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東, 陽, 蒸部의 同源字考(2)

        한연석 중국어문연구회 2010 中國語文論叢 Vol.0 No.46

        声符是工、共、黃、皇, 厷的这些字符中,词义是大、肥、高、盛、廣、深、遠、積的这些字符是音近義通的同源字. 工, 共的上古音是東韻, 見紐,它们是同音. 以它们为声符的(a)(䲨)、仜、䪦(叿、)、叿、肛(胮)、鴻(䲨、澒)、愩、䫹、渱、崆、、髸、珙、栱、、洪、谼、、哄、輂、䱋、恭, 與具有大、肥、高、盛等词义的这些字符是音近義通的同源字. 黃、皇的上古音是陽韻, 匣紐; 厷(宏)的上古音是蒸韻, 匣紐. 它们的韵部是旁转关系, 聲紐是雙聲, 上古時是近音. 以它们为声符的(b)廣、潢、䬝、鐄、獚、皇、諻、喤、艎()、厷(宏、肱)、吰、閎、耾()、䫺()、(䐵)、竑, 與具有大、盛、廣、深、遠、積等詞義的这些字符是音近義通的同源字. 并且(a), (b)條的这些字符也都是同源字. (a)條字符的韻部, 與(b)條字符的韻部是旁轉關係, 聲紐是旁紐, 上古時是近音. 它们具有的大、盛、肥、高、廣、深、遠、積等詞義是同義, 或者是引伸關係. 尨的上古音是東韻, 明紐; 蒙的上古音也是東韻, 明紐. 它们是雙聲, 韻部的同音. 以它们为声符的(c)尨、䏵、哤、狵、厖、庬、濛、饛(䀄、)、朦、、()、幪,與具有大、厚、多、盛等詞義的这些字符是音近義通的同源字. 丰的上古音是東韻, 滂紐. 以它为声符的(d)丰、封、菶、峯、、蜯、䳞、唪、、䭰, 與具有大、盛、厚、多等詞義的这些字符是音近義通的同源字. 并且(c), (d)條的这些字符也都是同源字. (c)條字符的韻部和(d)條字符的韻部是疊韻, 聲紐是旁紐, 上古時是近音. 它们具有的大、盛、厚、多等詞義是同義, 或者是引伸關係.

      • KCI등재

        부수속칭의 유래 試考

        한연석 한국한문교육학회 2004 한문교육논집 Vol.22 No.-

        ‘Busu(部首) slang’ didn't appear in Korean Literature till 1950's. Maybe it came from Japan. There was enough evidence to show the causes of the fact. First, Busu slang was already written in some Chinese Japanese dictionaries from 1400's and it was formally found in most Chinese Japanese ones in the 1930's. After 1950's it began to appear in Chinese Korean dictionary. Second, both Busu index and Busu name were found in Chinese Japanese dictionary after 1930's. They were also found in Chinese Korean dictionary to imitate Chinese Japanese one after 1950's. Now we could find them in most Chinese Korean dictionaries. Third, the change of the number of Busu (from180 to 214) in Chinese Korean dictionary followed that of it in Chinese Japanese one. Fourth, Japan has peculiar Busu slang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China. Now Korea has the same Busu slang that Japan has. Fifth Japanese have said that Busu slang was named after a stroke, structure and the shape of a character. Koreans made Busu slang in the same way Japanese did. The above proves that Japanese Busu slang has much effect on Korean Busu slang. 1950년대 이후 우리자전에 보이기 시작한 부수속칭이 우리의 전통이 아니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하지만 필자가 조사한 바로는 일본자전의 절대적인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임이 확인되었다. 중국은 부수속칭을 속설로 여겨 字書에 수입도, 정통 문자학계에서 취급하지도 않았다. 그러나 일본은 중국이나 우리와는 전혀 딴판으로 이를 수용, 자신들만의 고유한 학문체계로 발전시켜왔다. 다음은 1930년대 일본자전에 보이는, 우리자전이 모방한 몇 가지 사항들이다. 첫째 1930년대 대부분의 자전이 부수속칭을 본문에서 다룬다. 둘째 부수명칭표를 두었다. 셋째 構成, 筆劃, 字形上이라는 용어로 속칭을 문자학적으로 설명하였다. 넷째 부수명칭표의 명칭이 140개에서 180, 214개로 확장되었다. 다섯째 일본만의 고유한 속칭이 생산되었다. 여섯째 ‘偏, 旁, 冠(頭), 脚, 構, 垂, 繞’라는 부수위치표시어를 사용하였다. 이상 일본자전에 보이는 부수관계 특징들을 1950년대 우리자전들이 그대로 모방하였다. 이외에도 일본 자전들의 오류까지도 그대로 모방한, 크고 작은 흔적들은 일본영향을 증명한다고 하겠다.

