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표준화재에 3시간 노출된 CFRP Rebar로 보강된 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의 압축과 휨 성능

        한슬기(Seulgi Han),다시뎀베렐 너럽바담(Dashdemberel Norovbadam ),김선희(Sunhee Kim),최인락(Inrak Choi),최성모(Sungmo Choi)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추계

        건축물이 복합화, 고층화됨에 따라 콘크리트충전강관기둥(Concrete Filled Steel Tube, 이하 CFT기둥)의 사용이 증가한다. CFT기둥은 강관의 콘크리트를 구속함에 따라 국부좌굴을 방지하며 콘크리트 축열효과로 일정한 내화성능을 보유하고 있다. 기둥의 축, 휨 성능을 보강하기 위해 CFT기둥 내부에 철근을 배치한다. 철근대체재로서 내부식성이 우수한 탄소섬유보강근(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이하 CFRP Rebar)의 사용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탄소섬유(Carbon Fiber)는 임계온도가 250℃이고 수지(Resin)의 유리전이온도는 60~80℃로 철근의 임계온도 기준인 평균온도 538℃, 최대온도 649℃에 비해 현저하게 낮아 내화성을 담보하면서 구조성능을 유지하도록 배치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CFT기둥에 CFRP Rebar를 보강했을 때 온도를 확인하기 위해 범용 유한요소프로그램인 ABAQUS를 사용하여 열전달해석(Heat Transfer)을 진행하였다. 뿜칠내화피복재(Spray-Applied Fire Resistive Material, SFRM) 0, 10, 20, 30mm와 콘크리트 피복두께 40, 60, 80, 100mm를 변수로 설정하여 CFT기둥 단면의 온도분포를 확인하였다. 온도 상승에 따른 재료 저감계수를 적용하여 기둥의 축, 휨 내력 P-M상관도를 도출하였다. CFRP Rebar의 기둥 내측으로 배치하면 휨 성능효과는 감소되지만 피복두께 확보로 온도 최소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 표준화재에 3시간 노출된 뿜칠피복 모듈러 각형강관기둥의 압축과 휨 성능

        다시뎀베렐 너럽바담(Dashdemberel Norovbadam ),한슬기(Seulgi Han),신진원(Jinwon Shin),최인락(Inrak Choi),최성모(Sungmo Choi)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추계

        모듈러 공법은 공장에서 제작 후 현장에서 설치하여 공정을 최소화 및 공기를 단축하고 품질을 향상시킨다. 현재 국내에서는 주택, 학교, 기숙사를 비롯한 모듈러 고층 건축물 시공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건축물의 주요구조 부재에는 화재 발생 시 피난과 구조물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도료, 뿜칠, 보드 등의 피복재가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 시 모듈러 각형강관 기둥의 단면 온도분포를 확인하기 위해 KS F 2257-1 기준에서 제시하는 3시간 표준화재곡선에 따라 범용 유한요소프로그램인 ABAQUS 열전달해석(Heat Transfer)을 진행하였다. H형강과 각형강관 강재에 대해 내화뿜칠피복재(Spray-Applied Fire Resistive Material, 이하 SFRM) 0, 30, 45mm 도포, 각형강관 내부 몰탈 충전 여부, 마감용 몰탈 충전 강관의 유무를 변수로 계획하였다. 화재 발생 후 시간 경과에 따른 모듈러 각형강관기둥의 열전달해석을 통해 단면 내의 온도분포를 확인하였다. 온도에 상승에 따른 강도저감계수를 적용하여 모듈러 각형강관 기둥의 축, 휨 내력을 평가하였다.

