect construction delays in apartment housing projects for effective construction planning and controls and furthermore for proactive claim managements. Based on the contractors' points of view, interview and questionnaire surveys with construction practitioners were conducted to derive delay factors by each of major trades such as earth work, superstructure work, masonry work, window/door work, and interior finish work.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o determine the degree of importance on each of the delay factors. The result identifies major delay factors on each trade and provides the comparison of the degree of importance among work trades. The result also shows that the importance index of the delay factors on superstructure and earth works a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works. In addition,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delay factor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work types.

      • KCI등재후보

        Pelleting 소재와 크기가 지황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윤성탁,한종관,주문갑,박충헌,성낙술,박춘근 한국약용작물학회 2001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9 No.4

        지황 pelleting 종자의 발아특성을 구명코자 온도에 따른 발아율, 채종 후 기간, pelleting물질의 종류, pelleting 크기에 따른 발아율 조사한 결과 온도 및 채종 후 기간에 따른 발아율은 명조건, 암조건 모두 25℃에서 발아율이 높았으며, 당년에 채종한 종자에 비해 채종 후 1년 경과한 종자가 발아율이 높았다. Pelleting 물질별 발아율은 talc처리에서 82.5%로 가장 높았다. Pelleting 종자 크기에 따른 발아율은 2.0mm 크기가 발아율이 높았으며, 특히 talc 2.0 mm에서는 100%의 발아율을 보였다. Pelleting 물질 조합처리에서는 talc + vermiculite, zeolite + vermiculite 모두 대조구보다 발아율이 낮았으며, pelleting 크기별 발아율은 0.7 mm에서 가장 높았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ermination rate according to temperature, pelleting materials, pelleted size, seed storage periods under light and dark conditions in Rehmannia glutinosa.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was obtained from 25℃ in both light and dark condition. Two-year old seeds showed higher germination rate compared to one-year old seed. Talc material showed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among the pelleting materials by 82.5%. Among the different pelleting sizes,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was shown in 2.0 mm, and especially Talc pelleting showed 100% germination rate on 17days after seeding. In case of combination of pelleting materials, both of talc + vermiculite, zeolite + vermiculite showed lower germination rate than the control and 0.7 mm pelleted seed showed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 KCI등재

        요소가산법을 활용한 비상장 중소기업 자기자본비용 측정에 관한 실증연구

        김성규 ( Sung Kyoo Kim ),한길석 ( Kil Seok Han ),한종관 ( Jong Kwan Han ) 한국회계학회 2014 회계저널 Vol.23 No.2

        자본비용은 자본의 사용대가로 지불하는 비용이면서 미래소득을 현재가치로 바꾸는데 적용하는 할인율로서 기업의 가치평가뿐 아니라 신규 투자안에 대한 평가 등 거의 모든 기업 재무ㆍ회계 분야에서 의사결정의 기초가 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런데 자본비용과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가 이론적인 측면에서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국내 기업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비상장 중소기업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또한 대부분의 자본비용 관련 선행연구가 개별기업의 자본비용을 산출하는 구체적인 방법론 보다는 자본비용을 구성하는 요소와 주가 또는 기타 정보와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학술적으로는 어느 정도 시사점을 줄 수 있더라도 가치평가업무 등을 수행하고 있는 금융기관의 실무자나 투자자 입장에서는 시사점을 부여하기에는 많은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금융실무계에서 활용되고 있는 비상장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산출된 자본비용이 부실위험과의 관계를 통해서 그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검증가설은 부실기업의 자본비용이 건전기업의 자본비용에 비하여 높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검증대상 자본비용은 현재 신용보증기금에서 비상장 중소기업 가치평가실무에서 사용되고 있는 타인자본비용(Kd모형)과 요소가산법을 활용한 자기자본비용(Ke모형) 그리고 이 두 가지 모형을 자본구성비로 가중평균한 자본비용(wacc모형)이다. 검증모형 이외 금융실무계에서 비상장기업 자본비용 산출 시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Hamada모형에 의한 자기자본비용(Ke_Hamada모형)과 기술신용보증기금 등에서 기술가치평가 실무에서 사용되고 있는 자기자본비용(Ke_기술평가모형)을 Ke모형과 비교 검증을 목적으로 추가로 검토하였다. 표본은 연도별 거시환경변화에 따른 부실률의 영향이 충분히 반영되도록 2003년~2011년 동안의 재무제표에서 추출한 비상장 중소기업 290,854개/년 자료이다. Cost of capital is a vital decision-making factor in almost every aspect of corporate finance and accounting fields such as firm valuation and appraisal of new investment projects. Yet, most of the studies on cost of capital examine listed companies in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analyses on unlisted SMEs, which comprise the majority of the domestic firms, are virtually non-existent. Moreover, many of the previous researches are focused on analyzing the relevance between the cost of capital and stock price or other information, rather than specific methodologies that calculate the cost of capital of each corporation. Such analyses may yield academic implications but cannot assist the investors or staff at financial institutions that conduct valuation. This study has examined the usefulness of cost of capital for unlisted SMEs used by financial industries by analyzing its relationship with default risks. The hypothesis testing expected that the cost of capital of insolvent enterprises will be higher than that of sound businesses. The costs of capital tested include the cost of debt(Kd Model), cost of equity capital using the build-up method (Ke Model), and the 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of the two previous models (wacc Model), which are used for unlisted SME valuation at KODIT(Korea Credit Guarantee Fund). For a comparison test against Ke Model, Hamada model, which is widely used in financial industries to calculate the cost of capital of unlisted firms, and the Technology-Evaluation Model, which is adopted as cost of capital by KOTEC(Korea Technology Credit Guarantee Fund) for technology valuation , were further analy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