      • KCI등재
      • KCI등재

        ‘땅’의 語源 試考

        한연석 한국한문고전학회 2018 漢文古典硏究 Vol.37 No.1

        There are two arguments that the origin of 'Tae(따 지)' can not be known and 'dal(달).’ I agree with the argument that the 'dal(달)’ is the root. The evidence was found in the Di(地) in Archaic Chinese. rThe reading in the Archaic Chinese was the 'dal(달).’ This 'dal(地)’ has turned into a tha(따 땅) and a ji(지) This is because of the following reasons. the first, If you refer to the ‘diwə̅t(달) of jengnu mulbu(定紐 物部)’ in Archaic Chinese, you would have read it as ‘dal(달)' at some point in the appeal. The second, pronunciations of ‘dal(地)'make a change tha(따), which reflects the Chinese word of loss of the sound of the entrance. Third, ‘Ji(地)' of ‘ tha ji(따 지(地))' is a reflection pronunciation in medieval times ‘jengnu jibu(定紐 至部) di(地)’ of ‘di(地)' ‘따(땅)’의 語源에 대해 未詳과 ‘달’이라는 주장이 상존한다. 필자는 ‘달’이 祖語라는 주장에 동조하되, 그 방증은 국어학계와 달리 上古漢語 ‘地’에서 찾았다. 上古漢語에서 地의 독음은 ‘달’이고, 이 ‘달’이 ‘따’와 ‘지’로 音變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즉, ‘따(땅) 지(地)’의 ‘따’와 ‘지’는 모두 상고한어 ‘달’의 音變이고, ‘달 > 따 > 지’의 변화를 겪었을 것이다. 地는 수용초기 ‘강 강(江)’처럼 ‘달 달 (地)’의 訓ㆍ音借이었을 것이다. 그런데 漢語의 변화와 그에 따른 우리자전의 수용과 세속의 보수적 독음 고수로 인해 ‘달, 따, 지’가 상황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적용되면서 ‘따’와 ‘지’를 訓과 音으로 오해하게 되었다. ‘달, 따, 지’와 이들의 혼재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地의 上古音은 ‘달’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현존 音韻書는 자료의 한계로 ‘定紐 歌部’의 ‘다, 대(dĭa)’로만 再構 하나, 地의 古字 墬의 ‘定紐 物部 diwə̅t(달)’을 참고하면 상고의 어느 시점에서는 ‘달’로 읽었을 것이다. 둘째 地의 ‘달’이 ‘따’로 演變된 것은 입성운미 소실의 한어음운사가 반영된 것이다. 민간어원에 보이는 ‘多 大 墮 吐’ 역시 한편으로는 이를 반영한 것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고한어에서 이미 운미가 탈락된 地의 ‘定紐 歌部’를 반영(音借)한 것이다. 셋째 ‘따 지(地)’의 ‘지’는 地의 中古音 ‘定紐 至部 di’를 반영한 것이다. 넷째 ‘따 지(地)’의 ‘따’와 ‘지’는 地의 訓ㆍ音借인 ‘달 달(地)’의 演變이다. ‘따’를 訓, ‘지(地)’를 音처럼 인식하는 것은 漢語의 변화에 따른 우리자전의 수용과 세속의 보수적 태도 때문이다. 황윤석의 언설을 참고하면 새로 제작되는 자전은 중국의 변화된 독음을 반영하고, 세속은 오래전에 받아들인 음가를 고수하려는 경향을 띄게 된다고 한다. 예컨대 地의 독음은 中古漢語(唐代)에 이미 ‘지 (di)’로 연변되었는데 삼국사기 등 문헌이나 양달 음달의 ‘달’에는 여전히 수용 초기의 독음 ‘達’을 고수한다. 다시 중고음에서 이미 독음이 ‘지’로 변했는데도 불구하고 17세기 이후에도 여전히 상고음인 ‘따(다, 대(dĭa))’를 쓰기도 하였다. (민간어원 ‘多 大 墮 吐’가 ‘따’의 音借임) 이렇게 17세기 이후 세속과 ‘훈몽서 혹은 자전’의 독음 반영이 축차적으로 일 어나 결국은 ‘달 달(地)’의 訓ㆍ音借가 ‘따 지(地)’로 변해 ‘따’와 ‘지’를 訓과 音으로 오해하게 만들었다. 다섯째, 우리말 ‘따(땅)’는 토지 대지 장소를 아우르는 多義語이고 ‘다, , 데’와 同源語이며, 이의 한자기록 ‘土, 地 處’는 ‘따(땅), 다, , 데’의 訓ㆍ音借이다. 그렇다면 우리말 ‘따(땅), 다, ᄃᆞ, 데’는 漢語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암시한다. 漢語 ‘地 土 處 所 場’은 대략 上古音이 ‘따(달), 다, 처, 타’이고, 대지 토지 장소를 나타내는 同源詞이다. 따라서 이는 우리말 ‘달’ ‘따’가 상고한어 地에서 왔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방증한다. 同源語인 국어 ‘따, 다, 데’는 초기에는 ‘地 土 處’를 가리지 않고 사용하였으나 후대로 내려오면서 대략 토지 대지의 ‘따’는 地로, 장소의 ‘다, 데’는 處로 수렴되는 듯하다.

