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워크플로우 질의어 기반 수행자 할당

        한수영(Sooyoung Han),박민재(M.J. Park),안형진(H.J. Ahn),백수기(S.K. Paik),김광훈(K.H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C

        워크플로우 비즈니스 프로세스는 여러 단위 업무(Activity)로 구성되며 단위 업무에는 여러 가지 타입이 존재한다. 유저 태스크(User Task) 타입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리되는 중요한 단위 업무 타입중 하나이며 본 논문에서는 유저 태스크 타입에 대한 최적의 수행자를 할당할 수 있는 질의어 기반 수행자 할당 방식을 기술한다. 이 방식은 기존의 워크플로우 관리시스템의 워크플로우 엔진에서 제공하는 로드 밸런싱 알고리즘을 현행 그대로 유지하는 동시에 조직의 조직 구조 정보를 이용하여 유저 태스크에 대한 기존의 할당 방식에서 확장된 형태의 수행자 할당 방업을 제공함으로써 태스크 처리에 대한 최적의 수행자를 할당하여 단위 업무의 처리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 KCI등재

        시적 과학과 융합 교육

        한수영(Han, Sooyoung) 중앙어문학회 2018 語文論集 Vol.74 No.-

        현대 과학은 자연에 대한 거시적이고 미시적인 시야들을 열어주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인간과 자연이 다시 연결되며, 물질과 생명에 대한 새로운 감각, 그리고 자연 전체에 대한 감수성이 새롭게 요구되고 있다. ‘융합’은 이러한 문명사의 흐름에서 대두된 개념이며, 융합 교양교육은 과학과 인문학이 자연에 대한 동일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는 데서 출발할 수 있다. 자연에 질문을 품는다는 것은 자연에 대해 시적 감수성을 느낀다는 것이다. 시적 감수성은 인간이 자연과 마주하여 느끼는 감정과 태도, 그리고 행동을 통합적으로 지칭하는 개념이다. 이 논문에서는 시적 감수성의 영역을 ‘경이’, ‘너머’, ‘관계’의 세 가지로 범주화하고, 시적 감수성이 과학적 탐구와 인문학적 탐구의 두 영역에서 공유되고 있었음을 고찰했다. ‘경이’에 대한 감수성은 자연의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그 안에서 자신이 존재를 확인하는 상상과 행동으로 나아갔다. ‘경이’에 대한 감수성은 카오스를 건너는 질서를, 그 질서에 균열을 내는 새로운 카오스를 탐구하게 하는 원천이다. ‘너머’에 대한 감수성은 상상하는 힘을 가진 인간이 생태적 니치 너머로 자신을 확장하며 모험을 감행하게 한다. ‘너머’에 대한 감수성은 새로운 시공간을 지향하며, 오감의 제약에서 벗어나 새로운 영역을 상상하고 경험하게 한다. ‘관계’에 대한 감수성은 사물의 네트워킹에 민감하며, 상호 의존하는 정서를 의미한다. ‘관계’에 대한 감수성은 생물학적 본성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 관계에 대한 감수성은 사회에서의 호혜적 관계나, 타자에 대한 윤리적 책임감으로 확장될 수 있다. ‘시적 과학’은 시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자연과 인간을 이해하되, 과학이 열어준 실제 세계에 대한 지식을 삶의 가치로 유연하게 전환시켜 나가는 새로운 지적-정서적 토대를 지칭한다. 시적 과학이라는 근원적인 토대가 확보될 때, 과학적 세계관과 인문학적 사유는 서로 소통하고 협업하며, 공통의 언어를 만들어 나갈 수 있다. 21세기 교양교육은 시적 과학이라는 토대 위에서, 빅 히스토리 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하고도 균형 있는 시민을 육성할 수 있다. “Convergence” is the key objective of general educat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It begins by identifying the fundamental foundation shared by liberal arts and science, as based on the mutual questions: “Where do we come from?” “What are we?” and “Where are we going?” When someone poses a question about nature, it suggests that one can develop a poetic sensibility toward it. Poetic sensibility is a concept that incorporates humans’ emotions, attitudes, and actions in the face of nature. This paper categorizes poetic sensibilities into “wonder,” “the beyond,” and “relationships,” and considers that poetic sensibility has been shared across science and liberal arts. Poetic sensibility toward “wonder” leads to imaginings and actions in which one discovers nature’s beauty and affirms one’s identity within it. Wonder is the source that enables us to investigate the order that crosses over chaos, as well as the new chaos that forms schisms within that order. Poetic sensibility toward “the beyond” endows humans with imaginations capable of pushing past the limits of ecological niches and to embark on adventures. This entails the pursuit of new types of time and space that allow humans to imagine and experience groundbreaking domains, freed from the restraints of the five senses. Poetic sensibility toward “relationships” refers to interdependent sentiments that are sensitive to the networking of things. It is closely related to biological instinct and can be developed into reciprocal relationships in society and ethical responsibility for others. “Poetic science” refers to a new intellectual and affective basis that allows us to understand nature and humans based on poetic sensibility, while flexibly turning scientific knowledge about the real world into real life values. With poetic science’s solid foundation, scientific worldviews and humanistic thought can be conjoined, thus creating a common language. General educat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will be able to cultivate well-balanced citizens who can flexibly cope in the era of big history, based on the foundation of poetic science.

