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독립운동의 성과와 계승

        한시준 ( Han¸ Seejun ) 단국사학회 2020 史學志 Vol.60 No.-

        1945년을 기점으로 역사가 새롭게 시작된 것처럼 이해하는 것은 곤란하다. 1945년 이전시기 우리 민족은 일제의 식민지지배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독립운동은 단순히 일제와 싸운 것만 아니었다. 독립운동 과정에서 민족의 역사를 변화 발전시킨 것들이 수없이 많았고, 이러한 경험들이 해방 후의 역사와 깊은 관계가 있다. 독립운동 과정에서 거둔 성과가 적지 않다. 1919년 3월 1일 ‘독립국’임을 선언하고 그해 4월 11일 ‘독립국’으로 대한민국을 건립하고, 임시정부를 수립한 것이 대표적인 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독립운동 과정에서 새롭게 건립한 국가(대한민국)였고, 정부(임시정부)였다.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면서 민족의 역사가 크게 뒤바뀌었다는 점도 있다. 단군의 고조선 이래 1910년까지 이어져 오던 군주주권의 역사가 국민주권의 역사로, 전제군주제의 역사가 민주공화제의 역사로 바뀐 것이다. 1948년 8월에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할 수 있었던 것도 독립운동을 통해 마련된 것이었다. 일제가 패망한 후 미군과 소련군이 한반도를 점령하고 통치하였지만, 이들은 3년만에 물러났다. 미소 양군이 물러난 데는 이유가 있었다. 1943년 카이로회의에서 일본이 패망하면 한국은 자유 독립국으로 한다는 약속이 있었기 때문이다. 연합국이 한국의 독립을 보장한 것은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장개석을 움직여서 거두어낸 성과였다. 독립운동 과정에서 생성된 정신적 자산도 있다. ‘독립정신’이다. 독립정신은 남들이 모두 불가능하다고 하는 일을 가능하다고 믿고 도전하는 정신이라고 할 수 있다. 독립운동의 상대는 일본이었다. 일본과 싸워 이긴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나 다름없었다. 흔히 독립운동을 ‘계란으로 바위치기’에 비유한다. 계란으로 바위를 부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독립운동가들은 바위를 부수려고 도전하였고, 결국 바위는 부숴졌다. 불가능한 일에 도전하여 가능하게 만든 것이다. 해방 후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한 것, 그리고 현재의 국회와 국군은 모두 독립운동에서 비롯되었다. 1948년 8월에 수립된 대한민국 정부는 1919년에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계승 재건한 것이다. 국회도 해방 후 새롭게 설립한 것이 아니다. 1919년 4월 11일에 설립된 임시의정원에서 비롯된 것이다. 국군도 마찬가지다. 흔히 국군의 뿌리는 미군정에서 설립한 국방경비대에 있는 것으로, 국군의 주체는 일본군 출신인 것으로 생각하는 것 같다. 미군정은 건군을 추진하면서 일본군 출신 이응준의 자문을 받았지만, 일본군을 내세우지 않았다. 광복군을 내세웠다. 이승만 대통령도 그랬다. 초대 국방부 장관과 차관에 이범석과 최용덕을 임명하였고, 육군사관학교 교장에 광복군 출신들을 연이어 임명하였다. 해방 후의 역사는 독립운동과 무관하지 않다. 독립운동 과정에서 민족의 역사가 크게 변화 발전하였고, 이러한 역사적 경험이 해방 후로 계승되고 발전된 것이다. 오늘날 우리가 대한민국이란 국가에서, 그리고 국민주권과 민주공화제 시대에 살게 된 것은 독립운동을 통해 마련되었다는 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as if history had begun anew since 1945. Before 1945, the Korean people started the independence movement to escape from Japanese colonial rule. On March 1, 1919, the government declared itself an "independent nation", and on April 11, 1919, it established the Republic of Korea as an "independent nation", and established a provisional government.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a newly established state and government during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 history of monarchy has been changed to the history of national sovereignty, and the history of despotic monarchy has been changed to the history of democratic republics.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in August 1948 was established through the independence movement. This is because there was a promise at the Cairo Conference in 1943 that Korea would become a free and independent country if Japan was defeated. It was the achieve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hat guaranteed Korea's independence.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fter liberation, and the current National Assembly and the Armed Forces, all originated from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in August 1948, was reconstructed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1919. The National Assembly originated from the Provisional Assembly, which was established on April 11, 1919. The root of the Korean army lies in the Liberation Army. The history of post-liberation has nothing to do with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proces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 history of the people changed and developed greatly, and these historical experiences were inherited and developed after libera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today, we live in a country called the Republic of Korea, and in the era of national sovereignty and democratic republic, through the independence movement.

