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도시재생 앵커시설의 재원조달구조 사례분석을 통한 민간투자 활성화 방안 연구

        한승욱(Seoung-Uk H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0

        2013년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된 후, 정부는 인구감소를 동반한 도시쇠퇴 문제를 해결하고 도시의 핵심기능을 재생하는 것을 목표로 대규모의 자본이 소요되는 재생사업에 민간의 참여 및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도시재생사업에 민간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특성에 맞는 자금조달구조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지방소도시에서 민간투자 유치를 통한 도시재생 앵커시설을 조성한 사례인 왓카나이역 재생사업의 재원조달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시재생사업을 통한 앵커시설을 조성 시 민간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첫째로 도시재생사업 기획단계에서 민간사업자의 적정한 사업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둘째로 사업리스크가 큰 초기단계에서 공적재원의 직접적 지원과 신용보강이 이루어져야 한다. 향후 도시재생 앵커시설 조성할 시 공공의 재정적 역할 분담과 부동산 유동화를 통한 재원조달 방식을 활용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The Special Act on Revitalization and Support for Urban Regeneration was enacted in the year 2013. Since then, the government has been trying to attract the participation and investment of the private sector to promote regeneration projects requiring large-scale capital. The goal of these projects is to solve the problem of urban decline accompanied by a population decline and revitalizing the core functions of the city. To promote private investment, it is necessary to have a financing structure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ence, this study analyzed the financing structure of the Wakkanai Station regeneration project, which constructed an urban regeneration anchor facility through private investment. From this study, the following observations are made on how to promote private investment in constructing anchor facilities through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irst, adequate profitability of private operators must be ensured in the planning stage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tself. Second,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ith high project risk, direct support from public finance and credit enhancement has to be made at the initial stage of the project itself. It is also inferred from this study that in the future while constructing an anchor facility for urban regeneration, it is necessary to make a policy effort to utilize the financing method through division of public financial roles and real estate securitization.

      • KCI등재

        도시재생정책 초기의 지역밀착형 커뮤니티 비즈니스 특성에 관한 연구

        한승욱(Han Seoung-Uk) 한국지역학회 2021 지역연구 Vol.37 No.3

        부산광역시는 도시재생특별법이 제정되기 이전인 2010년부터 도시재생 전담조직을 신설하고 산복도로 르네상스사업과 희망마을만들기사업과 같은 지역재생사업을 자체 예산으로 추진하면서 도시정책에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참여를 확대해 온 선도적 지자체이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정책 초기에 부산광역시를 거점으로 한 지역밀착형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운영현황과 특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역밀착형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지향점은 ‘지역 공동체 의식 강화’에 있는 반면, ‘지역주민간 상부상조 기회 제공’과 ‘지역 주민들의 지역사회 이해 강화’ 등의 파급효과는 낮으며, ‘충분한 사업자금 확보’와 ‘필요한 인재 확보’가 운영상의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향후 도시재생정책에서 지역밀착형 커뮤니티 비즈니스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보조금을 확대하기보다 도시재생사업의 기능조직으로 전환하고 사업참여 기회의 확대가 필요하다. In 2010, Busan Metropolitan City established an organization dedicated to urban regeneration. The Sanbok Road Renaissance Project and Hope Village Project are representativ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usan Metropolitan City is a leading local government that has expanded community business through urban policies. This study analyzed the operational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community-based community businesses bas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in the early stages of urban regeneration policy. As a result, the direction of community-based community business is ‘community empowerment’. However, the project effects such as ‘expansion of opportunities for local residents to help each other’ and ‘residents’ understanding of the local community’ were low. In order to operate a community business, it is important to secure sufficient business capital and secure necessary human resources. In order to revitalize community-based community businesses through urban regeneration policies, it is necessary to convert support into functional organization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rather than expanding subsidies and expand opportunities for business participation.