      • KCI등재

        韓,中 漢字敎學 比較 硏究

        한연석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2 漢字 漢文敎育 Vol.28 No.-

        중국의 漢字敎學은 중학교까지 3500자(초등학교 3000자)를 실시하되, 초등학교 1, 2학년에서 집중적으로 실시한다. 漢字敎學法은 우리와 중국이 유사하지만 중국이 우리보다 다양하다. 우리는 부수 중심 지도법, 구조 분석법 등이, 중국은 상형을 통한 圖形識字, 따라 읽기의 聽讀識字, 운문 읽기의 朗讀法, 생활을 주제로 한 誦讀法, 會意形聲原理 識字, 偏旁 활용 識字 등을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실시한다. 우리와 중국 모두 한자교학은 필획, 필순, 편방부수, 자전 찾기, 圖畵 등을 이용하지만 중국은 漢語倂音을 교학하고, 이를 통해 識字敎學을 하기도 한다. 중국은 간체자로 인해 육서 이용, 결구 분석 등을 통한 敎學이 불리하지만 聲讀, 문장 읽기를 통한 識字敎學은 유리하다. 최근 중국의 일부 초등교재는 先倂音敎學에서 先漢字敎學으로 바뀌었는데, 그 이유는 先倂音, 後漢字敎學이 한자의 形音義 사이의 聯想작용을 방해하고, 한자를 저열한 문자로 인식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한국의 ‘漢字敎學法은 聲符활용 敎學法, 결구분석을 통한 字源활용 교학법, 만화, 그림, 사진, 컴퓨터 등 매체를 이용한 교학법이 연구되었다. 우리의 교학법 연구는 교육과정이나 교재구성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 주된 요인은 개인적 연구로 파급력이 약하고, 안정성, 효율성이 검증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중국은 分散識字, 集中識字, 部件識字, 聽讀識字, 字謎識字, 字理識字, 字根識字, 奇特聯想識字, 雙倂電腦識字, 解形識字, 電腦字根識字, 大成序法識字, 字中字檢字法 등이 연구되었다. 중국의 識字敎學法 연구는 대부분 국가 혹은 지방정부 차원의 연구과제로 수행되고 실험을 거친 것들이라 공신력이 크다. 최근 중국의 한자교학은 학습자의 흥미, 능동적 참여, 학습자 존중, 창의적 교육, 독립적 識字를 추구한다. 중국의 식자교학법 중 謎語法, 字中字法, 노래나 韻律있는 문장을 활용한 破字 識字法은 관심을 가질만하다. 우리나 중국 모두 그림, 말풍선, 만화, 사진, 멀티미디어, 인터넷 등 매체를 활용하여 한자를 교학하지만 매체이용은 우리가 중국보다 다양하고 화려하다. In China,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s carried out intensively at the first and second grades in the elementary school. In Korea, students are educated with 900 basic Chinese characters in the middle school. In China, they are educated with 3000 characters in the elementary school. We sometimes teach Chinese characters using radicals or analyzing the structures. In China,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s carried out through figure, listen & repeat recitation and the principles of combination and formation. Both Korea and China teach Chinese characters using the stroke order, radical and look-up Chinese dictionary, but China unlike Korea (Chinese-what Chinese people say and write) sometimes teaches Pinyin(倂音) and educates students with Chinese characters using Pinyin(倂音). Since simplified characters have been used in China, they have disadvantages in analyzing and teaching characters compared to Korea where traditional characters are being used. However, they have advantage i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through reading the sentences compared to Korea. The recent character education in China has been changed from teaching Pinyin(倂音) at first to teaching Chinese characters at first. The reason is that students recognize Chinese characters as low level characters and get the passive learning attitude if they are taught Pinyin(倂音) at first and then Chinese characters later. I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there are many methods of education being studied such as a method utilizing the audio part, a method analyzing and teaching Chinese characters and a method using various media including comics, painting, photography and computers. In China, many methods have been studied such as Bunsan composition(education by dispersing the class)(分散識字), Jipjung compositio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s intensively carried out in low grades)(集中識字), Bugeon composition (education by analyzing the radicals of Chinese characters)(部件識字), Jami composition (education using enigma)(字謎識字), Jari composition(字理識字), Jageun composition(字根識字) and computer composition. Since research o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China has been conducted and gone through experiments with supports from national, provincial or city governments, the spread and credibility of research are great. To the contrast, research o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has been conducted as private projects and its spread is weak. Among methods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China, methods of education using enigma and songs are worth learning in Korea.