      • 일제침략에 대한 한중 공동항전의 역사적 경험과 과제

        한시준 ( Seejun Han ) 단국사학회 2016 史學志 Vol.52 No.-

        한국과 중국은 20세기 전반기에 공유하였던 역사적 경험이 있다. 한국과 중국 모두 일본제국주의의 침략을 받았고, 한중 양민족은 일제가 패망할 때까지 상호 협력하면서 공동으로 대일항전을 전개하였다. 일제를 상대로 한 한중의 공동항전은 중국 각 지역에서, 또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었다. 1931년 9월 일제가 만주를 침략하자 만주지역에 거주하고 있던 한중 양민족이 서로 연합하여, 공동으로 일본군과 싸웠다. 한국의 조선혁명군과 한국독립군이 중국의 요녕민중자위군· 길림구국군 등과 연합하여 공동항전을 전개한 것이 그러한 예이다. 중국관내지역에서도 다양한 방법의 공동항전이 이루어졌다. 1910년 이래 많은 한인청년들이 중국의 군관학교에 들어가 군사훈련을 받았고, 이들이 중국군으로 대일항전에 참전하였다. 또 한국의 독립운동 세력들이 조선의용대· 한국청년전지공작대· 한국광복군 조선의용군 등을 조직하여 중국군과 함께 항일전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20세기 전반기 한국과 중국은 일제를 상대로 공동항전을 전개하였고, 그 결과 일제의 침략을 물리치고 해방과 승전을 거두었다. 한중 양국은 일제의 침략을 물리친 공동의 경험을 기억하고, 이를 역사적으로 정리하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There are historical experiences that were shared between Koreans and Chinese in the 1st half of the 20th century. Despite the temporal and methodological differences, both Korea and China were invaded by the Japanese imperialism. Invaded by the Japanese empire, Korea and China came to share a ``common fate`` and considered the Japanese empire as their ``mutual enemy.`` And both Koreans and Chinese collaborated each other and fought the anti-Japanese war together. The Korean-Chinese coalitional war against the Japanese empire were developed throughout China in various forms. The typical area in which the Korean-Chinese coalitional war were developed was Manchuria. As the Japanese empire invaded Manchuria in September of 1931, Koreans and Chinese living in the area allied and fought against the Japanese army together. The fact that Korea`s Joseon Revolutionary Army(Joseon Hyeokmyeong-gun) and Korean Independence Army(Han-guk Dokripgun) working in Manchuria allied with China`s Liaoning People`s Self-Defence Army(Liaoning Minjung Jawigun) and Gillim National Salvation Army(Gillim Gugukgun) and developed the coalitional war was one of such examples. Also in the Inland China some coalitional wars of various methods were fought. Since 1910`s many Korean young men entered Chinese military academy, took military training, and then joined Chinese army to fight the anti-Japanese war. Som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groups organized Joseon Euiyongdae · Hanguk Cheongnyeon jeonji gongjakdae · Hanguk Gwangbokgun · Joseon Euiyonggun and fought the anti-Japanese war together with Chinese army. The fact that the Chinese Nationalist Party Government(Kuomintang) and the Chinese Communist Party supported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was an important example for the coalitional war. Since Sun Wen`s Constitutional Protection Government, the Chinese Nationalist Party Government supported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Chinese Communist Party helped Joseondokripdongmaeng`s activities in Yan`an. Especially, the result of Jiang Jieshi`s positive support and effort was that the Cairo Conference of 1943 confirmed Korea should become free and independent after the war. In the 1st half of the 20th century Korea and China went through a lot of suffering and ordeal due to the Japanese invasion. Throughout the process Korea and China deployed the coalitional war against the Japanese empire, and for the result defeated the Japanese empire`s invasion and achieved the liberation and the victory. Korea and China together have the historical experiences defeating the Japanese empire`s invasion. Nonetheless, for over the 70 some years the history of the Korean-Chinese coalitional resistance has not been settled yet. Both Korean and Chinese must remember the communal experiences that they defeated the Japanese empire`s invasion together, and prepare a plan to historically organize them.

