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의 정서적 지형도에 나타난 거리감 분석

        한산섬(Han SanSeom),박은혜(Park Eunhye)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21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6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정서적 지형도에 나타난 거리감과 유아교사의 개인 및 기관 변인에 따라 정서적 지형도 전체와 영역 및 대상별로 나타나는 거리감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2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을 위해 연구자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제작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경우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정서적 지형도 전체와 영역 및 대상에서 거리감은 모두 평균 이하로 나타났고, 도덕적 지형도가 가장 거리감을 많이 느끼는 영역이었으며, 학부모가 가장 거리감을 많이 느끼는 대상이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개인 변인 중 연령, 학력에 따라, 유아교사의 기관 변인 중 기관유형, 담임학급 영유아 연령, 담임학급 영유아 인원수, 근무시간에 따라 정서적 지형도 전체와 영역 및 대상별로 나타나는 거리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양적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유아교사의 정서적 지형도에 나타난 거리감을 살펴본 첫 연구라는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사와 관련된 변인에 따라 정서적 지형도에서의 거리감을 줄이기 위한 방안 모색이 개인, 기관의 조직 및 행정 차원에서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distance and personal/institutional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whole, area and target of their emotional geographies. The study was conducted on 229 teachers of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researcher developed a questionnaire based on previous research, to collect data. For data analysis,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lso independent sample t -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and Scheffe posterior test was performed if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distance of the whole, area and target in the emotional geographies were all below average. Early childhood teachers felt the most distance in moral geography among the emotional geographies area, and they felt the most distance in parents among the emotional geographies target.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hole emotional geographies, area and target depending on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among personal variable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hole emotional geographies, area and target depending on the institution type, age of children in the homeroom class, number of children in the homeroom class and working hour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the first study to examine the distance on the emotional geograph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find ways to reduce distance in emotional geographies on both personal level and organization, administration of institutional level as the variabl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유아교육에서 학교폭력 바라보기

        한산섬(Sanseom Ha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교사의 학교폭력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탐구함으로써 유아교육 맥락에서의 학교폭력이라는 용어의 사용과 유치원교사가 가져야 하는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의 방향을 정립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심층 그룹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교사가 인식하는 학교폭력의 특성은 8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둘째, 유아라는 주체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유아간의 폭력적인 문제를 학교폭력이라는 용어로 칭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보았다. 셋째, 유아 간 폭력적인 문제는 학교폭력으로 칭할 수 없지만 유아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았다. 넷째, 유아 간 폭력적인 문제에 대하여 행동지도 수준에서 대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에서도 학교폭력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며, 학교폭력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이해 현황과 인식의 방향을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kindergarten teachers' understanding and perceptions of school violence in order to establish the use of ‘school viol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perceptions about school violence that kindergarten teachers should hav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in-depth group interviews. As a result, first, there were 8 characteristics of school violence as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s. Secon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there were difficulties in labeling violent problems that occur in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 with ‘school violence’. Third, the violent problems that exist in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 which cannot be labeled as school violence, were thought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all children. Fourth, it was found that violent problems between children are dealt with at the level of behavior guidance. This study suggests that school violence needs to be address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at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level of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and direction on school violence.

      • KCI등재

        내용분석 및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어린이미디어연구’의 연구동향 분석

        박은혜(EunHye Park),한산섬(SanSeom Ha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1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영유아 미디어교육을 선도하는 ‘어린이미디어연구’ 학술지의 연구동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어린이미디어연구’에 투고된 546편의 논문과, 논문에 포함된 1814개의 주제어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빈도분석을 통한 내용분석 방법과 유아교육 정책 시기별로 나누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 내용분석의 경우, 한 해에 발간하는 논문의 편수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양적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의 측면에서는 인적대상 중 유아를 연구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의 결과, 1기에서는 ‘유아컴퓨터교육’, ‘교사인식’, 2기에서는 ‘교수효능감’, ‘예비유아교사’, ‘어린이집’, ‘로봇기반교육’, 3기에서는 ‘그림책’, ‘예비유아교사’, ‘로봇기반교육’, ‘유아’, ‘정서지능’, ‘영아’, 4기에서는 ‘그림책’, ‘유아’, ‘유아교사’ 키워드가 시기별 네트워크 내에서 주요한 개념이자 연구주제이면서 다른 주제 및 변인과 함께 많이 다루어진 핵심 키워드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어린이미디어연구’ 학술지 및 유아교육 학계의 발전을 위하여 사회 및 정책적 변화를 반영하는 연구의 방향성과 학회와 학계의 노력이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f the ‘Journal of Children’s Media and Education’ that leads media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or this, 546 articles on the ‘Journal of Children’s Media and Education’ and 1,814 keywords on those articl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content analysis method was perform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 was used by dividin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its policy period. As a result of content analysis, the number of articles published in a year tended to increase gradually,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he most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and studies on children were conducted the most among human subjects. As a result of keyword network analysis, 1st Period; “Early Childhood Computer Education”, “Teacher’s Recognition”, 2nd Period; “Teaching Efficienc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Daycare Center”, “Robot-based Learning”, 3rd Period; “Picture Book”,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Robot-based Learning”, “Children”, “Emotional Intelligence”, “Infant and Toddler”, 4th Period; “Picture Book”, “Children”, “Early childhood teacher” were found to be the major concepts and research topics within each periods, and they were also the main keywords that were dealt with many other topics and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 to improve the Journal of Children’s Media and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cademia, the direction of research should reflect social and political changes and the efforts of associations and academia are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