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해중심게임수업의 재음미: 교육과정 이론으로서 재해석하기

        한상모(Sangmo Han)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교육논총 Vol.41 No.1

        본고의 목적은 이해중심게임수업을 교육과정 이론으로 재해석하고 그것이 가지는 가치와 한계점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이해중심게임수업의 태동과 변천과정을 탐색하고 이 이론의 기저에 있는 철학, 교육학, 심리학적 근거를 고찰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이 이론의 주요 개념들을 목표-내용-방법-평가의 틀에 재배열하고 재해석하였다. 교육과정 이론으로서 이해중심게임수업은 각 게임 범주의 공통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 능력 계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각 게임 범주의 특성을 가르치기에 적합한 기존의 게임이나 창안된 게임을 내용으로 한다. 방법으로 교사는 전술적 문제를 포함한 과제의 개발과 활용할 것을 요구한다. 평가는 전술적 이해를 확인할 수 있는 실제적 맥락에서의 수행 평가를 활용한다. 교육과정 이론으로서 이해중심게임수업의 가치는 교사 교육과정의 준거를 제시하고, 체육을 교육 일반의 가치에 부합시키며, 전일론적 해석을 풍부히 하여 체육 교과를 정당화한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그러나 기능중심게임수업에 대한 대립을 심화시킨다는 점과 모든 상황에 적용하는 데 적합하지 않다는 점에서 분명한 한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the Teaching Games for Understanding (TGfU) as a curriculum theory and to explore its values and limitations. Accordingly, the beginnings and transitions of TGfU were explored, and the philosophical, pedagogical, and psychological basis underlying this theory were examined. Based on this, the main concepts of this theory were rearranged and reinterpreted in the framework of objective-content- method-assessment. The contents are as follows: 1) Objective: to develop the ability to solve common problems in each game category. 2) Content: an existing or created game suitable for teach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ame category. 3) Method: develop and use tasks, including tactical problems. 4) Assessment: an assessment of performance in a practical context that can assess tactical understanding. As a curriculum theory, the value of understanding-based game lessons is as follows; 1) Present the criteria for the teacher curriculum. 2) Match physical education to the general values of education. 3) Enrich holistic interpretation to justify physical education subject. However, as a curriculum, TGfU has a clear limit in that it deepens confrontation with technique approach and is not suitable in all situations.

      • KCI등재

        체화주의의 교육적 고찰

        한상모(Sangmo Han),유생열(Seangleol Yoo)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교육논총 Vol.40 No.2

        본고는 인지과학의 한 갈래인 체화주의를 교육적 측면에서 고찰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교육 이론으로서 체화주의의 재개념화를 시도한다. 이를 위하여 인간의 앎에 대한 전통적인 관점과 인지과학의 고전적 관점인 계산주의와 연결주의의 인식론적 입장을 살펴보고 체화주의에서의 앎과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앎의 문제가 곧 교육의 문제와 다르지 않음을 밝히고 반복적으로 제기되는 교육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 현상을 체화주의적 관점으로 해석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체화주의의 교육적 원리와 학습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체화주의를 교육 이론으로 새롭게 개념화했다. 교육이론으로서의 체화주의는 앎과 경험이 정신이나 뇌에 구속된 것이 아니며, 몸을 통해 환경과 결합하고 조화를 이루는 과정 전체로 설명한다. 따라서 교육은 지식이 주입되는 것이 아니라 역동적인 상호작용 속에서 학습자와 환경 모두가 변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개념은 전통적인 교육학이 충분히 관심을 두지 않은 교육 현상의 이면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In this paper, embodimentism is considered in terms of education. The paper attempts to reconceptualize embodimentism as a sub-theory of pedagogy. For this purpose, the metaphysical view of knowledge and the epistemological positions of computationalism and connectionism were reviewed and compared with embodimentism. It is revealed that the problem of knowing is no different from the problem of education. In addition, the review explains the necessity of interpreting this educational phenomenon from the embodied point of view in order to solve repeated educational problems. On the basis of this necessity, embodimentism is newly conceptualized in pedagogy, and educational principles and models of learning are presented. As a pedagogy, embodimentism regards knowing and experience as not being trapped in the mind or the brain. Rather, they are described as the whole process of coupling and harmonizing with the environment through the body. In this context, education is not an infusion of knowledge but a process in which both learners and the environment change through dynamic interaction. This concept will help shine a light “behind the scenes” of educational phenomena, in which traditional pedagogy has not been sufficiently interested.

