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방학지』 200집 기념 대담 <동방학, 국학, 동아시아론: 동방학을 다시 기록하다> - 백영서, 도현철, 한기형

        김성보,백영서,도현철,한기형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2 동방학지 Vol.200 No.-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이 간행하는 종합 인문 학술지 『동방학지』가 200집 발간을 기념하게 되었다. 전쟁의 상흔이 채 가시지 않은 1954년도에 첫 1집이 나온 이래 온갖 풍상을 겪으면서도 한 번도 중단되지 않고 68년을 이어온 결과이다. 일제강점기 조선학의 전통이 없었다면, 분단과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도 동방학연구소를 창립하여 인문학의 밭을 일구어낸 선학의 선견지명이 없었다면, 그리고 글 한 편 한 편을 소중히 여기는 편집진과 필자들의 인문 정신이 아니었다 영글 수 없는 수확이다. 창업보다 수성이 어렵다고 한다. 수많은 학술지가 쏟아져 나오고 논문 편 수를 연구자 평가의 기준으로 삼는 학문 시장 속에서 과연 『동방학지』는 무엇에 의미를 부여하며 어디로 항해를 떠나야 할까? 국학연구원은 그 답을 찾기 위해 <동방학, 국학, 동아시아론: 동방학을 다시 기록하다>라는 제목의 대담을 마련하였다. ‘동방학’은 창립 당시의 연구소 이름이자 학술지 이름이다. ‘국학’은 이 연구소가 1977년도에 기구 확장을 하면서 붙인 새 이름이다. 그리고 ‘동아시아’는 국학연구원이 “21세기 실학으로서의 사회인문학”을 탐구하면서 화두로 삼았던 공간 개념이다. 이 세 단어는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있다. 그 연관성을 살피다 보면 한국인들의 전통적인 공간 감각과 정체성은 무엇이며, 그것이 어떻게 근대 국민국가의 세계 속에서 계승·전환하는지, 그리고 다시 국가의 경계를 넘어 어떻게 동아시아로 인식과 정체성이 확대되어 왔는지 파악할 수 있겠다. 대담의 주제는 크게 두 가지이다. 제 1부에는 한국발 동방학 연구의 연원과 지향점을 살펴본다. 그리고 제 2부에는 활기찼던 동아시아 담론이 남긴 성과와 한계를 진단하면서 그 논의가 어떻게 다시 새롭게 생명력을 얻을 수 있을지 진단한다. 제 1부에서 도현철은 주로 동방학연구소 창립 이래 국학연구원의 역사를 짚어보면서 동방학에 담겨진 의미를 짚어준다. ‘동방’은 중국의 동쪽인 한반도를 가리키면서 동시에 서방과 대비되는 중층적 개념이라는 지적이 흥미롭다. 백영서는 평소 지론대로 ‘동방’을 고정된 지리적 개념이 아닌 실천적 과제에 따라 계속 재규정되는 개념이라면서 ‘동방’의 의미를 더욱 풍성히 해준다. 한기형은 대동, 동양, 동아시아 등 동방과 유사한 용어들을 비교해주면서 오늘날 동아시아 담론이 오랜 한국의 전통과 현대적 전환 속에 나온 것임을 확인해준다. 대담은 학문 제도 속에서 국학과 동아시아학이 어떤 긴장 관계에 있었는지로 논의가 확대된다. 제 2부에서 백영서는 동아시아 담론이 단지 일시적 유행이 아니라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시작되어 일제강점기와 냉전기에 복류하다가 1990년대 탈냉전기에 지상으로 다시 ‘귀환’한 것으로 파악하면서, 이제 다시 글로컬한 차원에서 이 담론이 재구성될 필요성을 제시한다. 한기형은 한국의 동아시아 담론이 국경을 넘는 공감을 얻지 못해왔음을 뼈아프게 지적하면서 그 한계의 극복이 중요함을 지적한다. 동아시아 연구의 향후 진로에 대해서 도현철은 역사 연구가 동아시아를 넘어 유라시아적인 관점으로 확장되고 있는 예를 들면서 시대와 사회의 변화에 따라 학문 연구의 문제의식과 연구내용이 계속 변화할 것임을 진단해준다. 이 외에도 다양하고 풍성한 논의가 대담 내내 이어진다. 200집이 나오기까지 『동방학지』에 실린 많은 글에는 하 ...

      • KCI등재후보

        초기 염상섭의 아나키즘 수용과 탈식민적 태도- 잡지『삼광』에 실린 염상섭 자료에 대하여 -

        한기형 한민족어문학회 2003 韓民族語文學 Vol.43 No.-

        Yom Sang-Sup's Acceptance of Anarchism and Post-Colonial Attitude During His Early Period : on Yom Sang-Sup's Writing in SamkwangHan, Kee-Hyung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국어국문학과'의 미래지향적 변화방향-제도적 자기혁신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기형 한국고전문학회 2004 古典文學硏究 Vol.25 No.-

