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어조사에 나타나는 대우표현 : 「の」「が」 를 중심으로

        한미경 한국일어일문학회 1984 日語日文學硏究 Vol.4 No.1

        韓國語と日本語は文法の構造や語の配置など, 多くの共通点を持っている. なお, 言語生活を營む時, 常に相手との關係を考慮し, その待遇意識によって相手にふさわしい言葉を選んでいる. なお, 待遇意識によって待遇表現をするという点においては共通しているが, 實際の用法においては多くの相違点が見られる. その一つに韓國語の場合, 助詞にも待愚表現が現われるが, 日本語の現代語の場合は助詞には何の敬意も現われない. ところが, 日本語の場合も時代を逆れば, 待遇意識による助詞の使い分けがあったという. 現代語の「の」「が」は連體格助詞, 主格助詞としてその機能を果しているが, 中世には相手を敬まって話す時は「の」を用い,「が」は卑下する時や, 親しみを表わす場合に使ったという. 中世の說話集『宇治捨遺物語』の「さたが衣」の例とか, ロドリゲスの『日本文典』などの資料によって中世には文法上の機能よりも待遇意識による使い分けが優先していたというのは否定できない. その用法がいつ, どういう過程を經て現代語のように文法上の機能のみが殘るようになったのかについては明らかにされていない. 本論文では近世後期から近代にかけて從來の槪念による「の」「が」の用法が消滅していく過程, およびそれがいつ頃どういうふうに消滅したかについて調べてみた. 資料として用いたのは, 近世後期の作品として式亭三馬作の『浮世風呂』, 近世末期の作品は二世梅暮里谷我作の人情本『春色連理の梅』, 近代の作品は二葉亭四迷作の『浮雪』, 現代小說として川端康成作の『雪國』である. 資料に現われる人稱代名詞や人物に關する名詞などを取り上げ, 使われている場面や待遇意識との係わりを調べてみた. 以上, 調べたのをまとめてみると, (1)「の」「が」の待遇意識による使いわけがなくなる時期は, ①主格用法 近世後期の作品『浮世風呂』においてすでに「が」が用いられている.「の」の例も若干あるが, いずれも連文節中の主格助詞として使われたものである. なお, その後の作品『春色連理の梅』『浮雲』『雪國』の場合も連文節中の主格助詞「の」の用法を除いてはもっぱら「が」が使われている. 以上から, 主格助詞「が」の確立時期は近世後期よりもっと以前のことと認められる. ②連體格用法 近世後期には待遇意識による從來の使いわけと, 文法機能による使いわけとが共存し,「の」「が」の用法が激しくゆれているが, 近世末期にはほとんど文法上の機能によって整理され, 近代語に近づいてくる. しかし, 一方では「の」「が」の用法の亂れと從來の用法の名殘りが見られるので, 從來の待遇意識による使いわけは近世末期遲くまで殘っていたと思われる. その後, 近代の作品においての連體格助詞は「の」のみで, 亂れの例は現われない.なお, 現代の作品においても連體格助詞は「の」の例しかない.以上から, 從來の槪念による使い分けが完全になくなるのは近世から近代に變っていく時期だと言える. (2)「の」「が」の待遇意識による使い分けがなくなる原因は, ①近世後期より以前にすでに擡頭していた文法上の機能による使い分けの必要性が待遇意識による用法を勝ってくる. その後も「が」は品のない言葉づかいには殘っており,「の」は柔らかいニュアンスのために品のある言葉づかいをする人人に受け入れられたと思われる. 文法上の必要性と上品な言葉への志向が一體となって連體格助詞として「の」は一般化していったといえる. なお, 時代が變っていくにつれて人稱代名詞も變り, 從來は「が」が用いられていた人稱代名詞は使われなくなり, 新しく現われる代名詞には文法上の機能だけが동き「の」が用いられた. 特に近代に入っては明治維新によって社會制度の變革とともに待遇意識が變り, 從來の複雜なん人稱代名詞は簡單に整理されていく. 同時に「の」「が」の用法ももっぱら文法的な機能によって使い分けられるようになるのである. 以上のように, 言語生活の變遷などの要因と文法上の必要によって近代以後は文法上の機能のみで, 主格助詞は「が」, 連體格助詞は「の」の用法が確立したといえよう.