      • KCI등재

        일본 역세권 복합개발형 도시재생사업의 특성과 정책적 시사점에 관한 연구

        한승욱(Seoung-Uk H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4

        최근 국토교통부는 주요 역세권을 대상으로 주거, 상업, 복지기능을 강화한 고밀복합개발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다음 정부의 주요 주택 공약에도 미활용 국공유지를 복합입체화로 개발하고 도심 및 역세권은 복합개발을 통해 20만호의 주택을 공급하는 방안이 포함되어 있다. 향후 도심 및 역세권의 고밀복합개발을 통해 사업성을 제고하고, 신속한 주택공급의 확대를 위해서 혁신지구 제도를 활용하여 역세권 복합개발형 도시재생사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을 통해 대도시의 국제경쟁력을 강화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관련 정책을 추진해 온 일본의 역세권 복합개발형 도시재생사업 사례를 분석하였다. 다양한 사업방식과 정책을 활용한 일본의 역세권 복합개발형 도시재생사업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역세권 복합개발형 도시재생사업을 추진 시 사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역세권 복합개발사업은 단순한 주택공급이 아닌 도시의 재구조화와 국제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하고, 주거, 상업, 복지기능을 복합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민간자본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사업추진 시 필요한 정책적 지원, 특히 세제와 관련한 지원이 필수적이다. Recentl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as been promoting high-density complex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sphere of influence of subway stations. The election promises of the next government also include the supply of housing in stations" spheres of influence. In the future, high-density complex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stations" spheres of influence are expected to increase to expand housing supply based on increased profitability. This study analyzes the case of Japan, which improved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metropolitan cities through urban regeneration policy and promoted high-density complex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stations" spheres of influence using various development method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esents some related policy suggestions. The aim of the regeneration projects is to restructure the city and strengthen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policy support is needed to promote this. In addition, tax incentives are essential to induce market capital participation.

      • KCI등재

        복합노화를 받는 EPDM 고무의 가속수명예측

        한승욱(Seung Wook Han),곽승범(Seung Bum Kwak),최낙삼(Nak Sam Choi) 대한기계학회 2014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38 No.5

        내연기관의 냉각기 고무호스에 사용되는 EPDM 고무는 열과 기계적 하중을 받는 동시에 국부적으로 형성된 전기적 스트레스를 받아 복합적인 노화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EPDM 고무의 전기화학적 복합노화 시험을 하고, 아레니우스 관계식을 이용하여 노화온도(60℃, 80℃, 100℃)에 따른 가속수명 예측식을 구하였다.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인장변형률(5%, 10%)을 반영하여 예측식의 기울기(Ea/R) 및 아레니우스 상수(C)를 고려한 수정된 수명예측 식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노화온도와 인장변형률에 영향을 받은 EPDM 고무의 수명을 예측하였고, 수정된 수명예측 시간이 실제 실험결과의 편차 범위 이내에서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The EPDM(ethylene-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s used for manufacturing engine radiator hoses can be degraded by locally generated electrical stress in addition to thermal and mechanical stresses. This study presents an accelerated life prediction of the EPDM rubber under electrochemical stresses using the Arrhenius formula under various aging temperatures(60℃, 80℃, and 100℃). The modified life prediction formula consi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adient(Ea/R) and the Arrhenius constant(C). The effects of tensile strain(5%, 10%) on the life of these rubbers were investigated. The aging temperature influences EPDM rubber life, and tensile strain was predicted. It was confirmed that the modified life prediction was within the data deviation level of the test.

      • 도시재생사업의 자연재해 예방기능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한승욱(Han Seounguk),박형준(Park Hyungjun),정주철(Jung Juchul)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지 Vol.18 No.4

        기상이변으로 인한 자연재해가 점차 증가하고 있고, 최근 들어 대도시의 자연재해 대응력 강화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특히, 고령인구 및 노후건축물이 밀집된 낙후지역에 대한 도시재생 등의 도시계획적 대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대도시 가운데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규모가 가장 크고, 단순히 도시기반시설의 노후로 인한 문제뿐 만 아니라 자연재해가 빈번히 발생하는 부산시를 연구범위로 하여 도시재생사업지역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한다. 본 연구는 자연재해에 취약한 지구(마을)를 대상으로 도시재생사업을 통한 자연재해 예방기능이 강화방안으로 토지이용관리 및 교육을 제시하였고, 이에 따른 관련 제도 및 계획의 개정이 필요하다. Natural disasters have been increasing in recent years due to unusual weather conditions. Recently, enhancing disaster response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in large cities. Over the past decade, Busan has been suffering the largest damage from disasters compared to the other metropolitan cities. The damage is not only caused by the aging of the urban infrastructure, but also by deterioration of the living environment in the declining residential area. This study suggests ways to enhance the disaster prevention functions through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for small towns in urban area, where are vulnerable to the natural disasters. It suggests two ways; 1) developing and implementing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ith the enhanced disaster prevention functions, and 2) complementing of the related systems and plans.