      • 중국군으로 대일항전을 전개한 김홍일

        한시준 ( Han Seejun ) 단국사학회 2018 史學志 Vol.57 No.-

        Kim Hong-il was a Korean, yet participated in Chinese Army for nearly 30 years. He entered Guizhou Military Academy for Army (貴州陸軍講武學校: Guizhou Lujun Jiangwu Xuexiao) in 1919 for military training; since then till he came back to Korea in 1948, he served for Chinese army. For the time, Kim Hong-il participated in the Northern Expedition as a member of National Revolutionary Army (國民革命軍: Guomingemingjun); and during the Sino-Japanese War he fought against the Japanese empire as a commanding officer of Chinese army. His rank reached Brigadier General of Army (陸軍少將), and he passed through Army College (陸軍大學) which was the highest training course in Chinese Army. Besides the period in the early 1920’s in which Kim Hong-il served for Korean National Independence Army in Siberia, most of his military career was in Chinese Army. He started his Chinese Army career in 1926 as a major (小校) in the Eastern Rout Corps (東路軍) General Headquarter of National Revolutionary Army; he, then in sequence, took the posts of the vice-commander of an independent defence regiment in Zhejiang Province, the chief of staff and manager of arsenal of Wusong (吳淞) Fortress in Shanghai, the adjutant general of Army Engineering School in Nanjing, a member of Munition Planning Committee of Chinese Military Committee, the senior staff of Southwestern Government (西南綏靖公署) in Guizhou (貴州), the chief of staff in the 102nd division, the chief of staff of the 19th corps headquarter, the commander of the 19th division under the 19th corps, the chief of staff in the 2nd Army in Guilin (桂林), and the chief of staff of the Korean Liberation Army. After Japanese Empire surrendered, he took the office of the senior staff of the Northeastern Security Headquarter (東北保安司令部) which recovered Manchu area. Kim Hong-il participated in Northern Expedition and Sino-Japanese War as a member of Chinese Army. In 1926, he joined into National Revolutionary Army in Shantou (汕頭) of Guangdong Province, and fought against Warlord Sun Chuanfang in Fujian (福建), Shanghai (上海), and Hangzhou (杭州). Especially, he defeated Sun Chuanfang’s troops in Longtan (龍潭) nearby Nanjing; for this he received a medal from Guomintang Government. Since Sino-Japanese War broke out in 1937, he as a commanding officer fought several battles against Japanese army. Among them, the Battle of Wanjialing in October of 1938 and the Battle of Shanggao in March of 1941 represents the victories of Kim Hong-il as a commander. He participated in the Battle of Wanjialing as the chief of staff of the 102nd division, and in the Battle of Shanggao as the commanding general of the 19th division. He destroyed Japanese camp by firing mortars in Wanjialing; and he lured Japanese troops into a trap and besieged them in Shanggao. Especially, the Battle of Shanggao was one of China’s great notable victories in the history of Sino-Japanese War, and is known as ‘Shanggao Huizhan (上高會戰)’. Kim Hong-il’s activities should be highlighted as important examples of Chinese-Korean Anti-Japanese Alliance.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Korea and China shared a common fate fighting against the Japanese Empire, Korean and Chinese peoples allied together in various ways against Japanese army throughout Manchu and Chinese continent. One of the ways is that Koreans participated in Chinese Army in order to fight against the Japanese empire, like the case of Kim Hong-il. Thus, the historical cases in which Korean and Chinese peoples allied together against the Japanese empire should be discovered and researched.