      • KCI등재

        국내 연구자의 「노걸대」 연구 및 판본활용에 대한 계량적 분석

        한미경 한국서지학회 2012 서지학연구 Vol.51 No.-

        Nogeoldae was Chinese teaching materials and Chinese conversation study material for a long time. This study targeted at articles registered with KCI, which are browsed by the key word “Nogeoldae”, among domestic academic articles provided by RISS of KERIS in order to analyze the trend of domestic researchers’ use of editions in their study on Nogeoldae. To analyze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grouped studies, two standards of academic journals and researchers were applied. To conduct analysis on literature level, two standards of bibliographical description and editions analysis were used. This analysis raised the necessity to conduct bibliographical study in case of research targeted at specific literatures. The detailed contents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analysis of academic journals, a number of articles are generally being published in the academic journals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related academic area. The analysis also shows that most of the researchers majored in the areas of Korean and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The biggest number of researches were conducted in 2000s and it seems that lots of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since 1998 when original publication was discovered. 2) The analysis of researchers shows that most of 52 researchers are from areas of Korean and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Those researches were being conducted mostly by the professors in their 40-50s and a small number of domestic researchers were conducting researches persistently. 3) Editions of study objects analysis shows that most of 78 articles were without description of bibliographical details and publication related situation. Not more than 10% of articles include anyasis of editions and the first type editions were mostly used for research purpose. The analysis of editions of study object shows that two editions of Nogeoldae Enhae and Bunyok Nogeoldae are being used as major object of studies.

      • KCI등재

        한국 · 중국 · 일본에서 섬유류 문화재 보존에 사용한 약용식 물의 역사적 고찰

        한미경 한국박물관학회 2000 博物館學報 Vol.- No.3

        중국 · 한국 · 일본에서는 옛날부터 섬유류 자료를 충해로부터 지키기 위해 많은 약용식물을 사용해 왔다. 지금도 한국의 불복장 유물이나 일본의 lE용院 소장품이 거의 손상없이 원형을 유지하며 우리들에게 그 찬란한 역사를 전해준다. 특히 정창원의 유품은 발굴 유물이 아닌 전 세품으로 세계인의 주목을 받고 있다. 어떻게 그 보존이 효과적으로 지속될 수 있었을까? 현재 남아 있는 한국의 불복장 유물은 신라시대 (57B. C. - 935) 까지 거슬러 올라가. 751년에 셰워진 경주 불국사 3층석탑 복장품에서 다리니경과 향목이 저마에 싸여 발견되었다. 그 후 766년의 비로사나불을 비롯하여 1778년 대세지보살상의 복장 유물까지 40건 이상의 불복장물 이 알려져 있다. 정창원의 보물은 756년 光明皇太탐가 聖武天皇의 49제 때 천황이 아끼던 유품 들을 東大좋大111에 헌납했던 것을 중심으로, 奈良시대 (710 - 794) 이후의 전셰품을 비롯하여 - 각시대의 보물이 추납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한국의 경우 경전류나 복죄류를 포함한 복장 유물이 오랜 세월에도 불구하고 손상이 적은 것은 함께 복장된 약향이나 약초 등이 방충제의 역할을 했기 때문이며. 실제로 조선시대 0392 - 1910) 에는 서고의 購書때 천궁과 창포와 같은 약용식물의 가루를 넣어 보존해 왔다. 마찬가지 로 정창원에는 보존용으로 많은 약용식물과 합향 주머니가 전해지며, 지금도 박물관 · 미술 관 · 도서관 등에서 방충향이 섬유류 자료의 보존에 사용되고 있다. 중국의 경우, 일찍이 兩팝 시대 (265 -42이 에는 황벽에 살충효과가 있는 것을 발견하여 황벽 용액으로 물들언 황지를 사 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약용식물이 어떻게 종이나 천 등 섬유류 자료를 해충의 피해로부터 지 커 왔는지 통시적으로 고찰하였다. 조사방법은 방충향으후서의 약용식물에 대해 중국 ? 한국 · 일본의 한방 · 본초 · 불복장유 물 ? 서지학 · 복식 · 민속관계 등의 문헌을 찾아, 고대 · 중세 · 근대의 시대순으로 정리해 서술 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사고전서」의 검색과 활용에 대한 연구

