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GLOBALIZATION AND SOCIALIZATION IN CHINA

        한석희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02 Global economic review Vol.31 No.2

        The end of the Cold War has marked the rise of globalization as one of the contending issu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As a dominant wave of world transition, globalization requires the states to coordinate their behavior and align their policies and standards to a generalized principle of conduct or to certain suggested directions. While some states have actively and positively responded to these changes, a few others have struggled to retard the influence of globalization, viewing it as a threat to social stability, state sovereignty, and national and cultural identity. However, China shows a dual response to this challenge. It welcomes globalization as a way to enrich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it confines the impact of globalization exclusively within the economic field only, lest its regime stability be shaken. Hence, this paper argues that the impact of globalization on Chinese international behavior falls short of a fundamental change in Chinese worldview. To prove this argument, this paper explores the Chinese characteristics of globalization and China’s domestic impediments to limit socialization.

      • KCI등재

        중국의 다극화전략, 다자주의외교, 그리고 동북아시아 안보

        한석희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7 국제지역연구 Vol.11 No.1

        With the unexpected collapse of the bipolar system as well as the end of the Cold Wa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started to grope for a new type of international order, which provides world peace and stability. For securing future peace and stability, the US and other advanced states argue for the unipolar system as an alternative to make the world more stable, while others claim that multipolar system secures better stability of the world. In particular, China prefers multipolar system for the prospective future international order. But after the 9.11, which proves the US unpolarity much enforced and the world multipolarity getting less possible, China has to find other way to deter the US unipolar hegemony than supporting mutipolarity. Multilateralism serves as an alternative for China to make multinational approach for international securit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its participation in the multilateral institutions, China has pursued at framing a multipolar world order for evading the US-oriented unipolar world system. Even in recent period, China has boasted creating a multilateral institution, including the six-party talks, on top of the stage of participating in various types of international institutions. China's predilection for multipolarity continues and will continue for the time-being. 냉전의 종식과 함께 반세기 동안 세계를 지배해온 양극체제가 해체되자 국제사회는 미래의 세계평화와 안정을 보장하는 새로운 국제질서의 형태를 모색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미국을 위시한 서구 선진국들은 일극체제 하에서도 안정적인 국제질서를 유지할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앞으로의 국제사회는 미국중심의 일극체제로 발전될 것이라고 강조하는 반면, 중국을 비롯한 다른 국가들은 다극체제가 일극체제보다 훨씬 더 안정적이며 향후 국제질서도 다극체제 중심으로 발전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중국은 미국주도의 일극체제와 다수의 강대국들이 상호작용하는 다극체제가 공존하는 현재의 일극-다극 국제체제를 과도기적 체제로 인식하고, 이 과도기는 결국 다극체제로 수렴되면서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이 올 수 있다고 믿고 있다. 그러나 현실세계에서는 중국의 기대와는 달리 미국의 영향력이 강화되면서 미국중심의 1극체제가 공고화되고 있다. 특히 2001년 9.11사태 이후 미국은 일방주의를 주장하면서 국제사회에서 자국의 영향력을 강화시켜 나가고 있다. 이러한 경향으로 그동안 다극화를 추구해오던 중국은 자국의 다극화 전략을 수정하던지 다극화를 위한 자국의 정책을 수정할 수밖에 없었다. 이런 가운데 1990년대 중반부터 국제사회에서는 국제체제(international institutions)를 통하여 국제사회의 정치․경제․안보․문화 등 제 분야에서의 질서수립 및 개별 국가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는 추세가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중국은 이 다자주의적 접근법을 도입하여 미국의 독주 또는 일극체제 공고화를 어느 정도 견제하면서 다극체제를 수립하려는 의도를 나타내게 되었다. 특히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중국은 다자주의에 동참하는 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자국이 주도하여 다자간 국제체제를 조직하고 이를 통하여 자국도 국제질서에서 하나의 축을 형성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그 예로 6자회담을 들 수 있으며, 중국은 6자회담을 주도해 나가면서 한편으로는 자국의 책임대국적 이미지를 제고하면서 또 한편으로는 미국의 패권적 지위에 도전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 KCI등재

        Glass ceiling in video games: Unequal gender status in Pokémon Series

        한석희,Han, Sukhee Korea Game Society 2017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7 No.6

        본 연구는 포켓몬 시리즈의 남성/남성 지배 포켓몬들과 여성/여성 지배 포켓몬들의 특징을 분석하면서 포켓몬 시리즈의 성 지위에 대해 탐구한다. 1세대부터 8세대까지 802의 포켓몬 캐릭터가 존재한다. 각 포켓몬들은 태어날 때 다른 성 비율을 지니고 있다: 하나의 포켓몬은 남성, 여성, 동등, 무성의 "확률"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를 이러한 포켓몬들은 3가지 기준으로 분석 한다: 1) 출연 빈도 2) 능력 3) 종류의 다양성, 그리고 이것을 성별의 기준으로 비교한다. 포켓몬 시리즈는 다른 비디오 게임과 다르게 다양한 캐릭터들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이는 사람들이 비디오 게임 캐릭터들의 성 지위를 보다 깊고 의미 있게 볼 수 있도록 도와준다. This study explores the gender status of $Pok{\acute{e}}mon$ Series by analyzing the aspects of male/male-dominated $Pok{\acute{e}}mons$ and female/female-dominated $Pok{\acute{e}}mons$. Counting from the First Generation to the Seventh Generation $Pok{\acute{e}}mon$, there are 802 characters. Each $Pok{\acute{e}}mon$ has different gender ratio; the one $Pok{\acute{e}}mon$ could have more "possibility" to become male, female, equal, or genderless when he/she is born. This study examines those $Pok{\acute{e}}mons$ in three criteria: 1) Frequency 2) Stats 3) Diversification of Type, and it compares them based on their gender. $Pok{\acute{e}}mon$ Series is different than other video games as it provides many characters ($Pok{\acute{e}}mons$). Thus, it helps the audience to view the gender status of video game characters more closely and meaningfully.

