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순절적 성경주석과 적용의 가능성: 이사야 11:1-5를 중심으로

        한사무엘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2 영산신학저널 Vol.- No.59

        This paper starts with a problematic issue, “What should the Korean church do to restore its influence on society?” while it faces various changes owing to COVID-19. I attempt to discover clues through Pentecostal exegesis of the Bible. What should the Korean church do now to overcome social criticism and to take the lead of postCOVID-19 era, in order not to repeat mistakes of the European church in the days of the Black Death in the Middle Ages that it failed to utilize the criticisms from the society against the church as an opportunity for self-reflection and reform? To answer these questions, I will be interpreting Isaiah 11:1-5 from a Pentecostal perspective, and at the same time explore through this process a possibility of Pentecostal exegesis of the Old Testament. The paper proposes two premises as factors that distinguish Pentecostal biblical exegesis from the other types of exegesis. The first is “present-tension” as a theological premise. It refers to a theological conviction that a saying or an event recorded in the Bible still occurs today. It is a theological presupposition that expects God to work in the same way as it is written in the Bible, by acknowledging the biblical events not only as a source of historical facts or information from the past, but as a sample of events that can be experienced in our lives today. The second is a “spiritual perspective,” which is a thematic premise. It signifies interests in the Holy Spirit that makes the dramatic experience of God possible, and in the texts in relation to the Spirit. While some criticize that an emphasis solely on the Holy Spirit should not be justified as a Pentecostal interpretation of the Bible, I argue that it is credited to be Pentecostal to pay far more attentions to the contents related to the Holy Spirit. Isaiah 11:1-5 is selected to apply the two premises above to the Old Testament texts. Exegeting the text, I will argue that the text reflects the critical state of Israel and reveals that the “Spirit of Yahweh,” which refers to the Holy Spirit, is the most significant hermeneutic key in the Messianic text. The Spirit of Yahweh is proclaimed as the driving force that blows new winds into the religious, judicial, diplomatic, and military realms in which the previous Davidites have failed. I interpret the Spirit of Yahweh which brought new hope to Isaiah’s day as the Holy Spirit that still makes a new beginning possible today. In addition, the Holy Spirit is the Spirit who transforms the object of condemnation into that of hope by providing power for a new era, enabling self-reflection, and restoring a relationship with God. My conclusion is that the Korean church must rely on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to encounter the coming era in a flexible and effective way. 본 논문은 코로나19로 인해 많은 변화에 직면한 ‘한국교회가 세상을 향한 영향력을 회복하려면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고, 오순절적인 성경 주석을 통해 그 해결의 단서를 찾으려고 시도한다. 중세에 흑사병이창궐하던 시절 유럽의 교회가 교회를 향한 비판을 자기반성과 개혁의 기회로활용하지 못했던 것을 반면교사로 삼아 한국교회가 사회의 비판을 극복하고 새로운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서는 어디에서부터 무엇을 해야 하는 것일까?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필자는 그 가능성을 이사야 11:1-5절을 오순절적인 시각으로 해석하려 하였고, 동시에 이러한 작업을 통해 오순절적 구약주석의 가능성도 타진하려 한다. 본 논문은 오순절적인 성경주석을 다른 경향의 주석들로부터 구별시키는 요소로서 두 가지 전제를 제시한다. 첫째는 신학적 전제로서 “현재적-긴장성”이다. 이는 성경에 기록된 말씀이나 사건이 지금도 일어난다고 믿는 신학적 확신이다. 이러한 전제는 성경 본문을 단지 과거의 역사적 사실이나 정보를 얻는 자료로서가 아니라 오늘날도 우리의 삶속에서 체험 가능한 사건의 표본으로서이해함으로써 하나님이 현재도 기록된 말씀과 동일하게 일하심을 기대하게 하는 신학적 전제이다. 둘째는 주제적 전제인 ‘성령적 관점’이다. 이는 극적인 하나님 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성령에 대해 관심을 갖는 것으로 성령과 관련된 본문에 관심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성령을 강조하는 것만을 오순절적인 성서해석으로 간주하는 것이 정당한가에 대한 지적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성령과 관련된내용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야말로 오순절적인 것이라고 주장한다. 필자는 이러한 두 가지 전제를 구약성경에서 적용하기 위해 이사야 11:1-5절을 택한다. 그리고 본문 주석을 통해 이스라엘의 국가적인 위기 상황을 반영하고, 새로운 시대를 열어줄 기름부음 받은 자를 기대하는 메시아 본문에서 가장핵심적인 해석학적 열쇠가 성령을 뜻하는 ‘야훼의 영’임을 밝힌다. 왜냐하면야훼의 영은 기존의 왕들이 실패했던 신앙적 영역과 사법적 영역, 그리고 외교군사적인 영역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는 원동력으로 선포되고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이사야 시대에 새로운 희망을 불러일으킨 야훼의 영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새로운 시작을 가능하게 하는 성령이라고 해석한다. 또한 성령은 새로운시대를 위해 능력을 부여하고, 자기반성을 가능하게 하며, 하나님과의 올바른관계를 회복시킴으로써 지탄의 대상을 희망의 대상으로 변화시키는 영이다. 필자는 한국 교회가 새로운 시대를 유연하고 효과적으로 맞이하기 위해 이러한성령의 능력을 의지해야 한다고 결론짓는다.