        한미경 한국서지학회 2012 서지학연구 Vol.53 No.-

        Sahgojeonseo is a series of books which was made by royal order in the year of Keonryung of Ching days. For the purpose of search and utilization of Sahgojeonseo, the publication, storage, and maintenance of Sahgojeonseo was generally examined and the following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through this study. Firstly, in the case of the 18-9th centuries of search and utilization of Sahgojeonseo,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distinction between 1) Sahgojeonseo catalogues 2) withdrawal and supplementation of books listed in Sahgojeonseo 3) unlisted book catalogue of Sahgojeonseo. Secondly, in case of the 20th century-the present time of search and utilization of Sahgojeonseo,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distinction between printed media, electronic media and search and utilization of Korea's search and utilization of Sahgojeonseo. In the case of printed media,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distinction between 1) explanation of Sahgojeonseo, 2) revision to Jaeyo, 3) study on catalog, 4) study on historical research and kinds of books, 5) catalogues of prohibited books and titles and 6) source of information search. In case of electronic media,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distinction between on-line and off-line electronic media. 「사고전서(四庫全書)」는 중국 청대 건륭(乾隆) 연간에 칙명에 의해 만들어진 대규모 총서(叢書)이다. 본 연구는 「사고전서」의 검색 및 활용 고찰을 목적으로 「사고전서」 간행과 보관 및 보존을 개괄적으로 살피고, 다음과 같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첫째, 18-9세기의 「사고전서」 검색과 활용의 경우 1) 「사고전서」 목록류, 2) 「사고전서」 수록서적의 철훼와 보완, 3) 「사고전서」 미수서적 목록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둘째, 20세기-현재의 「사고전서」 검색과 활용의 경우 인쇄매체와 전자매체 및 한국의 「사고전서」 검색과 활용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인쇄매체의 경우 1) 사고전서의 개술, 2) 제요의 보정, 3) 목록의 연구, 4) 고증과 판본연구, 5) 금훼와 존목서목, 6) 검색정보원 등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으며, 전자매체의 경우 오프라인 전자매체와 온라인 전자매체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 KCI등재