      • KCI등재

        체육수업을 하는 초등교사들의 어려움과 교육적 요구 탐색

        한상모(Sangmo Ha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0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는 체육수업을 하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수・학습 경험을 바탕으로 그들의 어려움과 교육적 요구를 탐색하고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체육수업을 하고 있는 초등교사 9명의 체육교과에 대한 교수・학습 경험을 탐색하였다. 구두면담과 이메일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는 Charmaz(2006)의 근거이론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어려움 요인은 환경, 학생, 교사, 수업의 측면으로 범주화 되었으며, 그들의 교육적 요구는 전이와 확장이 가능한 교육, 실천을 통한 교육, 장기적 안목의 교육, 교사다움을 기르는 교육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과 해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들의 교사교육에서 체육수업을 하는 초등교사에 주목할 것과 삶-배움-가르침이 하나 된 체육교사교육으로의 전환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consider their difficulties and educational needs based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To this end, we explored 9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in physical education. Data collected through oral interviews and e-mail interviews were analyzed by the method of the grounded theory of Charmaz (2006). The difficulty factors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aspects of environment, student, teacher, and class. In addition, their educational needs appeared as education that can be transferred and expanded, education through practice, education in the long term, and education that fosters teacherhood. Based on this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1. Focusing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who does physical education classes. 2. Transition to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with integrated life-learning-teaching.

      • KCI등재

        체화 인지 이론으로 체육교육 해석하기

        한상모(Sangmo Ha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8 No.1

        본고는 인지과학의 한 갈래인 체화 인지 이론에 근거하여 체육교육을 재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체육교육의 주요 패러다임을 살피고, 체화 인지 이론의 개요와 그것이 체육교육 현상 해석에 주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체육교육은 오랜 심신이원론적 통념을 반영한 과학적 전통의 영향 아래 외재적 목적 달성을 위한 도구적 위치에 있었다. 그러나 교육 분야에서의 내재적 정당화 움직임의 영향으로 전인교육을 강조하는 통합적 접근이 주목받게 되었다. 비교적 최근에는 통합적 접근으로 인해 발생하는 몸의 소외 현상에 대한 반성으로 체현론적 접근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 논쟁은 체육적 앎에 대한 인식론적 차이를 반영한다. 본고에서는 체육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인식론적 틀로 체화 인지 이론을 제안한다. 체화 인지적 관점에서 신체활동은 개체가 자신의 몸을 환경과 결합하여 창발하는 지적 행위이다. 또한 체육수업은 수업을 구성하는 각 개체들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하여 예기치 못한 방향으로 흘러가는 역동적인 현상이다. 이러한 관점은 체육수업에서의 학생의 앎을 개인화되고 주관적인 것으로, 학습을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자신을 끊임없이 변형하는 것으로 해석하게 한다. 이러한 논의는 인지과학과 체육수업을 연결함으로써 교수학습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고, 체육 수업이라는 현상의 이면을 들여다보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interpret physical education based on the embodied mind theory(EMT), a branch of cognitive science. In this paper, the main paradigm of physical education was examined, and the implications of the embodied mind theory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phenomenon were derived. Physical education was in an instrumental position to achieve its external purpose under the influence of the scientific objectivism that reflected the long-standing mind-body dualism concept. However, due to the influence of the intrinsic justification movement in the field of education, an integrated approach emphasizing whole-person education has attracted attention. Relatively recently, the embodiment approach has emerged as a reflection on the alienation of the body caused by an integrated approach. This paradigm debate reflects epistemological differences in knowing on physical education. In this paper, EMT is proposed as an epistemolog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phenomenon of physic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EMT, physical activity is an intellectual act that an entities by coupling its body with the environment. In addition, physical education class is a dynamic phenonmenon that flows in an unexpected direction caused by the complex interactions of the entities of the class. From this point of view, students" knowing in physical education class is individualized and subjective, and learning is interpreted as constantly transforming themselves in the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The attempt to reinterpret physical education based on EMT is expected to help interpret the meaning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look into the back of the phenomenon of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

        초등체육에서 놀이의 교육적 가능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상모(Sangmo Han),박용남(Yongnam Park)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3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30 No.3

