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북한 체제통합을 위한 기능주의 대북정책의 재고찰

        한기호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19 통일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South Korean government’s functionalism and neo-functionalist North Korea policy from a systematic viewpoint of the two Koreas and to derive a rational inter-Korean integration model. If we are to distinguish the functionalism and the new functionalism, which has been the basis of North Korea policy, as a measure of ideology of progress and conservation,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North Korean policy mechanism that changes its shape according to changes in domestic and foreign circumstances and regime. Therefore, this study first defines the concept of unification and unification. And the concept of functionalism and new functionalism is examined as an approach of integration.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performance and limitations of our government ‘s North Korea policy. And the implications of functionalism and new functionalism for the process of inter - Korean integration. The preconditions of the rational inter-Korean integration model are divided into South Korea, North Korea, and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In addition, we present an appropriate inter - Korean integration model by comparing the existing model that was agreed upon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the East - West German integrated model. 본 연구의 목적은 남한정부의 기능주의 및 신기능주의적 대북정책이 갖는 의미를 남북한 체제통합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합리적 남북통합모델을 도출하는 것에 있다. 대북정책의 토대가 되어 왔던 기능주의 및 신기능주의 접근방식을 진보와 보수라는 이념의 잣대로 구분하는 것에 머무른다면, 국내외 정세와 정권의 변동에 따라 그 모양을 달리하는 대북정책 메커니즘을 설명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통합과 통일의 개념을 정의하고 통합의 접근방법으로서 기능주의와 신기능주의 개념을 검토한다. 본론에서는 우리정부의 대북정책사의 성과 및 한계를 분석한 후 기능주의 및 신기능주의가 남북통합과정에 제공하는 시사점을 도출한다. 합리적 남북통합모델의 전제조건을 남한, 북한, 국제환경으로 구분하여 검토한 후, 통합방식에 관하여 남북 간에 합의되었던 기존모델과 동서독 통합모델을 비교하여 적합한 남북통합모델을 제시한다.

      • KCI등재

        한미동맹이 남북한 라이벌리(rivalry) 관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숙적 이론과 동맹 이론을 중심으로

        한기호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9 No.2

        This study is about the cause of the rivalry between two korea, which has been going on for decades since the Korean War. The approach is a combination of international political theory and specifically exploits rivalry theory and alliance theory. Historically, numerous enemy relations have been created and terminated. But why is i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Koreas is showing persistent vitality? After the division, the South and the North have consumed huge military spending and human resources. This is an effort to deter security crises that may arise from insecure confrontations. The balance of power on the Korean peninsula is divided into large alliance forces centered o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It has been structurally fixed. In addition, the giant donors have been involved in the dispute on the Korean Peninsula in a manner that is optimized for the security interests of the Parties. From an international political point of view, the process of decision making between asymmetric alliances tends to be traded in the sense that the security interests of the great powers limit the autonomy of the weak countries. Therefore, this study will examine how the United States, which is an axis of alliance in the main disputes between the two Koreas, is involved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the Korean Peninsula, ie, South Korea. Specifically, we will identify patterns of asymmetric autonomy-security trade type between ROK - US alliance. And this study will analyze how this contributes to the long-term conflict model, the inter-Korean rivalry maintenance. To this end, we are examining the major Militarized Interstate Dispute (MID) cases between the two Koreas. Eventually, if the stalemate of military conflicts on the peninsula is repeated, the cost of maintaining it increases. Therefore, the alliance should be examined at which point it functions in maintaining and ending the relationship. It will be South Korea 's task to find a way to recognize the end of the rivals on the Korean peninsula as vital interests between the ROK - US alliances. 한국전쟁에 대한 종전선언이 휴전협정으로 대체되면서 분단 구조는 수십 년간 더욱 공고화되었다. 총 다섯 차례의 남북 정상회담 등 종전과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남과 북은 크고 작은 물리적 충돌을 빚어왔고 현재까지도 상시적 대치 상황을 유지하고 있다. 1948년 한반도내 상이한 정치체제의 출현과 한국전쟁은 이후 반복될 남북간 분쟁의 맹아였던 셈이다. 일정기간 상호간 의견대립으로 인하여 외교, 경제, 군사적 분쟁을 반복하거나 비용을 지출하는 국가간 관계를 흔히 라이벌리(rivalry), 학술적으로는 숙적 관계라고 한다. 역사적으로 수많은 숙적 관계가 생성되고 종식되었음에도 남북한 숙적관계가 끈질긴 생명력을 과시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분단 이후 남과 북은 막대한 국방비 지출과 인적 자원의 충원을 통해 불안전한 대치 관계로부터 상호 야기될 수 있는 안보위기를 억지하려고 노력해 왔다. 한반도 내 힘의 균형은 한·미(일), 북·중(러) 동맹으로 양분되어 구조적으로 고착화되었을 뿐 아니라 거대 후원국들은 당사국들의 안보이익에 최적화된 방식의 정책으로 한반도 분쟁에 관여해왔다. 국제정치학적 관점에서 비대칭동맹국 간의 의사결정시 강대국의 안보이익이 약소국의 자율성을 제한한다는 가설을 기반으로 보면, 한반도 역시 이해관계국간 절충적 거래가 성사되는 지역임을 부정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한반도 내 양분된 동맹구조가 남북한 분쟁 상황과 어떤 상관관계를 맺고 있으며 우리의 외교안보 정책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지 분석하기 위해 자료접근성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한미동맹관계를 조명하고 있다. 방법론으로 숙적 이론과 동맹 이론이라는 국제정치 이론의 조합을 활용한다. 분석 대상은 첫째, 1948년 이후 한미주둔군 지위 협정(Status of Forces Agreement)의 당사자인 미국의 한반도 관여정책이 한·미동맹의 비대칭적 자율성-안보 거래(autonomy-security trade type) 패턴에 미치는 영향, 둘째, 한미동맹이 장기화된 갈등 모델인 남북한 숙적관계 유지에 기여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분석 시기는 한미 상호이익에 관한 절충을 모색해야 했던 남북한 간 주요 군사적 분쟁 사례(MID)(1960s~2000s)로 설정하였다. 일반적으로 분쟁국가 간 군사적 갈등의 교착(stalemate) 상태가 반복되면 이를 유지하기 위한 ‘교착 비용’ 역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종전 및 평화체제를 지향하는 우리는 동맹관계의 시계추가 당면한 안보 차원의 실익을 넘어 남북한 숙적관계 유지와 종식 사이의 어느 지점을 향하고 있는가를 반문해봐야 한다. 이제는 한반도 숙적관계 종식이 한·미 동맹의 사활적 이익(vital interest)으로 수렴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민을 시작할 때이다.

      • KCI등재

        Theoretical Modeling and Simulation for Analysis of Trapping of Degree of Polarization during Polarization Mode Dispersion Compensation

        한기호 한국물리학회 2012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61 No.8

        Theoretical modeling and simulation for investigation of degree-of-polarization trapping in local area during compensation of polarization mode dispersion are presented and performed.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occurrence and characteristics of unwanted local convergent peaks and ridges depend on condition of both differential group delay and launch angle of optical signal to input principal state of polarization of fiber transmission link, and the required escape angle from those local trapping areas can be found and determ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