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시조의 미국 진출-번역과 수용

        한재남(John J. Han)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人文科學硏究 Vol.19 No.-

        한국의 전통 시형인 시조가 미국에 알려지게 된 지 약 반 세기가 지났다. 시조는 여러 한국 문학의 유형 가운데 영어권의 문인들에게 가장 어필할 수 있는 요소를 가진 장르로 떠 오르고 있다. 이 논문은 시조가 미국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토착화되고 있는가를 알아 보고자 하는 것이다. 우선 미국 시조의 약사, 시조의 미국진출에 결정적 기여를 한 번역가들의 공헌을 살피고, 한국 시조의 번역 출판 상황, 한국 시조의 다양한 번역법, 영시조의 실제 및 영시조의 창작법을 논의한 다음 미국 영시조의 발전 방향에 대한 전망으로 논문을 끝맺음한다. 현재까지 수백 편의 시조가 영어로 번역되어 있는데 시조, 나아가 전통 한국시가 미국인들의 관심을 끄는 데 있어 가장 큰 공헌을 한 세 번역가로는 한국계 미국학자인 피터 리, 주일 한국대사 배이환의 부인이었던 이네즈 공 배, 그리고 한국에서 성공회 주교로 봉사했던 리차드 럿을 들 수 있다. 피터 리의 Anthology of Korean Poetry (1964), 공 배의 The Ever White Mountain (1965), 럿의 The Bamboo Grove (1971)는 시조의 국제화에 결정적 역할을 한 저작들이었다. 이 저서들을 비롯한 여러 한국 문학 및 세계 문학 선집에는 거의 모든 전통 시조와 대표적인 20세기의 시조들이 번역 수록되어 있다. 물론 한국 시조는 번역가의 문학적 취향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영역되어 있다. 미국인들이 창작하는 영문 시조는 모두 평시조이며, 창작법은 주로 리차드 럿의 시조 이론을 따르고 있는데, 영문 시조 운동을 주도하는 시인들로는 플로리다의 래리 그로스와 캐나다의 엘리자베쓰 세인트 자끄를 들 수 있다. 미국 내에서는 하이쿠 시인들이 중심이 되어서 시조를 쓰고 있고, 일부 고등학교에서 시조를 가르치고 있으며, 또 시조는 여러 시경연대회의 한 종목이 되어 가고 있다. 한편 미국 내에서 그동안 여러 영시조집이 출판되었는데 그 저자로는 운송 김, 엘리자베쓰 세인트 자끄, 진 르블랑, 데이빗 머켄, 린다 수 박 등을 들 수 있다. 앞으로도 시조는 미국인들의 지속적인 관심을 끌 것으로 보인다. 당분 간은 그로스와 세인트 자끄가 확립한 영시조 작법의 원리를 따를 것이지만 하이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미국 내에서 독자적 시형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한국의 전통 시조와는 달리 미국 시조는 미국인의 고유한 정서와 사상을 담는 장르로 발전할 것인데 정적이고 애조를 띄는 한국의 전통 시조들과는 달리 유머러스하고 긍정적이고 밝은 소재들을 담게 될 것으로 보인다. Since sijo was first introduced to the West half a century ago, it has proven to be the most appealing Korean literary type for English-speaking people. This paper explores the ways in which sijo has been received, practiced, and nativized among American scholars and poets. Specifically, it examines the contributions of the early translators of sijo, some of the representative texts of Korean sijo in English translation, some of the sijo written in English, and the future of sijo in the New World. Unbeknownst to most Koreans, hundreds of traditional and modern sijo have been translated into English. Three early translators must be given the most credit for publicizing the Korean poetic form among Westerners: Peter H. Lee, a KoreanAmerican scholar and editor of Anthology of Korean Poetry (1964); Inez Kong Pai, wife of a Korean ambassador to Japan who edited The Ever White Mountain (1965); and Richard Rutt, an Anglican missionary to Korea and editor of The Bamboo Grove (1971). Their efforts were followed by a group of younger translators, such as Kevin O’Rourke and David R. McCann. Korean sijo are now included in many poetry anthologies, and they are translated in various ways based on the literary taste of each translator. English-language sijo poets write almost exclusively pyeong sijo, the simplest form of sijo. Larry Gross of Florida and Elizabeth St. Jacques of Canada are the two leading teachers of sijo in North America today; their sijo theories largely come from Richard Rutt’s book, The Bamboo Grove. Many sijo poets in America are also haiku and tanka poets, who find a kinship between the Korean and Japanse poetic forms in sensibility and structure. Also, more and more high schools teach sijo, and sijo has become a category in some poetry contests across the United States. Several books of original sijo appeared from 1995 to 2010; the authors include Unsong Kim, Elizabeth St. Jacques, Jean LeBlanc, David R. McCann, and Linda Sue Park. Sijo will continue to attract attention from American scholars and poets. For the foreseeable future, American sijo poets will follow the guidelines set by Larry Gross and Elizabeth St. Jacues. Similar to haiku and tanka, however, sijo will eventually become Americanized in both form and sensibility. Because of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English, the form will become more flexible. Finally, whereas traditional sijo are steeped in tranquility and sadness, Ameircan sijo will celebrate life, express the dynamics for living, and convey humor.