      • KCI등재후보

        構形學 이론을 적용한 한자학습 신장 방안

        韓延錫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5 漢字 漢文敎育 Vol.14 No.-

        한자분석이론인 六書論은 漢 代 許愼에 의해 정리된 이후 근세까지는 누구도 감히 이치를 제기할 수 없는 금과옥조로 받아들여졌다. 1930년대 唐蘭에 의해 처음 문제가 제기된 뒤 六書論 대안으로 陳夢家와 ?錫圭치 三書說, 王寧치 構形學理論 등이 제안되었다. 構形學理論은 한자의 형체는 일정한 규칙과 원칙에 의해서 구성되고 변화된다는 전제 하에, 개체 한자(字符)의 構形方式과 構形의 총체적인 계통성 속에 숨어 있는 규율을 규명하는 학문이다. 한자는 構件(部件)의 組合으로 이루어졌고 이들의 조합형태는 平面結構와 層次結構 두 가지가 있다. 예컨대 평면결구란 暴의 결우처럼 日, 共(出과 ?의 결합), ??(米의 이체)를 평면적으로 결합시켜 해(日)가 나을 때(出) 여러사람이 힘을 합해(?) 젖은 쌀(米)을 말린다에서 ‘쬐다'라는 義를 나타내었다. 이는 한자를 구성하고 있는 部件들의 義를 평면적으로 나열하여 表義하는 것이다. 층차결구란 落의 경우처럼 제 1層次에서 艸와 洛으로, 제 2層次 의 洛 은 水와 各으로, 제3層次의 各음은 久와 口로 層次的으로 구성점을 가리킨다. 한자를 구성하고 있는 構件의 역할은 表形技能, 表義技能, 示音技能, 標示技能 등 네 가지가 있다. 이들이 서로 결합하여 宇를 이룬 뒤 이 構件을 통해 宇義를 표현하고 있는 結構模式은 한 개의 構件으로 형?음?의 모두를 표현하는 全功能零合成宇, 表形構件과 標示構件의 결합인 標形合成宇, 表義構件과 標示構件의 결합인 標義成合宇, .....示音構件과 各種구건의 결합인 有音綜合合成宇 등 11종이 있다. 構形學理論을 실제 한자교육에 적용했을 때 지금까지 간혹 막연하거나 비과학적으로 접근했던 한자의 書寫單位, 필순, 본의, 構義 등을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한자학습을 과학적으로 쉽게 이끌 수 있다. 예컨대 書寫單位를 잘못 이해한 것으로 '勳'을 ‘??’으로즉, 상부의 '動'과 하부의 '火'로 쓰는 경우가 있다. 構形單位가 熏과 力이기 때문에 당연히 書寫單位 역시 熏과 力인 ‘勳’이어야한다. 