        본고는 놀이의 성질에 대한 탐색을 바탕으로 놀이와 교육의 관계를 정립해 본 뒤, 초등체육의 놀이화 현상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Huizinga, Caillois, Gadamer, Dearden, Dewey, Freinet의 문헌에서 드러난 놀이의 개념을 살피고 놀이와 교육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놀이와 교육은 격리성과 한계성의 접점을 가진다. 놀이에 매료되게 만드는 요소인 자율성·자발성·내재적 동기·즐거움·긴장감·몰입은 교육의 성공을 위한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놀이는 참여의 자유가 보장되고 비생산적인 특징이 있지만, 교육은 참여자의 성장에 초점을 둔다는 점에서 서로 다르다. 따라서 최근 초등학교에서 횡행하는 놀이체육 현상을 경계할 필요성이 있다. 놀이체육은 일회성과 고립성으로 인해 체육 교과를 대체할 수 없다. 이에 본고에서는 놀이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방안을 개발과 실행의 측면으로 제시하였다. 놀이에서 교육적 가치를 찾는 일은 놀이 그 자체에 주목하는 것이 아니라 참여자를 매혹하는 은밀한 속성을 파악하는 데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이러한 논의는 초등체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놀이의 개념을 합리적으로 적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and education based on an examination of the nature of play and critically examine the phenomenon of playification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o achieve this, the perspectives on play from Huizinga, Caillois, Gadamer, Dearden, Dewey, and Freinet were examined, and the connection between play and education was explored. Play and education share common aspects of autonomy, spontaneity, intrinsic motivation, enjoyment, tension, and immersion, which can serve as important indicators for educational success. However, play and education differ in terms of the freedom of participation and the non-productive nature of play, as education focuses on the participants growt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e cautious of the prevalent trend of play-based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Play-based physical education cannot be replaced by its one-time and isolated nature.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pproaches for the educational utilization of play, focusing on the aspects of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Discovering the educational value in play should commence not by focusing on play itself, but by identifying the covert attributes that captivate the participants. These discussions will contribute to a rational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play in order to enhanc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

        신체 활동을 통한 그릿(grit) 형성 환경 탐색

        한상모 ( Sangmo Han ),유생열 ( Seangleol Yoo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8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9 No.1

        목적: 본 연구는 학교스포츠클럽 대회에서 탁월한 성취를 보이는 학생들의 학습 경험을 바탕으로 그릿(grit)이 형성되는 사회심리환경을 기술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릿을 기르는 체육수업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16학년도 학교스포츠클럽 대회에서 우수한 성취를 보인 3개 종목 28명의 연구참여자들로부터 개방형설문지, 포커스면담, 개인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한 뒤 Charmaz(2006)의 근거이론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학교스포츠클럽에서 그릿을 형성하는 학습 환경으로 동기, 목표관리, 과제와 연습, 교사, 어려움 극복, 분위기로 나타났다. 신체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그릿을 기르기 위해서는 호기심을 지속적인 흥미로 전환해야 하며 연습과정에서 발생하는 인지-정의적 문제나 갈등을 해소해야 한다. 연습 방법의 다양화는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풍부하게 하며 목표지향적 학습 환경은 지속적으로 스스로를 동기화하고 위기를 극복할 수 있게 한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학교 체육수업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량, 단원 설계, 학습에 대한 준비도, 소통형 학습 풍토 형성의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grit is formed from the view point of the socio-psychological environment in students who have fulfilled their achievements in school sports clubs and to suggest how physical educators can improve grit through physical educatio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open questionnaire, focus group interview, and individual interview from 28 research participants who won 2016 school sports club competition in three activitie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grounded theory of Charmaz(2006). Results: Six categories emerged: ‘motivation’, ‘goal management’, ‘task and exercise’, ‘teacher’, ‘overcoming crisis’, and ‘atmosphere’. To raise students' grit through physical activity, curiosity must be turned into ongoing interest. Cognitive-affective problems and conflicts that arise in the practice process were the key issues to resolve. Diversifying practice methods enriches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Goal-oriented learning environment enables students to motivate themselves continuously and overcome crisis. Conclusion: In order to apply these research findings to school physic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view instructing physic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er capacity, unit design, preparation for learning, and building communicative learning clim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