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의 정부개발원조정책과 ODA대강 개정

        한의석 ( Han Eui-suok )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7 日本硏究 Vol.0 No.71

        This study traces development process of Japan`s ODA and its policies focusing on ODA Charters, and analyzes international and domestic factors which have influenced changes of ODA Charters. Japanese government set up ODA Charter in 1992 and revised it in 2003, and again in 2015. Through revision of the Charters, Japanese government has been accepted international ODA norms. However, due to its domestic and international challenges, Japan still shows an inclination to seek its national economic and security interests.

      • KCI등재

        일본의 도쿄도지사 선거와 정책 현황 분석: 200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한의석 ( Eui Suok Han ) 현대일본학회 2014 日本硏究論叢 Vol.39 No.-

        본 논문은 최근 일본의 도쿄도지사 선거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일본의 지사선거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는 시도이며, 도쿄도지사 선거에서 주요 후보자들이 내세 우는 정책공약과 유권자들의 정책선호를 분석하고 있다. 도쿄도지사 선거는 다른 지방 선거와 마찬가지로 연합공천과 무소속 후보자의 당선이 두드러진다. 이 과정에서 후보 자 요인이 중요하게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정책 또한 유권자 선택의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으며 복지와 의료, 방재 문제가 중요한 정책 의제임을 알 수 있다. 한편 2014년의 도쿄도지사 선거에서는 중앙정치의 쟁점이라고 할 수 있는 ‘원자력발전’ 문제가 선거 쟁점으로 등장하였으나 복지나 고용 문제 등이 여전히 중요한 정책과제임 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Tokyo gubernatorial elections after the 2000s focusing on the policy-linkage between voters and candidates. The Tokyo gubernatorial elections show that welfare and employment issues are important factors for voters` selection, although popularity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candidates are substantial factors affecting voters` choice. In the Tokyo elections, welfare, health, and prevention of disaster have been important policy agenda. In case of the 2014 election, there was a change in policy agenda in elections with the emergence of nuclear power generation issue. However, those elections have shown that local policies are still important factor for the voter`s choice.

      • KCI등재

        정치의 세습화와 일본의 세습의원

        한의석(Han Eui Suok)(韓義錫)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6 日本硏究 Vol.0 No.67

        This study explores reasons of the increase of hereditary politicians in Japan and their impact on politics and policy-making. Political resources called san-ban are beneficial to a hereditary politician's electoral campaigning and its political power within his/her own political party. San-ban means awareness(family name), money and supporters' association, which provide great advantage to a hereditary politician's electoral campaigning. In addition, seniority system of the Liberal Democratic Party(LDP) and its electoral motivation have strengthened political position of hereditary politicians within the party. As a result, a large portion of cabinet positions has been recruited by hereditary politicians. Those hereditary politicians, meanwhile, tend to support traditional rural-oriented LDP policies and to have strong conservative ideology.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an analysis of the increase of hereditary politicians in many democracies.

      • KCI등재후보

        제3정당의 성공요인: 일본유신회와 민나노당의 2012년 중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한의석 ( Eui Suok Han ) 현대일본학회 2016 日本硏究論叢 Vol.43 No.-

        정당연구에서 군소정당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며, 특히 신생 군소정당(제3정당)에 대한 연구는 더욱 그러하다. 이 글은 2012년 중의원 선거에서 자민당과 민주당의 양대 정당에 대항하여 등장한 신생 군소정당, 즉 일본유신회와 민나노당, 일본미래당의 사례를 통해 제3정당이 성공할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해 분석하고 있으며, 이론적 관점에서 제3정당의 성공 요인을 구조적-제도적 요인과 정당리더십 및 선거전략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에는 제3정당의 성공에 무당파층의 증가와 비례대표제의 활용이 중요한 변수로 작동하고 있으며, 당 대표의 인지도와 리더십, 도시 무당파층의 지지 획득이 주된 요인이었음을 알 수 있다. While there are only a few empirical studies of a third party(or a smaller party)``s electoral success,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Japanese third parties in the 2012 House of Representatives election, focusing on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and electoral strategy of Japan Restoration Party, Your Party, and Tomorrow Party of Japan. This study shows that increase of non-partisan voters and the existence of representative seats are substantial factors for the third party``s electoral success, and a level of popularity of a party head and an attempt to gaining non-partisan voters in city areas were important factors for a third party``s electoral success.

      • KCI등재
      • KCI등재

        오사카유신회와 하시모토 토오루

        한의석(HAN EUI SUOK) 21세기정치학회 2012 21세기 정치학회보 Vol.22 No.2

        The Democratic Party of Japan(DJP) came into power in 2009, gaining majority support from the Japanese voters who had much dissatisfied with the performance of the Liberal Democratic Party government. While the supporters expected a desirable shift in the out-dated Japanese system, the DPJ government seems to have failed to reform it sufficiently. Under this condition, a notable phenomenon in the Japanese party politics is the increase of local political parties, especially of which a governor or mayor hold the head of a party(shuchoseitō). This study introduces the Osaka Restoration Association and its leader Hashimoto Tōru, exploring reasons of their political success in Osaka area and their popularity nationwi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