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학교 방과 후 프로그램 중 학교미술치료를 수행한 미술치료사의 체험연구

        한유정, 장연집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7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7 No.2

        To obt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art therapists who conducted school art therapy as an elementary after school-program, and to look into how they experienced various things, the study consulted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are twelve art therapists who received their Master’s degree and have been working in the field for less than seven years and have the experience of conducting more than ten sessions at elementary schools.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four months from June 2016 to Octoder 2016. 11 essential topics and 29 sub topics are drawn in total.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art therapists encounter difficulties due to the lack of awareness and understanding about art therapy at school systems. Second, art therapists try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art therapy more actively to provide better environment for children; they also ponder about the role of an art therapist at school environment. Third, art therapists recognize the advantage of art therapy and the power of producing artwork by watching the children change with the help of artwork. Fourth, the therapists experience a growth as an art therapist in the school environment by communicating with diverse people at school to expand the understanding and awareness toward art therapies when they were conducting sessions at schools. 본 연구는 초등학교 방과 후 프로그램 중 학교미술치료를 수행한 미술치료사들이 어떠한 체험을 하는지, 그 체험의 본질과 의미는 무엇인지를 이해하는데 두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술심리치료학 석사학위를 취득한 뒤 7년 이내에 있는 미술치료사로, 초등학교 현장에서 10회기 이상의 경험이 있는 미술치료사 12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현상을 어떻게 경험하고, 참여자들의 경험의 의미를 살펴보는 것을 깊이 있게 연구하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방법론을 통해 연구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016년 6월부터 10월까지 4개월간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고 심층면담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본질적 주제 11개와 하위주제 29개를 도출하였다. 이것을 토대로 내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사들은 학교 체계 안에서 미술치료에 대한 이해와 인식의 부족함을 느껴 때론 어려움을 느낀다. 둘째, 아동들에게 좋은 환경을 만들어 주기 위해서 미술치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학교 환경 안에서 주어지는 미술치료사의 역할에 대해 고민하고 노력한다. 셋째, 학교생활을 보다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열악하고 소외된 아동이 많게 됨을 느끼게 되었다. 넷째, 학교 환경에서 미술치료를 진행하는 동안 학교 관계자와 소통하는 법을 배우며 주어진 환경 안에서 미술치료사로서 한 단계 성장하였음을 경험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