      • KCI등재

        사무엘서에 나타난 야웨의 영과 하나님의 영의 의미

        한사무엘 한국구약학회 2016 구약논단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lement the problems of previous researches on rûaḥ (x:Wr/spirit) in the book of Samuel. Previous studies on rûaḥ in the Old Testament have regarded the two different expressions, the Spirit of Yahweh (hw"hy>-x:Wr) and the Spirit of God (~yhil{a/x:Wr), as synonymous. However, this is a misunderstanding due to the fact that the scholars have disregarded out the situation of the early monarchy of Israel. This paper does not focus on the lexical meaning of rûaḥ but rather on the role of the concept rûaḥ at a specific time, namely, the early monarchy of Israel. The alternation between the Spirit of Yahweh (hw"hy>- x:Wr) and the Spirit of God (~yhil{a/ x:Wr) must be understood in the light of the rivalry of the two early kingships. David’s followers emphasized that the Spirit had departed from King Saul in order to crush the spiritual base of Saul’s kingship. And they created the new concept that the Spirit came upon David in order to show the superiority of David’s kingship over Saul’s. This study points out a lack in previous interpretations of rûaḥ in the book of Samuel and proposes a new interpretation as an alternative. According to this study, the alternation between the Spirit of Yahweh and the Spirit of God is political propaganda used to justify David’s kingship. This new interpretation is possible if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early monarchy of Israel is considered. 본 연구의 목적은 사무엘서에 나타난 루아흐 (רוּחַ/영)에 대한 지난 연구들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것이다. 구약의 루아흐에 대한 이전의 연구들은 서로 다른 두 단어인 야웨의 영 (hw"hy>-x:Wr/루아흐 야웨)과 하나님의 영 (~yhil{a/ x:Wr/루아흐 엘로힘)을 동의어로 보았다. 그러나 이것은 그들이 이스라엘의 초기 왕정의 상황을 배제했기 때문에 생긴 오해이다. 이 연구는 루아흐의 사전적인 의미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오히려 특정한 시기 즉 초기 왕정의 시기에 루아흐 개념이 지녔던 역할에 초점을 둔다. 야웨의 영 (hw"hy>-x:Wr/루아흐 야웨)과 하나님의 영 (~yhil{a/ x:Wr/루아흐 엘로힘)의 교차 사용은 초기 두 왕권의 경쟁 구도의 빛 속에서 이해되어야만 한다. 한편으로 다윗의 추종 집단은 사울 왕권의 영적인 기초를 무너뜨리기 위해 영이 사울로부터 떠났음을 강조했다. 그리고 이 집단은 다윗 왕권이 사울의 왕권보다 우월함을 보이기 위해 영이 다윗 위에 머무른다는 새로운 개념을 창조해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의 부족함을 보이고 대안으로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려고 시도한다. 결론적으로 야웨의 영 (hw"hy>-x:Wr/루아흐 야웨)과 하나님의 영 (~yhil{a/ x:Wr/루아흐 엘로힘)의 교차 사용은 다윗의 왕권을 합법화하기 위한 정치적인 프로파간다이다. 이 연구는 이스라엘의 초기 왕정의 상황을 고려될 수 있다면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이 열리게 된다는 것을 말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