필순의 경우 ‘及’은 사람마다 주장이 다르다. 구형학 이론을 참조하면 上部 人의 변형인 '??'과 하부 ‘又’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필순은 당연히 ‘?→??→?→?’로 써야한다. 火 역시 隷體인 ‘火’를 참고하면 당연히 왼쪽에서부터 순서대로 써야한다. 본의 탐색의 경우 冠은 ‘덮개(?)를 사람머리(元)에 손으로 쓴다(寸)’에서 '모자'라는 뜻을 갖게 됐다. 構意 分析의 경부 浴(??)은 아래에 대야를, 위에 사람을 그려 몸을 씻음을, 沐(??)은 왼쪽에 대야, 오른쪽에 구부린 사람을 그려 세수함을 나타내었다. 구형학이론이 書寫單位, 筆順, 본의의 탐색 등 한문교육 전반에 남아있는 언어학적 문제를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적어도 한문교육에 언어학적 접근의 필요성과 과학적 교육이라는 명제를 인식하게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六書論'是在漢代据許愼爲雲整理的漢宇分析理論. 這種理論到近世誰也不敢提起異異, 因爲許的名望太高. 人們把他認爲金科玉條, 到1930年代, 古文學者唐蘭最初提起了許愼的六書論問題, 竝新的漢字學理論三書設. 從此陳夢家, ?錫圭, 王寧等陸續提出了三書設和構形學(11書設)理論 王寧認爲漢字學包括漢字形義學, 漢字字源學, 漢字構形學, 漢字文化學等四個方面. 其中最重要之門課是漢字構形學, 而且저主張漢字的形體應該根据一定的規律和原則而構成和變化. 這樣情況下, 對構形學做了定義. 他是在個體字符的構形方式和構形系統里內在的糾明規律學門. 漢字是据構件(部件)組合成爲的. 參與漢字結構的構件功能有表形, 表義, 示音, 標示等四個功能. 漢字的組成有平面結構和層次結構兩種, 他們具體的體現方法有全功能零合成字, 標形合成字, 表義合成字, ‥‥‥音綜合合成字等的十一個類型. 如在漢字敎育適用構形學理論, 則我們可以得到和下效果. 第一, 糾明漢字的書寫單位. 比如, 最近人們'勳'這個字寫成, 就認爲書寫單位, 和'火', 然而這個字構件是'勳,'和'力', 應要寫成‘勳’. 第二, 糾正漢字的筆順. 比如, '及'的寫法人人不一, 然而這個字構件是人的變體 和‘又’, 應要寫成按‘별→ →곤→주’的順序. 第三, 探索漢字的本義, 第四, 可做科學的分析, 第五, 分析漢字構義,第六, 引起學生們的興趣.