      • 읽기를 통한 세계화 교육 -인문학으로서의 세계문학 과목 개발하기

        한재남 ( John J. Han ) 忠北大學校 人文學硏究所 2009 人文學誌 Vol.39 No.-

        세계화의 물결이 미국의 대학 교육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세계화를 새로운 교육 지침의 하나로 삼는 것이 대학의 일반적 추세로서 학생들로 하여금 자매결연이 된 외국 대학에서 한두 학기씩 수강하거나 방학 중 후진국에 가서 봉사 활동을 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세계화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세계문학으로서 거의 모든 미국 대학들이 이를 교양 필수 과목으로 지정해놓고 있다. 이 논문은 미국 대학에서 10년 남짓 세계문학을 강의한 경험에 비추어 구체적으로 미국에서 세계문학이 어떻게 가르쳐지고 있는가를 소개한 뒤 한국 대학들도 세계화를 지향하고 있는 만큼 세계문학을 개설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 소견을 나누고자 한다. 교재 선택에는 크게 세 가지 방식이 있다. 가장 보편적이고 용이한 방법은 베드퍼드 (Bedford), 노턴 (Norton), 롱먼 (Longman) 등 유수 출판사에서 발행한 선집 (anthology)을 채택하는 것이다. 부피가 무거운 선집 대신 몇몇 주요 작가들의 작품 단행본들을 채택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마지막으로 가르치는 학생들의 필요에 따라 작품들과 강의물을 한 데 묶어 한 권의 책으로 발행하는 경우도 있다. 필자의 경우 2004년에 한 영문과 동료와 함께 우리 대학 학생들에게 필요한 세계문학 교재를 보스턴의 한 출판사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고 우리의 강의 자료를 첨가하여 출판하였는데 학생들의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코스 요목으로서는 필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요목의 축약본을 예로 제시했는데, 과목의 개요, 목표, 필수 사항, 채점 방식, 그리고 세계문학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대표적 토론 주제들을 나열하고 있다. 코스는 강의, 토론, 학생들의 구두 발표, 세 차례의 시험, 그리고 문화 행사에 대한 짧은 리포트 한 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두 발표로는 한 학생당 한 편의 문학성이 있고 세계적 명성이 있는 소설을 읽고 그 줄거리를 요약한 뒤 소설의 주제와 기법에 관한 연구 결과를 보고하도록 하고 있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문학 전공자들이 아닌 관계로 시험은 고난도의 문제를 피하고, 교과서를 충실히 공부했는지, 강의와 구두 발표를 경청했는지, 그리고 논리적 사고 및 작문 능력이 있는지를 주로 테스트하고 있다. 또 각 시험 1주일 전에 간단한 스터디 가이드를 제공하여 학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세계문학은 그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므로 주어진 기간 내에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를 고려해서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고 유익하고 흥미로운 텍스트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세계문학을 읽는 데 있어서 각 작품의 문화적, 역사적, 지적, 지리적 배경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인터넷 사전, 구글 서치 엔진 등을 이용하면 거의 모든 의문점을 해결할 수 있다. 필자의 경우 텍스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몇몇 비디오 (다큐멘터리 혹은 영화)를 함께 사용하고 있다. 한 가지 유의할 점은 세계문학에 성경, 도덕경, 논어, 코란의 일부를 포함시킬 수 있는데 이 경우 학생들에게 세계문학 과목에서는 이들 경전을 신학 내지 철학이 아닌 그 문학성에 초점을 맞추고 읽는다는 것을 주지시키고 있다. 세계문학을 가르치는 것은 대단히 보람을 가져다 주는 일이다. 가르치기에 앞서 교수 자신이 지적, 문화적 배경이 다른 작품들을 먼저 소화하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자신의 학문적 영역을 넓혀 가게 된다. 또한 다른 과목들과는 달리 세계문학은 일부 작가 (예컨대 호머, 단테, 셰익스피어)를 제외하고는 가르치는 사람이 필독서라고 생각하는 텍스트를 선정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다. 학생들의 경우 비문학 전공자들은 세계문학을 수강하는 데 대한 거부감을 느낄 수 있으나 교수법에 따라 얼마든지 흥미롭게 코스를 끌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필자의 경험이 비추어 보면 거의 모든 학생들이 세계문학과목을 통해 문학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갖게 되고 이질 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게 된다. 미국 대학에서는 세계문학을 영문과 교수진이 가르치는 것이 관례로 되어 있으나 엄밀히 따져 이 과목은 영문학이 아닌 인문학 과목이다. 따라서 교수진은 영문과 뿐만 아니라 인문대학 내의 문학 또는 철학을 가르치는 여러 학과로부터 협의 하에 차출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대학에서 세계문학을 교양 과목으로 개설할 경우 그 텍스트는 한국어 번역본으로 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인데, 필요할 경우 한 편의 작품은 영문판으로 그리고 나머지는 한국어판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과목은 영어 능력 함양이 아닌 국제적 이해 능력의 함양이 주 목적이다. 즉 서구화 (Westernization)가 아닌 국제화 (globalization)에 그 초점이 주어져야 한다.