      •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민주주의

        한시준 ( Han Seejun ) 단국사학회 2019 史學志 Vol.59 No.-

        한국민족의 역사에서 일어났던 가장 커다란 변화와 변혁을 꼽으라면, 무엇을 들 수 있을까? 여러 가지 의견이 있겠지만, 군주주권의 역사가 국민주권의 역사로 바뀐 것이라 하겠다. 이러한 민족사의 대전환이 이루어진 것은 20세기 전반기였고, 그 계기는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이었다.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을 계기로 민족사의 대전환이 이루어졌다. 1919년 3월 1일 ‘독립국’임을 선언한 독립선언이 발표되고, 40여일 후인 4월 11일에 독립국으로 ‘대한민국’을 건립하면서 민족사가 뒤바뀐 것이다. ‘대한민국’은 국민이 주권을 갖는 국가로 건립되었다. 이로써 반만년 동안 지속되어 오던 군주주권의 역사가 국민주권의 역사로 바뀐 것이다. 임시정부의 수립도 민족사를 크게 바꾸어 놓았다. 임시정부의 헌법을 통해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함”이라고 하여, 전제군주제의 역사에서 민주공화제의 역사로 바뀐 것이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헌법을 제정하고, 헌법을 기초로 정부를 운영하면서 국민주권과 민주공화제를 정착 발전시켰다. 임시정부는 1919년 4월 11일 민주주의 원리에 기초한 헌법으로 <대한민국임시헌장>을 제정하고, 이를 근거로 정부를 운영하였다. 이후 헌법은 1944년 4월 <대한민국임시헌장>을 개정할 때까지 모두 5차례에 걸쳐 보완되고 개정되었다. 헌법을 기초로 한 정부의 운영과 경험은 민주공화제를 정착 발전시키는 데 있어 주요한 자산이 되었다. 민주주의가 정착 발전되는 데 크게 기여한 것은 임시의정원이었다. 임시의정원은 각 지방인민을 대표하는 의원들로 구성된 임시정부의 입법기관이었다. 국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대의기구로 의정원을 두고, 의정원의 결의에 의해 정부를 유지 운영한 것이다. 의정원은 1930년대부터 정당을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이후 1942년 좌익진영의 정당 및 단체들이 의정원에 참여하면서 다당체제로 바뀌었고, 여당과 야당도 생겨났다. 의정원을 통한 이러한 경험은 정당정치의 기원을 이룬 것이었고, 국민주권과 민주공화제를 정착하고 발전시키는 데 커다란 디딤돌이 되었다. 임시정부는 1941년 광복 후 건설할 민족국가에 대한 총체적인 계획을 <대한민국건국강령>이란 이름으로 제정 공포하였다. 핵심은 신민주국을 건설한다는 것이었고, 신민주국은 전민족 최대 다수의 균등한 생활을 실현할 수 있는 국가였다. 그 방안은 정치· 경제· 교육의 균등을 기초로 한 균등사회를 건설한다는 것이었다. 삼균주의를 기본이념으로 하는 ‘삼균주의 국가’를 건설하고자 한 것이다. ‘삼균주의 국가’를 다른 말로 표현한 것이 신민주국이었다. 신민주국이란 신민주주의 국가를 말하는 것이고, 구민주주의 국가를 건설하지 않겠다는 뜻이 담겨져 있다. 구민주주의는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를 일컫는 것이다. 미국의 자본주의나 소련의 사회주의 국가를 따르지 않고, 한국민족의 독자적인 국가를 건설한다는 의미였다. 그리고 자본주의와 사회주의가 안고 있는 결점을 보완하고, 이들보다 더 발전된 민주주의 국가를 건설하겠다는 것이 ‘삼균주의 국가’였다. To cite the biggest change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race, what can be said? There are many opinions, but the history of Monarch has changed to that of Popular Sovereignty. This transition was prompted by the 3.1 Move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history of the nation changed when it declared itself an independent nation on March 1, 1919, and 40 days later, on April 11, 1919, it was founded as an independent nation ‘Republic of Korea'. The Republic of Korea was founded as a nation of Popular Sovereignty. The establishment of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as also greatly changed national history. It has been transformed into a history of Democratic Republics through the Constitu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established the Constitution and operated the government based on the Constitution to establish and develop Popular Sovereignty and Democratic Republics. On April 11, 1919, < The Korean Provisional Charter of the Constitution > enacted as a constitution based on democratic principles and ran the government based on it. Since then, the Constitution has been supplemented and amended on five occasions until the amendment of < The Korean Provisional Charter of the Constitution > in April 1944. The operation and experience of a government based on the constitution has become a major asset in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a democratic republic. It was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that contributed greatly to the settlement and development of democracy.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was a legislative body of the interim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consisting of lawmakers representing each local people. It had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as an organization to collect the opinions of the people and ran the government under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s resolution.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have been running around political parties since the 1930s. In 1942, left-wing parties and groups joined the parliament, which also resulted in the creation of the ruling party and opposition parties. This experience achieved the origin of party politics and served as a great stepping stone to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Popular Sovereignty and Democratic Republ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