      • KCI등재

        한문교육용 기초한자의 필순 考

        한연석 한국한문교육학회 2013 한문교육논집 Vol.41 No.-

        On the stage of 隸書(yesŏ) it is formed that the dominant principles of the stroke order:'from width to height', 'from top to bottom', 'write outside first and then inside' and exceptional principles of the stroke order:'the final consonant in the last', 'putting a spot in the end in the letter like 戈 (gwa)' However those principles are not always applied to all letters and may be different by each person, countries and penmanships. The stroke orders have been formed as they have been used. Most Chinese characters would be written beautiful by applying the principles of the stroke orders. It is recommended to refer the principle of the stroke order which Chinese scholar newly suggests. It is to think in separation that writing pilhoek and pilhoek and bugŏn and bugŏn. For example, let us look at the words 田(jŏn) and 牽(kyŏn) that have different opinions in stroke orders. The stroke orders of dokcheja '田(jŏn)' come under writing pilhoek and pilhoek. Therefore applying to the principle of pilhoek:'width first, height last', we should write width first and then height last in 十(sip) which have different opinions. The stroke orders of hapcheja ‘牽(kyŏn)’ come under writing bugŏn and bugŏn. The letter should be written in orders of ‘玄 → 冂 → 牛’ which is pugŏn writing because it consists of ‘玄(hyŏn)’ that represents sounds and ‘冂(kyŏng), 牛(u)’ that represent meanings. I recommend that people write by their own style in case of a difficult letter in which stroke orders can't be decided whatever principles would be applied because detailed examples and explanations may cause different opinions and confusion to learners. The stroke orders are important in teaching and learning of Chinese character. Writing Chinese characters by correct stroke orders makes not only writing easy and fast but also learning of Chinese characters efficient. 篆書에서 隸書로의 字體 변화를 隸變이라고 한다. 隸變은 붓과 대나무라는 書寫 도구의 사용과 일반인들의 문자생활이 많은 영향을 끼쳤고, 경천동지의 字體 변화를 가져왔다. 筆劃, 筆形, 筆劃數 등이 이때 확정되었으며 ‘가로에서 세로,’ ‘위에서 아래로,’ ‘밖을 먼저 쓰고 안은 나중에 쓴다.’라는 필순의 대원칙과 ‘받침은 나중에,’ ‘戈와 같은 글자의 오른쪽 위의 점은 나중에 찍는다.’와 같은 예외적인 필순도 형성되었다. 하지만 이들은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개인이나 국가, 또는 서체에 따라 원칙을 따르지 않는 경우도 있다. 필순 원칙은 한자를 장기간 사용하는 과정 중에 형성된 것으로, 대부분의 한자는 이를 적용하여 효과적인 書寫를 해낼 수 있다. 하지만 원칙을 적용한다 해도 필순을 정하기가 어려운 한자가 있고, 개인의 서사습관의 차이로 인해 확정하기 어려운 한자도 있다. 예컨대 ‘王’의 경우 ‘위에서 아래로,’ ‘가로획 다음 세로획’을 적용한다 해도 ‘二 → 干 → 王’이 옳은지, ‘一 → → 王’이 옳은지 확정할 수 없다. 또, 개인의 서사 습관에 의해 ‘田’의 경우 안쪽의 ‘十’을 어떤 사람은 ‘가로 먼저,’ 어떤 사람은 ‘세로 먼저’ 써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필순을 확정하기 어려운 글자들은 중국학자의 새로운 필순원칙 분석을 눈여겨 볼만하다. 그것은 필획과 필획 쓰기, 部件과 부건 쓰기로 분리하여 생각하는 것이다. 예컨대 獨體字 ‘田’의 書寫는 부건과 부건 쓰기가 아닌 필획과 필획 쓰기에 해당한다. 그렇기 때문에 필획 쓰기 원칙인 ‘가로먼저 세로 나중’을 적용하여, 안쪽의 ‘十’은 가로 먼저 세로 나중이 적합하다. 이렇게 필획쓰기와 部件 쓰기 원칙으로 분리 적용하면 예외적 필순이 감소할 것이다. 아울러 異說이 있는 필순은 漢字學的 기본에 충실해야 한다. 예컨대 필순이 어려운 牽은 聲符 ‘玄’과 義符 ‘冂, 牛’로 구성됐기 때문에 부건 쓰기인 ‘玄 → 冂 → 牛’로 써야 한다. 어떤 원칙을 적용해도 합리적 필순을 제시하기 어려운 글자는 개인의 서사 습관에 맡겨두었으면 한다. 굳이 세세한 예와 설명으로 異說을 양산하여 학습자의 혼란을 초래하지 않았으면 한다. 필순은 한자의 교수학습에 중요하다. 필순에 맞춰 한자를 書寫하면 아름답고, 쉽고, 빨리 쓸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한자 학습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 KCI등재