      • 문학적 관점에서 본 동서양 문화의 차이

        한재남(John J. Han)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人文科學硏究 Vol.17 No.-

        이 논문은 지난 20여년 간 미국에서 한국계 영문학 교수로서 강단에서, 문학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그리고 문예창작을 하는 과정에서 동서양의 문화적 차이에 대해 개인적으로 느낀 몇 가지 점을 성경, <논어>(論語), 그리고 <도덕경>(道德經)을 중심으로 하여 다루고 있다. 성경은 아시아의 일부인 중동 지방에서 쓰여졌지만 서양 문화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경전이다. 공자(孔子)의 유교적 가르침을 담은 <논어>(論語)와 노자(老子)의 도가사상을 담은 <도덕경>(道德經)은 중국문화, 나아가서는동아시아 전체의 문화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작품들이다. 이 논문은 구체적으로 (1) 우주의 기원의 문제, (2) 우주의 종말의 문제, (3) 우주 안에서의 인간의 위치, (4) 선악의 문제, 그리고 (5) 언어의 역할을 논의하고 있는데, 이 모든 주제들은 신앙의 관점이 아닌 비교문학 및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우주의 기원에 관하여 성경은 창조주의 존재와 그의 천지창조를 믿음에 기초하여 선포하고 있다. 성경이 인격적 유일신의 천지창조를 선포하는데 반해 동양의 철학 및 종교는 불가지론적, 신비주의적, 혹은 다신적 관점에서 우주의 기원을 찾는다. 또 성경의 역사관은 역사의 시작과 끝이 존재한다는 믿음에 기초하고 있는데 반해 <논어>와 <도덕경>은 우주의 종말이 아닌 순환적 역사관에 그 기초를 두고 있다. 우주 안에서의 인간의 위치와 관련하여, 성경에서는 인간이 다른 피조물들보다 우위에 놓이는 반면, <논어>와 <도덕경>은 자연에 대한 경외심 그리고 자연의 일부로서의 인간을 강조하고 있다. 성경의 기본 가르침 중 하나는 선과 악, 옳음과 그름의 분명한 구분이다. 반면, 동양의 경전들은 윤리적 삶을 강조하지만 성경에 비하여 그 구체성이 적다. 마지막으로 성경은 언어의 신적, 창조적 기능을 강조하는 대신 동양의 텍스트들은 언사(言辭)를 실용적 측면에서 자주 언급하고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difference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based on the Bible and two Chinese texts, the Analects and the Tao Te Ching. Although the Bible—especially the Hebrew Bible—came out of Middle Eastern culture, it constitutes a key foundation of Western civilization. The Analects is essential for understanding the classical side of the Asian mind, while the Tao Te Ching is essential for understanding the romantic side of the Asian mind.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are discussed in five areas: (1) the issue of the origin of the universe, (2) the views on the end of the world, (3) the position of man in the universe, (4) the problem of good and evil, and (5) the role of language. This cross-cultural essay reflects my personal observations acquired from my two-decade-long professional career in American universities. While the Bible clearly recognizes a personal deity who created the heavens and the earth, the Eastern texts adopt an agnostic, mystical, or polytheistic view of a transcendental reality. Regarding the idea of history, the Bible recognizes the existence of end times, while the Analects and the Tao Te Ching hold a cyclical view of history. In the Bible, man is supreme among all creatures, whereas in the Eastern texts, nature is either equal to or higher than humanity. The idea of moral clarity permeates the Bible; both the Confucian and Taoist texts teach ethical lessons yet tend to be less specific than the Bible in their instructions. Finally, the Bible emphasizes a godly, creative function of language, while the Eastern texts emphasize the wise use of language in daily l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