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웹 기반 학습에서 전자 텍스트 설계를 위한 시각적 조직자의 사용 편의성 효과

        한안나(Han Ahn-na) 한국열린교육학회 2006 열린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웹 기반 학습 환경에서 전자 텍스트 문서 공간의 이해를 도와줄 수 있는 인지적인 도구인 시각적 조직자(visual organizer)의 사용 편의성(usability)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자 텍스트 문서 공간을 시각화한 5가지 유형의 시각적 조직자를 개발하고, 대학생 123명을 대상으로 통제집단을 포함한 총 여섯 개의 집단에 대해 시각적 조직자의 유형별로 만족도 및 시각적 조직자 활용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였다. 검사 결과, 전반적인 활용의 용이성과 만족도(F=4.19, p=.00), 주제별 텍스트 분량 및 분포 파악(F=4.16, p=.00), 전체 구조 및 흐름 파악(F=4.07, p=.00), 내용 이해의 용이성(F=5.42, p=.00), 기억의 용이성(F=2.42, p=.04) 측면에서는 모두 전자 텍스트문서의 이미지를 상징적 추상화 형태로 제공하면서 언어적인 개요 및 구조적 단서를 제공한 시각적 조직자 유형이, 텍스트의 분량 및 분포 파악에는 전자 텍스트 문서 이미지의 단순 축소 형태를 제시하는 시각적 조직자 유형이(F=11.20, p=.00), 네비게이션의 용이성은 단순 축소 이미지 제공과 함께 언어적인 개요를 보여주는 시각적 조직자 유형이(F=2.77, p=.02) 가장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전자 텍스트 설계를 위한 전략이 제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design principles and utilization strategies of the visual organizers, which enables learners to comprehend the text and to understand text structure better in the electronic document space. In order to verify quantitatively the usability of newly developed principles and strategies of the visual organizers, an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In the experimental study, 123 undergraduate students were divided into 5 groups in order to verify the usability of the developed visual organizers.<BR>  Findings were as follows; In the usability test, the presentation of Type 5 organizer (abstraction+overview+structure) was most efficient in ease of utility and satisfaction (F=4.19, p=.00), quantity and distribution of texts per topics(F=4.16, p=.00), comprehension of structure and overview(F=4.07, p=.00), ease of content understanding(F=5.42, p=.00), ease of remember(F=2.42, p=.04). And the presentation of Type 1 organizer (reduction) was most efficient in recognizing quantity and distribution of texts in advance(F=11.20, p=.00). And the presentation of Type 2 organizer (reduction+overview) was most efficient in ease of navigation (F=2.77, p=.02).<BR>  The results of this study seemed to demonstrate the positive potential of visual organizers in designing electronic text. By reflecting structural attributes, by arranging text structures, and by providing the information of location, form and length the visual organizers seemed to provide vital information to the learners in e-learning situation.

      • KCI등재

        유아 창의성 교육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한안나(Anna Han),황희숙(Heesook Hwang) 인지발달중재학회 2023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4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창의성 교육과 관련하여 수행된 질적연구들을 종합하고 분석하여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한다. 연구방법: Noblit와 Hare(1988)가 제시한 질적 메타분석의 연구 절차 7단계를 적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창의성 교육 관련 질적 연구물 23편을 대상으로 질적 메타분석을 적용한 결과, 3가지 차원과 7가지 범주 체계가 도출되었다. 자세히 살펴보면, 유아 차원에 창의적 유아의 특성, 교사 차원에 창의적 교사의 인성 특성, 창의적 수업,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유아교사교육, 환경 차원에 가정환경, 교육기관으로 재범주화 되었다. 결론: 개별 질적연구 23편을 종합․분석하여 도출된 새로운 결과를 통해 유아 창의성 교육을 폭넓게 이해할 수 있게 되었고, 집단 창의성, 교사교육 및 부모교육의 강조, 물리적 지원 등의 환경 차원에서의 변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synthesize and analyze the qualitative research on early childhood creativity education to develop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uch education. Methods: This seven steps of the qualitative meta-analysis process outlined by Noblit and Hare (1988) were applied. Results: A qualitative meta-synthesis of 23 qualitative studies on early childhood creativity education revealed in three categories (child, teacher, and environmental dimensions) and seven classification schemes. Specifically, the child dimension was re-categorized into characteristics of creative young children, the teacher dimension into character traits of creative teachers, creative lessons, perceptions of creativity and creativity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and the environmental dimension into home environment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Conclusions: New findings provide a broader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creativity education and suggest the need for changes in the environmental dimensions of collective creativity, emphasis on teacher and parent education, and physical support.