        中國 漢字敎育 硏究의 성과와 전망

        한연석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7 No.-

        Most studies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China have great ripple effects and confidences because they are carried out as research projects by country, state, or city. Deliver high-level in two large and reputable. Those researches so far can be largely catego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researches on the characteristics of shape, sound, and meaning. Secondly, researches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Lastly, researches utilizing modern science and civilization like computer. Recent researches are focused on learner's interest, active participation, respect for learners, creative education, and independent learning.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in Chinese school is carried out by the distributed ‘the manual for teaching Language and literature’It presents the purpose of education, contents,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cuses, and educational level per grade. ‘The standard for Language and literature class’ published in 1993 requires to teach 1600 ~ 1800 characters in Grade 1&2, 2500 characters (cumulative) in Grade 3&4, 3,000 characters (cumulative) in Grade 5&6. 500 characters to be learned are increased more than Phase I, ‘the manual for teaching Language and literature’It requires teaching characters intensively in Grade 1&2. Memorizing characters, writing, mastering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reading, dictation, and speaking are carried out i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Mastering characters by figures, dictionary, and radicals are also carried out. Recently, the framework of elementary education for Chinese character is changing. The first thing to teach for the new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was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prior to Chinese character. But, Chinese character is the first,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is the next at the moment because Chinese want to change the education from the passive way to active way. 중국의 識字敎學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국가 혹은 省, 市 차원의 연구과제로 수행되어 파급력과 공신력이 크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識字敎學法은 대략 ‘注・提’ 識字敎學, 分散識字, 集中識字, 部件識字, 聽讀識字, 猜認識字, 字謎識字, 字理識字, 字根識字, 奇特聯想識字, 計算機輔助識字, 解形識字, 多媒體熟語識字, 字形識字敎學法(筆劃分析法, 偏旁分析法, 結構分析法, 歸類利用法, 演示識字法, 謎語法), 字義識字敎學法(造字分析法(六書)), 嬰幼兒科學漢字敎育法, 科學分類識字, 潛能識字, 電腦雙拼識字, 雙腦識字, 電腦字根識字法, 大成序法識字, 字中字檢字法及識字敎學硏究 등이 연구되었다. 중국 학교의 語文교육은 국가에서 반포한 「語文敎學大綱」에 의해 이루어진다. 「語文敎學大綱」은 敎學目的, 敎學要求, 敎學內容, 課外活動, 敎學中의 주의 점, 학년별 교학주문이 제시되어 있다. 2001년 반포된 『語文課程標準』은 1, 2학년 1600〜1800자, 3, 4학년 2500자(累積), 5, 6학년 3000자(累積) 교학을 요구하는데, 이는 전 단계 『語文敎學大綱』보다 識字量이 500자 더 증가한 것이고, 1, 2학년에서 집중식자를 요한다. 初等學校識字敎育은 어문교학대강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識字敎學重點은 識字, 寫字, 拼音, 閱讀, 寫話(받아쓰기), 口語交際, 語文綜合活動 등이고, 이를 실행하기 위해 寫字, 偏旁 익히기, 査字하기, 生字에 主音하기, 자형분석하기, 자음, 字義 장악하기 등을 실시하는데, 구체적으로 圖形識字, 聽讀識字, 朗讀法, 誦讀法, 육서원리, 편방결구, 한자쓰기, 종합적인 운용을 실시하여 성취한다. 최근 초등학교 識字敎學의 큰 틀이 변화하고 있다. 능동적 식자교육과 한자의 형, 음, 의를 통한 聯想 식자교학을 위해 지금까지 실시된 先拼音識字를 先漢字識字로 바꾸었다. 중국은 간화로 인해 부수이용, 구조분석 등을 통한 전통 육서 교학 실시가 우리보다 불리한 반면, 생활언어나, 문장을 활용할 수 있어 우리보다는 식자 방법이 다양하다. 중국의 識字敎學法 중 謎語法, 컴퓨터를 활용한 ‘字中字法,’ 破字 식자법 등은 우리가 관심을 가질만하다. 앞으로 중국의 식자교학 연구는 획기적이고 새로운 방법보다는 과학기기를 활용한 식자교학, 창의적, 능동적 식자교학법 연구를 지향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字符 勿의 字源 考