      • KCI등재

        인터넷 게임 방송에서 나타나는 인기 채널의 특징과 비교 : Twitch TV를 중심으로

        한석희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6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6 No.4

        본 연구는 인터넷 방송 중 게임을 전문적으로 하는 미국의 Twitch TV(트위치 TV)에서 나타나는 인기 채널 을 분석한다. 현재 한국에서 인터넷 방송은 아프리카가 실질적 독점을 하고 있으나, Twitch TV는 전 세계적으로 인기 가 높으며 현재 한국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 중에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1월부터 6월까지 매주 금요 일 9시에 Twitch TV에서 나타나는 국내(한국)와 해외의 인기 채널을 총 20회 조사한 뒤, 채널에서 나타나는 ① 시청 자(접속자) 수 ② 게임의 출연수 ③ 게임의 장르 ④ 게임의 개발 국가의 차이점을 입체적으로 조사하였다. 인터넷 방송 은 지상파 TV와 달리 시청률의 개념은 없지만, 채널에 연결 된 접속자 수를 기반으로 인기 채널이 구별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Twitch TV의 특징을 연구하고, 더 나아가 인터넷 방송의 미래에 대해서도 토론한다. This study analyzes popular channels of America’s Twitch TV that centers on video game among several Internet broadcasting services. Afreeca TV de facto monopolizes the Internet broadcasting industry in South Korea; however, Twitch TV is popular around the globe and tries to expand business in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collects data of popular domestic/international channels on every Friday 9:00 p.m. 20 times, and examines differences of between those channels: 1) the number of the audience(users) 2) the frequency of games 3) the genre of games 4) nationality of games. Internet broadcasting streaming service does not have a concept of ratings, but it could be categorized as popular based on users connecting the channels. Thus, this study studies characteristics of Twitch TV, and further discusses the future of the Internet broadcasting.

      • 부시의 대중정책 변화와 미-중관계 : 전략적 경쟁관계를 중심으로

        한석희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01 東西硏究 JOURNAL OF EAST AND WEST STUDIES Vol.13 No.1

        부시대통령의 취임 과 함께 미국은 현실적(realistic)이고 일발적(unilateral)인 외교노선을 중심으로 미-중관계를 전략적 경쟁관계로 규정하고 있으며, 부시의 전략적 경쟁관계는 클린턴 시대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와는 달리 현실세계에서 신냉전을 우려할 정도로 양국간의 갈등과 경쟁을 심화시키는 방향으로 나가고 있다. 미사일 방어계획(MD: Missile Defense Plan)과 ABM조약 폐기의 추진, 미국의 군사개혁과 군사전략의 수정, 미국의 대만에 대한 첨단무기 판매 문제, 대만총통 천수이볜과 티벳의 지도자 달라이 라마의 미국 방문 허용, 그리고 과거의 "전략적 모호성(strategic ambiguity)" 정책에서 벗어나 중국이 대만에 무력을 사용하는 경우, 미국도 무력으로 대응하겠다는 새로운 대만 정책 등 부시가 취임 초기에 추진하였던 정책들은 중국과의 갈등을 증폭시켜 갔으며, 2001년 4월 1일 미-중간의 항공기 충돌사건은 미-중관계가 상호 신뢰와 협력 보다는 상호불신과 불안에서 비롯된 불안정한 상태로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미-중관계는 새로운 세기의 국제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축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양국간의 협력과 조화는 세계-특히 동북아-안보질서 구축에 핵심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미-중관계에 대한 전망과 평가는 상당한 의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1989년 이후의 미-중관계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향후 미-중관계의 방향을 분석해 보았다. 냉전의 종식으로 미-중관계에는 양국간의 구조적인 갈등과 경쟁이 표출되었으며, 이러한 갈등과 경쟁은 1990년대에서 보여지듯이 경제 논리를 중심으로 한 협력의 요소에 의해 진정되어 왔다. 또한 돌발적인 사건에 의하여 급격하게 관계가 악화된 경우에도 협력의 논리와 타협에 의하여 관계가 회복되어 왔다. 따라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중-미간의 경쟁 · 갈등구도도 제한적 · 일시적 현상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일정 기간의 조정기를 거쳐 협력의 국면으로 회복 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논지는 최근 미국 정찰기 충돌사건의 해결과 함께 미-중간의 군사접촉을 제한적이나마 재개하고, 중국의 WTO가입문제에 대하여 미 · 중 양국이 의견일치에 도달한 점 등을 살펴 볼 때, 상당히 설득력을 가진다. 또한 중국의 올림픽 유치 결정도 양국간의 협력관계 형성에 상당히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미국의 對中정책의 목표가 중국을 정치, 경제, 외교적으로 성숙한 국가로 전환시키고, 국제사회에서 평화와 안정을 존중하는 책임감 있는 국가로 발전시키는데 있다는 측면을 고려해 볼 때, 미국의 부시행정부는 대중정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현재와 같은 경쟁 · 갈등요소에 대한 강조 보다는 협력과 신뢰구축을 위한 거시적인 대중전략이 필요하며, 조속한 시일 내에 좀 더 균형있는 대중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