      • KCI등재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의 운영과 성과: D 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안나(Han An na)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敎育問題硏究 Vol.30 No.4

        본 연구는 핵심역량을 균형있게 함양하기 위해 개발된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 및 운영 체계 사례를 통해, 비교과 활동 성과와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비교과 활동의 계획 수립과 운영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D 대학교에서 시행 중인 비교과 교육과정에 참여한 대학생 8,016명의 비교과 활동 자료를 바탕으로 학생의 배경 변인에 따른 비교과 활동의 성과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비교과 활동에 참여한 노력과 실적을 비교과 활동 성과로 설정하고, 이를 정량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비교과 활동지수를 개발하였으며, 학생들의 계열, 학년, 성별, 입학유형, 복수전공 여부, 성적(학점)에 따른 비교과 활동지수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학생의 배경 변인에 따른 비교과 활동 성과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예체능 계열, 3학년, 여학생, 수시모집 학생, 복수전공 학생, 고학점의 학생이 다른 집단에 비해 비교과 활동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의 특성에 따른 비교과 활동의 계획수립이 필요하며, 수업과 수업 외 활동을 연결하는 비교과 프로그램의 개발과 비교과 활동에 대한 성과를 관리하고 지원하는 대학 차원에서의 노력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curriculum construction cases and operating systems to enhance the educational performanc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related variables. For this purpose, based on the data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8,016 sample college students, I analyzed the difference in performanc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according to major, grade, gender, admission type, double major, and grade(GPA).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variables of the students. Arts and physical education major, third grade, female, occasional admission students, double major students, and high GPA students showed higher extracurricular performance than the other group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lan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and to develop the programs linking the classes and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o make efforts at the university level to support the outcomes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 KCI등재

        영유아 아버지의 부성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타자와의 관계 맺음을 통한 아버지됨

        한안나 ( Han Anna ),손준희 ( Son Jun Hee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연구논총 Vol.39 No.4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서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들의 양육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한 연구들의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의 다양한 관계맺음으로 인한 아버지됨의 의미를 종합적으로 고찰해보고, 나아가 한국 사회의 새로 정립된 아버지 양육참여에 대한 성찰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학술지에 게재된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들의 양육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한 질적 연구물 11편을 대상으로 Noblit와 Hare(1988)가 제안한 질적메타분석의 과정 7단계를 적용하여 연구들의 의미를 종합하고 개념화, 범주화 하였다. 연구 결과, Levinas의 눈을 빌려 ‘타자와의 관계맺음을 통한 아버지됨’이라는 제목 하에 현존하는 타자와 부재하는 타자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는 4개의 핵심개념인 가까운 타자, 먼 타자, 과거의 타자, 미래의 타자와, 자녀를 포함한 7개의 하위분류로 나타났으며, 각각은 아버지들의 실제 목소리를 사례로 제시하였다. By performing a qualitative meta-synthe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becoming-father of fathers with young children through various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to reconceive a father’s role in child rearing in Korea. The research method employed a qualitative meta-synthesis according to the seven steps proposed by Nobblit and Hare(1988). The subjects were based off eleven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s covering fathers’ experience of parenting children, in which participants were fathers with young children in Korea. The researchers described ‘becoming-father’ in the articles were synthesized, conceptualized, and categorized. As a result of the study, two categories of meaning (presenting others and absenting others), four core concepts (closer, further, past and future others), and seven subclassifications (children, wife, parents of origin, workplace, community and social system, childhood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ideal father) were encompassed under an umbrella term for ‘becoming-father through relationships with the others’ adopted from the eyes of Levinas. All of the research results were the voices of fathers and these revealed contemporary fathers' minds for becoming-fathers in Korea.