      • KCI우수등재

        (Bi, Sb)₂ (Te, Se)₃계 박막의 열전 특성 및 온도 센서로의 응용

        한승욱(Seung-Wook Han),김일호(Il-Ho Kim),이동희(Dong-Hi Lee) 한국진공학회(ASCT) 1997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6 No.1

        순간 증착법으로 Bi_(0.5)Sb_(1.5)Te₃ (p형)와 Bi₂Te₂.₄Se_(0.6) (n형) 박막을 제조하여 두께와 어닐링 조건에 따른 Seebeck 계수, 전기전도도, carrier 농도 및 이동도, 열전도도, 성능지수의 변화 등 열-전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473K 에서, 1시간 진공 열처리한 결과 p형과 n형의 성능지수는 각각 1.3×10^(-3) K^(-1) 및 0.3×10^(-2) K^(-1)으로 향상되었으며 두께에 크게 의존하지 않았다. 이런 성질을 갖는 열전 박막을 소자화한 박막 온도 센서를 유리와 Teflon 기판 위에 제조하였으며, 이들의 온도 변화에 대한 열기전력, 민감도 및 시간 상수 등 센서 특성을 측정하였다. p및 n형의 leg 폭 1 ㎜×길이 16 ㎜인 박막 온도 센서의 경우, Teflon 기판일 때 좋은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민감도는 2.91 V/W, 시간 상수는 28.2초이었다. P-type (Bi_(0.5)Sb_(1.5)Te₃) and n-type (Bi₂Te₂.₄Se_(0.6)) thermoelectric thin films were deposited on glass and Teflon substrates by the flash evaporation technique. The changes in thermoelectric properties, such as Seebeck coefficient, electrical conductivity, carrier concentration, carrier mobility, thermal conductivity, and figure of merit, were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film thickness and annealing condition. Figures of merit of the thin films annealed at 473K for 1 hour were improved to be 1.3×10^(-3) K^(-1) for p-type and 0.3×10^(-3) K^(-1) for n-type, and they were almost independent of film thickness. Temperature sensors were fabricated from the thin films having the above mentioned properties. And thermo-emf, sensitivity, and time constant of the sensors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ir characteristics for temperature sensors. Thin film sensors deposited on Teflon substrates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those on glass substrates, and their sensitivity and time constant were 2.91 V/W and 28.2 sec respectively for the sensor of leg width 1 ㎜ × length 16 ㎜.

      • KCI등재

        유리섬유직물에 대한 수지의 젖음성 평가

        한승욱 ( Seung Wook Han ),최낙삼 ( Nak Sam Choi ),이민수 ( Min Soo Lee ),안흥근 ( Hung Kun Ahn ) 한국복합재료학회 2011 Composites research Vol.24 No.2

        에폭시 수지와 유리섬유직물 간의 젖음성을 분석하였다. 에폭시 수지와 산무수물 경화제의 혼합비는 당량비 1:0.5, 1:1, 1:1.2로 하였고, 촉매는 혼합된 수지의 0.1wt%로 첨가하였다. DSC 경화거동분석 결과 이 혼합 수지는 상온에서 함침이 가능하였다. 혼합 수지에 대해 유리평판에 놓여진 유리섬유직물 위에 수지 한 액적(방울)을 투하 후 시간에 따른 접촉각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일정량의 에폭시 수지 액적을 투하시켜 시간에 따른 젖음면적 변화를 측정하였다. 접촉각, 액적높이, 순수 젖음면적, 젖음계수를 측정함으로써 유리섬유직물에 대한 에폭시 수지의 젖음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당량비 1:1.2에서 유리섬유직물에 대한 젖음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Analysis of wettability between epoxy resin and glass fabric was studied. The mixing ratios of epoxy resin and anhydride hardener were varied as 1:0.5, 1:1 and 1:1.2. Catalyst content was fixed as 0.1wt% of the mixed resin. A curing analysis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DSC) showed a possible impregnation of the mixed resin at the room temperature. An effective contact angle of the mixed epoxy resin drop onto the glass fabric being preset on a flat glass plate was measured as a function of time. The wet area of the epoxy resin drop was also measured. Behaviors of the contact angle, the droplet height, the neat wet area and the coefficient of wettability were used to evaluate the wettability of the epoxy resin onto the glass fabric. It was concluded that the equivalent ratio of 1:1.2 was the most suitable for the wettability.

      • KCI등재SCOPUS

        구조용 금속의 초고주기피로 거동에 대한 연구 동향

        한승욱(Seung-wook Han),박정훈(Jung-hoon Park),명노준(No-jun Myeong),최낙삼(Nak-sam Choi) 한국자동차공학회 2014 한국 자동차공학회논문집 Vol.22 No.2

        The paper presents an overview of the present state of study on the fatigue behaviors at very high number of cycles (N<SUB>f</SUB> > 10<SUP>7</SUP>). A classification of materials with typical S-N curves and influencing factors such as notches, residual stresses, temperatures, corrosion environments and stress ratios are given. The microstructural inhomogeneities of materials and micro-cracks played an important roles in very high cycle fatigue behaviors. The failure mechanisms for the fatigue design of materials and components are mentio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