        시조보 초기 판본에 대한 서지적 고찰

        한미경 한국서지학회 2022 서지학연구 Vol.91 No.-

        Jung Kyung Tae pennamed Seokam is the advocate of Seokamje and the person who made efforts to popularize sijo through composition of Seonyulseonsijobo. This study conducted comparative study of Sijobu of Gukakbo, 2 types of versions possessed by National Library of Korea (Go3716-6 and Go3716-10) and the version possessed by Han Byung Il as earlier records of Jung Kyung Tae’s Sijobo.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able of contents, it was found out that Han Byung Il’s collection referred to Sijobu of Gukakbo, judging by the notation of ‘Chungheory’ in ‘Chungheory Sijo (In Sanchon)’. Secondly, when it comes to Jisu-tone (means slightly shaking tone) among mark explanations, both version possessed by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at possessed by Han Byung Il provide the same explanation on the sound. This could prove that the version possessed by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at possessed by Han Byung Il are contemporary to each other. Thirdly,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scores of ‘Pyeongsijo Hansansum’, it was found out that Han Byung Il’s collection seems to have referred to Sijobu of Gukakbo and that the same version is pre-staged version of Seonyulseonsijobo of 1960, judging by the application of pitch name, which is one of mark explanation, to scores. Overall, it was found out that Go3716-10 from the collection possessed by National Library of Korea as earlier records of Jung Kyung Tae’s Sijobo is full version, while Go3716-6 is an abridged version, and that the collection possessed Han Byung Il is newly found version which was produced in 1958 and pre-staged version of Seonyulseonsijobo of 1960. 석암 정경태는 石巖制 주창자이며 「旋律線時調譜」를 만들어 시조의 대중화를 위해 힘쓴 인물이다. 이 연구는 정경태의 시조보 초기 판본에 대한 서지적 고찰을 위하여 「國樂譜」 時調部와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2종(古3716-6과 古3716-10) 및 한병일 소장본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목차 비교 결과 ‘중허리 時調(山村에)’의 ‘중허리’ 표기와 각 지방제 등을 보아 1958년의 한병일 소장본은 1955년의 「국악보」 시조부를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부호설명 중 ‘음정’의 ‘지수는 소리’에 대하여 2종의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과 한병일 소장본은 동일하게 설명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은 한병일본과 유사한 시기의 판본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악보 ‘平時調 閑山섬’ 비교 결과 한병일 소장본의 경우 「국악보」 시조부를 참고하였고, 부호설명 중 ‘음명’의 악보 적용을 살펴본 결과 1960년 「旋律線時調譜」의 전단계 판본으로 보인다. 종합적으로 정경태의 시조보 초기 판본으로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중 古3716-10은 전체본이며, 古3716-6은 요약본임을 분석하였다. 또한 한병일 소장본은 1958년 발행의 새로이 발견된 판본으로 「국악보」 시조부를 참고하였으며, 1960년 「旋律線時調譜」의 전단계 판본임을 밝혔다.

      • KCI등재
      • KCI등재

        日本語の敬語の分類に関する一考察 : 「敬語の指針」をめぐって

        韓美卿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09 日本硏究 Vol.41 No.-

        従来日本語の敬語は二分類など諸説があるが、学校教育をはじめ一般には尊敬語、謙譲語、丁寧語の三種類にわけて考えていた。しかし、2007年日本の国語審議会は「敬語の指針」で敬語を5分類にして発表した。 本稿の目的は「敬語の指針」が提示した敬語の分類とそれのよりどころになっている諸説と日本語の現代語の敬語の役割の変化との関わりについての検討を試みることにある。 まず、「敬語の指針」における尊敬語は従来の3分類の尊敬語とかわらない。「敬語指針」では尊敬語の分類は行っていないが、「補足」として「くださる」を取り上げている。また、三分類の謙譲語を謙譲語Ⅰと謙譲語Ⅱに分けている。「敬語の指針」で示した謙譲語Ⅰは表現の違いはあっても従来の謙譲語から見て特別異見はないといえよう。【補足】として謙譲語Ⅰの基本的な働きに加えて,恩恵を受けるという意味も併せ持つ「いただく」を扱っている。謙譲語Ⅱの「参る、申す、いたす、おる」などは敬語をめぐる争点になっている部分である。争点はこの種類の動詞の使い方が相手に向かって行われるのではなく、自分や自分側の行動を低める謙譲語だという観点と聞手への配慮から使われるという観点という見解から来ている。 今回の「敬語の指針」の特徴は三分類の丁寧語を美化語と丁寧語に分離したことである。美化語は聞き手指向を持たないものだけを「ものごとを美化して述べるもの」として五分類の中に位置することになった。 以上、「敬語の指針」の五分類は敬語の働きや使い方によって分類し、従来の三分類では足りなかった部分を補ったことについては高く評価されると思われる。しかし、「敬語の指針」における敬語の分類や定義は日本語の現代語の敬語の分類を一般化したというより学問的な立場に片寄っていると思われる。次に、丁寧語のことであるが、日本語の敬語の分類は素材敬語(話題の敬語)と対者敬語(対話の敬語)に大きく二つに分けるべきだと思う。現代語は相手中心になっているといっても、ことがらの表現と、それに付け加え相手への自分の丁寧さを表すものとは区別する必要があると考えられる。 最後に外国人としての見解かもしれないが、2007年の「敬語の指針」の敬語の取り扱い方は具体的過ぎるのかも知れない。