      • KCI등재

        온라인 토론학습의 영향요인에 대한 학습자의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 분석

        한안나 ( Ahn Na Ha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4 No.2

        웹 기반 온라인 토론학습은 학습자의 참여를 이끌어내고 상호작용을 유도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토론학습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온라인 토론학습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을 알아보고자 사이버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온라인 토론학습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3개 영역(학습자 내적요인, 설계관련요인, 인적요인)의 12개 항목(컴퓨터매개통신에 대한 태도, 글쓰기에 대한 태도, 토론학습방법에 대한 인식, 내적/외적 동기, 토론주제의 관련성, 교수자와의 상호작용, 심리적/물리적 환경, 교수전략, 토론방법지원, 원격학습자요인, 동료학습자 요인, 교수자 요인)을 도출하였다. 조사결과, 선행연구에서 도출한 12개 항목 모두에 대해 중요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실행도는 보통 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났고, 중요도가 높은 항목으로는 교수자 요인과 토론방법지원, 교수전략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영역에서 중요도와 실행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중요도-실행도 차이 순위 분석 및 매트릭스 분석결과, 컴퓨터매개통신에 대한 태도, 글쓰기에 대한 태도가 중요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실행도를 보였으며 집중관리항목으로 나타나 온라인 토론학습을 위해서는 이에 대한 학습자의 사전교육과 안내가 필요하다는 실행전략이 도출되었다. Online discussion in Web-based instruction paly an important role in quality control for the students` successful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udent`s perception on online discussion learning and to identify most significant difficulties faced to student when engaged in online discussion learning. This study derives three categories(learner-related factor, design-related factor, human-related factor), twelve elements(attitude toward CMC, attitude toward writing, awareness of discussion methods, extrinsic/intrinsic motivation, relevance of the discussion topic, interaction with instructor, psychological/physical environment, instructional strategics, discussion method support , distance-learner factor, peer-learner factor, instructor factor) which affect effectiveness of online discussion learning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 and examines student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rdering of the twelve elements and performance level in each elements of online discussion learning in a survey of 81 students at cyber university in Korea. Based on the result, the priorities among various elements of online discussion are set forth and their implementing strategies for successful online discussion learning a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study, all of twelve elements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ir perception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in online discussion learning. After performing importance-performance matrix, I find that the attitude toward CMC and writing are in need of systematic improvement and support.

      • KCI등재

        비대면 수업에서 온라인 실습활동의 사례 : 기초전기회로 및 실습 교과목을 중심으로

        한안나(Han, Anna),이호철(Lee, Ho-Cheol) 한국공학교육학회 2022 공학교육연구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operate non-face-to-face online practice class in engineering education, and to explore students’ perceptions and effectiveness of them. To this end, afte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strategy for non-face-to-face online practice activities in the ‘Introduction to Electric Circuits and Lab’ course, the questionnaire responses of 47 learners were analyzed, and the group differences were investigated using Kruskal-Wallis tes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tudents perceptions of non-face-to-face online practice class were positive in terms of learning effect, learning convenience, interaction, and satisfaction. The group difference according to the face-to-face/non-face-to-face preference method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group that preferred non-face-to-face class in terms of learning convenience, interaction and satisfaction. As for the group differe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learners, the group who answered the question showed a higher awareness of the learning convenience and interaction than the group that did not. In addition, implications for designing a learning environment for non-face-to-face online practice classes were presented.