      • 온전한 인식과 살아있는 사물

        한수영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21 陶藝硏究 Vol.- No.30

        현대인들은 수많은 풍경과 사람, 사물들 사이에 존재한다. 그리고 그들 중에 어떤 것은 보고 어떤 것은 보지 못한다. 또한 어떤 것은 만지고 어떤 것은 만지지 못한다. 우리가 무언가를 보거나 만지지 못하는것은 대상과의 물리적인 거리나 상황의 제약 때문일 수도 있고 또는 우리가 그것들에 관심을 갖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 이러한 관심은 의식과 관련이 있다. 연구자에겐 사물을 대할 때 어떤 사물은 살아있다고 느끼고 어떤 사물은 죽어있다고 느끼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감상은 사물을 의인화하며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생각하며 사물이 살아있음과 죽어있음은 곧 사물을 대하는 사람의 의식이 살아있거나 죽어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 같다. 따라서 사물이 살아있다는 표현은, 사물을 인식하는 사람의 의식이 온전하게 살아있음을 의미하는 것이고 사물을 진정으로 안다는 것은 관심에서부터 출발한다고 생각하였다. 본고는 연구자가 도자 작업을 통해 위와 같은 의미로서 ‘살아있는 작품’을 제작하기 위해 필요한 선행연구로서 작성되었으며, 우리의 관심을 자극하고 의식을 일깨울 수 있는 사물은 어떻게 지각되고 존재해야 하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제 1장에서는 구체적이고 개인적인 경험을 토대로 한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을 밝히고 본론에서는 의식과 지각의 구조를 현상학적으로 연구한 에드문트 훗설(Edmund Husserl,1859~1938)의 인식론을 살펴보면서 그의 관점에서 사물에 관한 온전한 인식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인가에 대해 기술한다. 그리고 나아가 앞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사물 혹은 작품이 살아있기 위해서는 어떻게 존재해야 하고 제작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인식론적 관점과 공예론적 관점을 융합해 탐구한다. 제 Ⅳ장은 본고를 맺으며 사물들 또는 작품들이 진정으로 살아있다는 것에 대한 의미를 새롭게 정의 내려 본다. We exist among countless landscapes, people, and objects. And see some of them and not some of them. Some things are touched and others are untouchable. The inability to see or touch something may be due to physical distance from the object or to restrictions in the circumstances, or because we are not interested in them. This interest is related to consciousness. Sometimes I feel that some things are alive and others are dead when dealing with them. This appreciation is thought to be made by personifying things, and the fact that things are alive and dead seems to mean that the person's consciousness toward them is alive or is dead. Therefore, I thought that the expression that an object is alive means that the consciousness of the person who recognizes it is alive and that knowing it truly starts with interest. This thesis is written as a prior study necessary for me to make 'living objects' in this sense through ceramic work, and is a study on how objects that can stimulate our interest and awaken our consciousness should be perceived and present. Chapter 1 identifie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based on specific and personal experience, and the main body examines the epistemology of Edmund Husserl(1859–1938),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structure of consciousness and perception, explaining what is and how it achieved in his perspective. Furthermore, based on the preceding content, we explore epistemological and crafts views on how objects or works should exist and be produced in order to be alive. In thesis, I redefine the meaning of objects or works that are truly al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