      • KCI등재

        「노걸대(老乞大)」 언해본에 대한 서지적 연구

        한미경 한국서지학회 2012 서지학연구 Vol.52 No.-

        Korean Translations of the Nogueldae is a basic reference material in Korean and Chinese language studies with huge value in the areas of Korean language history, colloquial language, and Chinese phonological history. Through this study, the publications of foreign language textbooks and Korean translations of Noguldae were reviewed with expectation to contribute to securing exact bibliographical details of the future studie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studies on the titles of Korean Translations of the Noguldae, it was found out that Beonyeonnogeoldae which are utilized by domestic researchers was more used than others, but about ⅓ of them do not have clear indication of titles, especially in utilization of Nogeuldaeunhae or Pyongyang verson of Noguldaeunhae. Second, the study on domestically available Korean Translations of the Nogeoldae shows that Junggannogeuldaeunhae is more available than the other versions and overall, Kyujanggak has more versions than in other places. Third, as a result of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version possesed by Kyujanggak, each of 4 types of Noguldaeunhae and 10 types of Junggannogeuldae by and large show simliarities in terms of contents and structure but there are slight differences within each of them seem to have occurred by the version possessors’ own marking or copying process. The analysis of 1 type of Pyungyang version Noguldaeunhae proves that its cover title is Kugannogeoldaeunhae and its title of the beginning of the book is Nogeoldaunhae and Pyongankamyoungjungan exists in its record of publication. With these factors, it is called Nogeoldaeunhae, Pyungyang version Nogeoldaeunha, Kiyoung version Nogeodaeunhae or Kugannogeoldaeunhae, etc. respectively. And, depending on publication period, Noguldaeunhae and Pyungyang version Nogeoldaeunha are called ‘Hungjong version’ and ‘Yeongjo version’, respectively. 「노걸대(老乞大)」 언해본은 한국어학과 중국어학 연구의 기본적인 자료로 국어사와 구어 및 증국음운사 연구에 가치가 크다. 본 연구는 이후 연구의 정확한 서지사항 제공에 일조하기를 기대하면서 우선 역학서와 「노걸대」 언해본의 간행을 살피고,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국내연구자들이 연구에 활용하는 「노걸대」 언해본의 서명부분을 고찰한 결과 「번역노걸대(飜譯老乞大)」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특히 「노걸대언해(老乞大諺解)」나 평양판 「노걸대언해」를 활용하면서 약 ⅓은 서명표기가 불명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국내 현전의 「노걸대」 언해본 조사 결과 「중간노걸대언해(重刊老乞大諺解)」가 가장 많이 현전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규장각에 가장 많은 판본이 소장되어 있음을 조사하였다. 셋째, 규장각 소장의 「노걸대」 언해본의 서지적 특징 고찰 결과 4종의 「노걸대언해」와 10종의 「중간노걸대언해」는 둘 다 동일한 내용과 체제로서 소장자의 표시거나 복각되면서 일부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1종의 평양판 「노걸대언해」 분석 결과 표제(「구간노걸대언해」)와 권수제(「노걸대언해」) 및 간기(平安監營重刊)에 의거하여 국내연구자들은 이 판본에 대하여 「노걸대언해」, 평양판 「노걸대언해」, 기영판 「노걸대언해」 또는 「구간노걸대언해」 등으로 명명하고 있다. 한편 간행시기를 기준으로 「노걸대언해」 는 ‘현종판’으로 불리우고, 평양판 「노걸대언해」는 ‘영조판’으로도 불리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