      • KCI등재

        국내 게이미피케이션 연구동향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한안나(Anna Han)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5

        본 연구는 국내 게이미피케이션 연구의 동향과 성과를 고찰하고, 연구방향에 대해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을 통해 선정된 논문 131편을 대상으로 연구시기, 연구목적, 연구유형, 연구방법, 연구결과에 따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국내에서도 관련 연구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면서, 2015년 이후부터 다양한 비게임 분야의 학술적 논의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목적별로는 게이미피케이션 전략·프로그램·디자인의 활용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평가목적의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시기별 연구목적 분포의 경우 게이미피케이션 논의 초창기에는 소개·분석목적의 연구가, 2014년 이후부터는 게이미피케이션 전략 개발과 효과 검증을 다루는 연구들이 증가하였다. 연구유형별로는 솔루션, 평가, 포지션페이퍼, 타당화 연구 순이었다. 연구방법별로는 문헌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양적연구, 질적연구, 혼합연구의 순이었다. 연구결과를 보고한 45편의 논문에 대한 연구결과별 분석에서는 심리적 효과를 다룬 논문이 21편, 행동적 효과를 다룬 논문이 17편, 심리적, 행동적 효과를 모두 다룬 논문이 7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rends and achievements of domestic gamification studies and to suggest further research directions. For this purpose, I collect references in domestic gamification and then analyze them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hrough search DB, 131 references were collected, the references were analyzed by year, purpose, research type,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mount of gamification research has increased steadily, and academic discussion in the non-game context has increased sharply since 2015. The results of analysis by research purpose showed that the most research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strategy, program, and design of gamification. The results of research type showed solution, evaluation, position paper, and validation study in that order.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literature research was the most common, followed by quantitative, qualitative and mixed research. In the analysis of 45 papers that reported the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21 articles about psychological effects, 17 articles about behavioral effects, and 7 articles about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effects. Further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based on the review results.

      • KCI등재

        대학의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서 인식된 튜터의 역할이 만족도와 학습성과판단에 미치는 영향

        한안나(Han Ahn 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대학의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서 튜티가 인식한 튜터의 역할이 만족도와 학습성과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분석을 통해 대학의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 적합한 튜터의 역할을 분석하여 학습과정 안내자, 학습자원 제공자, 상호작용 촉진자로서의 역할을 분류하였으며 요인분석을 통해 세 가지 역할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2011년 1학기 A 대학교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튜티 64명을 대상으로 인식된 튜터의 세 가지 역할, 만족도, 학습성과판단 자료를 수집하여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튜터 역할에 대한 인식(학습과정 안내자, 학습자원 제공자, 상호작용 촉진자), 만족도, 학습성과판단 간에는 모두 높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튜터 역할에 대한 인식이 만족도와 학습성과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습과정 안내자 역할( t=.145, p<.01), 상호작용 촉진자 역할( t=-.701, p<.01)이 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F=53.694, R2² = .729, p<.01), 학습성과판단에서도 학습과정 안내자 역할( t=-2.763, p<.01), 상호작용 촉진자 역할( t=-2.993, p<.01)이 학습성과판단을 유의미하게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24.518, R² = .551, p<.0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arners perceived roles of a tutor on satisfactions and perception of learning achievement in peer tutoring program. To achieve the purpose, an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with 64 tutee attending the peer tutoring program at a A university for the first semester of 2011. To measure the learners perceived roles of a tutors this study was to categorize tutor roles in peer tutoring into three roles: guider of learning process, provider of learning resources, facilitator of interaction. For learners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learning outcom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all the variables. And the learners perceived roles of a tutor predicted satisfactions and perceptions of learning achievement.

      • KCI등재
      • KCI등재

        웹 기반 학습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시각적 조직자(Visual Organizer) 전략의 효과

        한안나(Ahn-Na Han)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9

        본 연구는 웹 기반 학습 상황에서 전자 텍스트 문서 공간에 대한 시각적 이해를 돕고 네비게이션을 지원할 수 있는 시각적 조직자(visual organizer)의 구현에 관한 것이다. 선행 연구된 시각적 조직자의 설계원리에 따라 시각적 조직자를 개발하고 방향감 상실, 인터페이스 만족도,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 용이성, 지속적 이용의도 측면에서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존 웹 기반 학습 프로그램에 비해 모든 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lement a visual organizer which enables learners to support web navigation as well as visual understandings in the electronic document space. I developed a visual organizer according to design principles of visual organizer, and then analysed the effect of a visual organizer on the students' disorientati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usability, satisfaction and use intention. According to the result, using the visual organizer was more effect than conventional web-based instruction in view of navigation and visual understa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