      • 다이카바메이트 합성 반응에서의 조촉매로써의 이온성 액체의 활성과 반응 후 조촉매 회수

        임민택(Mintaek Im),임정애(Jung Ae Lim),한슬기(Seulgi Han),허일정(Iljeong Heo),이진희(Jin Hee Lee) 한국에너지기후변화학회 2021 한국에너지기후변화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1

        다이아민 산화 카보닐화 반응은 다이카바메이트 직접 합성의 한 반응으로써, 이산화탄소 개질을 통해 생성된 일산화탄소와 수소를 모두 활용할 수 있는 반응 경로임과 동시에, 기존 포스겐 활용이 필수적인 다이이소시아네이트 공정을 대체할 수 있는 반응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다이카바메이트 합성메커니즘에는 할라이드 계열 조촉매가 필수적으로 관여하지만, 지금까지 보고된 연구에서는 활용후 조촉매를 회수 후 재활용하려는 시도는 제안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무기염 대신 할라이드 기반의 다양한 이온성 액체를 다이카바메이트 합성 반응의 조촉매로 활용하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반응 후 활용 조촉매 회수 방법을 확인하고, 이를 활용하여 반응 활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아동 소비자의 온라인 개인정보보호 인식과 행동에 대한 연구

        나종연 ( Rha Jong-youn ),김지혜 ( Kim Jihye ),한슬기 ( Han Seulgi ) 한국소비자학회 2020 소비자학연구 Vol.31 No.4

        본 연구는 아동의 온라인 서비스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 정보주체로서 아동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 및 행동을 살펴보고, 온라인 환경에서 아동 소비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아동은 연령별 온라인 이용행태와 발달수준이 매우 상이하여 온라인상에서 아동의 개인정보보호방안을 고려할 때 아동을 세분화하여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온라인상에서 아동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아동뿐만 아니라 부모도 함께 상호작용하는 가족적 맥락의 접근이 필요하며, 연령에 따라 역량 강화 방안의 주체와 초점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 셋째, 아동은 인지발달이 완성되지 않았으며 정보주체로서 자신의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역량이 부족하다. 이에 법정대리인의 역할이 중요하나 부모 또한 온라인상에서 개인정보보호 역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아동의 역량 강화 교육과 함께 부모의 역량 강화가 요구된다. 넷째, 현행의 법정대리인 동의 제도만으로는 온라인 환경에서 아동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나 서비스 사업자의 자율규제 등 추가적인 보완책이 필요하다. 다섯째, 이용약관에 그림/영상/오디오 등의 다양한 형식을 활용하여 아동의 발달수준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아동 친화적 고지방법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아동들에게 흥미를 줄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한 개인정보보호 교육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온라인 개인정보보호와 관련하여 기존에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던 아동을 중심으로 연령별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 및 행동을 살펴보았으며, 아동의 발달수준 및 역량을 고려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hildren’s perception and responses to online privacy protection of Koreans in order to derive the policy implications for protecting children’s online privacy as consumers. The focused group interviews have been conducted with 27 participants based on their experiences and opinions regarding online privacy. In addition, the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the online surveys have been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objectivity of the results with 617 completed responses from October 29 to November 4, 2019. The major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online usage patterns vary widely depending on the age of children. This means that the government should apply a policy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hat is subdivided according to children's age and online usage behavior. On top of that, in a similar way of above statement, the involvement and control of parents in online use can be varied depending on their child’s age. In the case of early childhood and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online privacy education through family literacy centered on interaction with parents is necessary. On the other hand, with respect to higher grad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education for the online privacy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empowered their own competencies. Another point is that both the cognitive developments of children and the ability to protect their personal information as an information subject have not been fully developed. Thus, the role of the legal representative is important; however, the competencies of parents to protect the personal information in online is low. As a result of the above statement, parental competency education for online privacy is required along with child competency education. Furthermore, the current legal representative consent system is difficult to achieve the purpose of protecting children's online privacy in the online environment, indicating that additional the supplementary policy is needed to reflect this reality. Even though it is not an online service provider directed to children, that is targeted to children are necessary to consider their own responsibilities and roles in child protection. Lastly, children were found to have difficulty reading and understanding the privacy policy. Significant considerations are required on how to provide privacy policy formats so that children can choose suitable types dependence on their development level.