        韓延錫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6 漢字 漢文敎育 Vol.41 No.-

        해서 勿은 갑골문 ( , , 勿)과 ( , 勿)을 모두 가리키기도 한다. ‘雜文’을 가리켰던 ( , , 勿)과 ‘쏘다’를 가리켰던 ( , 勿)은 갑골문 단계에서 형체가 서로 달랐다. ( , , 勿)는 卜辭에서 주로 ‘雜文’으로 쓰였다. 字源에 대해 두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 ’은 쟁기( )와 쟁기질을 할 때 나오는 ‘쟁기 밥’을 그려 ‘雜文’을 나타낸다 하고, 다른 하나는 ‘ ’의 는 칼을, 斜線은 칼로 자른 물건을 나타내어 ‘分割’을 나타낸다고 한다. 전자는 그 방증으로 ( )이 部 件인 利는 본래 ‘禾+ ’로, 쟁기로 땅을 갈면 벼에게 이롭기 때문에 ‘이롭다’란 의를 갖게 되었다고 하고, 利가 聲符인 , 黎 등은 아직도 부건 ( )의 흔적을 보유하고 있음에서 쟁기와 쟁기 밥을 그린 것이 맞다 한다. 후자는 ‘ ’는 (分)의 상부 ‘ ’이 칼로 잘려진 물건을 나타내듯이 分割, 切斷 을 나타내는데, 잡다하게 잘려진 것으로부터 雜文이 인신되었다고 한다. 또, 同源 혹은 후치자인 物 과 刎이 전적이나 복사에서 ‘베다’란 뜻을 나타내었기 때문에 본의가 ‘분할’이라 한다. 物은 ( , , 勿)과 깊은 관련이 있다. 갑골문에 物이 존재하는가는 아직 쟁론 중인데, 존재하지 않았다는 사람들은 ‘ ’처럼 ‘ + 牛’의 合文만 존재하였다고 한다. 그 반대는 ‘ ’처럼 엄연히 존재 했다고 한다. 전자는 그 방증으로 ‘ 馬 牡 牝 ’같이, 복사는 ‘ + 牛’로만 존재했다고 한다. ( , 勿)은 활을 쏜 뒤 시위가 진동하고 있는 모습을 그려 ‘쏘다’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복사에서 는 대부분 부정사로 쓰였다. 그런데 ‘雜文’을 나타내었던 이 西周 金文에 이르러 과 같이 부정사 로 쓰이면서 큰 혼란을 겪는다. 말하자면 자신들의 본의 혹은 引伸義와는 상관없이 모두 부정사로 쓰이면서 누가 ‘勿’의 初文인지 헛갈리기 시작하였다. Haeseo(楷書) Mul(勿) represents Chia-ku-wen(甲骨文) ( , Mul ‘勿’) and ( , Mul ‘勿’) both. Chia-ku-wen(甲骨文) ( , , Mul ‘勿’) represents ‘Japmun(雜文)’, ( , Mul ‘勿’) represents ‘shoot an arrow’. There are two theories about Jawon(字源) of ( , , Mul ‘勿’). First, ‘ ’ represents plough and furrow slice which was produced when plowing, so it means ‘Japmun(雜文)’. second, of represents knife, and Saseon(斜線) represents stuff cut with a knife, so it means ‘divide(分割)’. Chia-ku-wen(甲骨文) ( , Mul ‘勿’) originally represents trembling string after shooting an arrow, so it means ‘shoot an arrow’. However, it was used as infinitive such as ‘Mu (毋)’ in Chia-ku-wen(甲骨文). The shape of ( , Mul ‘勿’) have been changed in the order of ‘ ( ) - ( ) - (㢭) - ( Bal‘癹’) - - Bal(發)’ By Seoju(西周) Geummun(金文), ( , , Mul ‘勿’) which was represented ‘Japmun(雜 文)’ came into infinitive. Therefore, in 金文, with ( , Mul ‘勿’) which was being used as infinitive already, both ( , Mul ‘勿’) and , Mul‘勿’) was used as infinitive. Mul(物) have much to do with ( , , Mul ‘勿’). It is still under debate whether Mul(物) exist or not in Chia-ku-wen(甲骨文). People who claims that it did not exist said Mul(物) only exist as Habmun(合文) of ‘ + Wu(牛)’ just like ‘ ’. As proof of it, They claimed it only existed as ‘ + Wu(牛)’ with ‘ 馬(Ma) 牡(Mo) 牝(Bin) ’, However, the opponent of it claimed that Mul(物) existed clearly like ‘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