      • KCI등재

        유통채널 이용 특성에 따른 지역농산물 소비자 유형화 연구

        나종연(Rha, Jong-Youn),전윤선(Chun, Yunsun),이보한(Lee, Bohan),한슬기(Han, Seulgi),고주희(Ko, Juhui) 한국소비문화학회 2021 소비문화연구 Vol.24 No.1

        지역농산물 소비는 소비자와 지역사회, 환경 전반에 기여하는 바가 크므로 지역농산물 소비 활성화가 지속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구매채널이 다변화되는 유통환경에서 소비자들의 지역농산물 소비행태를 이해하고,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는 것이 지속가능한 지역농산물 소비체계 구축을 위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소비자들의 지역농산물 구매행태가 다변화되는 유통채널을 통해 변화하고 있음을 반영하여 소비자들의 구매채널 선택에 따라 소비자를 유형화하고, 유형별 소비자 특성 차이 및 구매채널 선택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며, 지역농산물 소비에 따른 만족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직접 지역농산물을 구입하여 이용한다고 응답한 전국의 소비자 76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패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빈도분석과 요인분석, K-평균 군집분석, 카이제곱 검정, 일원분산분석,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 유형은 ‘다채널 이용집단’, ‘친환경 전문 채널 이용집단’, ‘전통적 채널 이용집단’, ‘대형 채널 이용집단’과 같은 네 집단으로 발견되었으며, 각 유형별로 지역농산물 구매 수준과 연령, 월평균 가구소득, 학력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특성, 그리고 지역농산물 구매 시 중요하다고 여기는 정보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 유형별로 구매채널 선택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지역농산물 구매에 따른 만족도 역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이용하는 구매채널에 따라 소비자들이 차별적 특성을 지닌다는 것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지역농산물 소비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s consumption of local food contributes greatly to consumers, the local community, and the environment as a whole, it is important to find a way to sustain the activation of local food consumption. Thu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onsumer s consumption behavior of local food in a retail environment where shopping channels are diversified, and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level to establish a sustainable local food consumption system. Therefore, this study categorizes consumers according to the level of use of the shopping channel by reflecting the recent changes in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of local food through diversified channels. Based on this, it is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of each consumer types, and what factors affect the level of shopping channel use. An online panel survey was conducted on 767 consumers across the country who responded to directly purchasing local food, an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K-mean cluster analysis, chi-square test, one-way variance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s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ypes of consumers were found into four groups: ‘multi-channel user group’, ‘eco-friendly channel user group’, ‘traditional channel user group’, and ‘large retail channel user group’. It was confirmed that not onl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the age,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education level, but also level of local food consumption, perception of important information and satisfaction with shopping channel were different for each type. In addition,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use of shopping channels differed by consumer type. Through these results, in order to promote the consumption of local food in the long term,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consumers have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hopping channels they use.

      • KCI등재

        지역농산물 이용 간편식에 대한 소비자 선택의 영향요인 - 알파벳 이론을 중심으로 -

        나종연(Jong-Youn Rha),이보한(Bohan Lee),전윤선(Yunsun Chun),한슬기(Seulgi Han),고주희(Juhui Ko)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20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30 No.6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implications from a consumer perspective on the use of Home Meal Replacement (HMR) product with local food.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1,000 adult consumers across the country from October 6 to 12, 2020. A total of 807 questionnaires (80.7%)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fter excluding the responses with missing valu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gree of emphasis on palatability, sustainability, and savings among food-related lifestyles and knowledge of HMR using local food had a positive effect on attitudes. Also, in the context of the retail segment, trust and access to HMR using local food had a positive effect on attitudes and a perception of price negatively affected attitudes. Finally, as the attitudes to HMR using local food positively increased, the purchase intention also increased,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HMR using local food is a way to consume a more sustainable diet by using local food compared to general HMR.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trategy that can emphasize HMR using local food as a type of diet that is socially helpful and can shorten cooking time at a reasonable pr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