        이 글은 현재 한국 국어국문학계가 안고 있는 문제에 대한 제도적 개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쓰여졌다. 문제의 현상과 원인은 복잡하고 다기하지만 학문적 폐쇄구조, 미래지향적 교육체제에 대한 준비부족, 사회적 상황변화에 대한 적극적 대응 시스템의 부재, 그리고 연구자 생산체계의 무정부성 등이 핵심적인 사항으로 지적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을 근거로 문제인식과 해결주체로서의 실질적 전국학회 건설, 구조의 경량화 및 학문간 경계 철폐를 기반으로 한 교육연구체제의 재정비, 중등교사를 광범한 배후 연구자 집단으로 설정해야 한다는 대안 등이 제시되었다. This paper was written for searching the institutional reform possible of the various problems which have been in learned circle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Korea. The present state of the problems with many phases seem to be resulted from complicated and manifold causes. As the kernel of present state, I indicated several points as below:the closed academic system, lack of preparation for future-oriented education system, the absence of positive system to cope with social change, the stateof systemic anarchy in cultivating researchers. Further, through the analysis above, several countermeasures were proposed as below:improvement of the education and research system based on construction of the Academy with national scale as the subject in appreciating and solving the problems, aswell as lessening the body and abolishing of boundaries between specialities. Moreover it was pointed out that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should be supposed as the far-reaching researcher group potential.

      • KCI등재

        근대시가의 ‘불온성’과 식민지 검열-『諺文新聞の詩歌』(1931)의 분석

        한기형 상허학회 2009 상허학보 Vol.25 No.-

        This paper intends to comprehensively elucidate the mechanism between authority and media, and between literature and the public in colony through analyzing The Poetry in Korean-Language Newspapers compiled by Publications Department of Police Bureau in the Government- general. This source book, The Poetry in Korean-Language Newspapers, was a result from the objectification process of setting censorship criteria for the poetry literature in colonial Korea. The criteria of censorship became indispensable, due to the expanding political disquieting resonance from the poetry connotation, caused by increasing relationship between poetry literature and media and the people of colonial Korea. Especially, there was situation perception for rapid intimacy between literary sphere and socialism through the medium of poetry in print media. In that sense, The Poetry in Korean-Language Newspapers would be an important document reflecting structural conflict and contradiction of culture phenomena carried out in various forms. Compilation of this source book made the moment to enforce the censorship policy in colonial Korea. On the basis of these criteria, a large number of poems must have been censored or excluded. However, through setting criteria, could it be ever possible to perfectly control the ‘disturbingness’ of poetry in colony? This paper aims to construct a theoretic hypothesis for elucidating this doubt. 이 논문은 총독부 경무국 도서과가 작성한 『諺文新聞の詩歌』(1931)의 분석을 통해 식민지의 권력과 매체, 문학과 대중의 역학관계를 포괄적으로 해명하려는 의도로 작성되었다. 『諺文新聞の詩歌』는 식민지 시가문학의 검열표준을 만들기 위한 객관화 과정의 산물이다. 그러한 검열표준이 필요했던 이유는 시가문학과 식민지 매체, 식민지 대중의 결합이 강화되면서 시가문학이 함유한 정치적 ‘불온성’의 정도가 확대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문제가 되었던 것은 매체의 시가문학을 매개로 대중의 문학장과 사회주의가 급속히 가까워졌다는 점이다. 『諺文新聞の詩歌』는 그 점에서 매우 복잡한 형태로 진행된 식민지 문화현상의 구조적 충돌과 대립을 반영하고 있는 자료이다. 『諺文新聞の詩歌』의 제작을 계기로 식민지의 시가문학에 대한 검열정책이 시행되었다. 많은 수의 작품들이 이 자료집의 기준에 의해 배제되거나 삭제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문제의 핵심은 그러한 검열 기준의 설정을 통해 식민지 시가의 ‘불온성’이 완전히 통제되었는가 하는 점이다. 이 논문의 목표는 그러한 의문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가설을 구성하는 것에 있다.

      • KCI등재

        고능률 GMAW의 용접성에 미치는 보호가스의 영향

        한기형,한종만,이민우,이은배,한용섭 대한용접접합학회 1995 대한용접·접합학회지 Vol.13 No.1

        The possibility of new GMAW process using economic shielding gases including CO$_{2}$ gas was investigated on the effect of shielding gas on weldabilty. In the optimum welding condition using 600A power source, FCAW process showed low depositions rate, 114 g/min at 300A, but new GMAW using other mixed shielding gases exhibited high deposition rate, 208-224 g/min at 450A. TIME gas, Ar+CO$_{2}$ gas and Ar+CO$_{2}$+O$_{2}$ gas as a shielding gas were able to be used to the very high welding current(450A), moreover TIME gas and Ar+CO$_{2}$ gas showed the highest arc stability among shielding gases studied in this experiments. The weld penetration was performed by axial spray transfer mode of weld droplet. On the basis of workability, weldability and economic point of view, Ar mixture (80%Ar+20%CO$_{2}$) gas was recommended as a shielding gas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ew GMAW process. This shielding gas showed the low spatter, good weld quality, stable arc and low cost at the region of high welding current.

      • KCI등재

        근대문학과 근대문화제도, 그 상관성 대한 시론적 탐색

        한기형 상허학회 2007 상허학보 Vol.19 No.-

        This paper was written to explain methodological contents and meaning of a cultural-institutional history research for modern literature. The methodology in this paper shares many places with cultural-theoretical researches, from a point of view which regards modern literature as a mode of aspects of modern culture. But in other hands, unlike general tendency of cultural-theoretical methodology attaching importance to the ‘representation’ itself, I will, in this paper, concentrate upon describing the background and base of modern literature through laying emphasis on the interrelation — between socio-institutional motive power and modern literature — which makes the literature function.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 of cultural-institutional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very question “what was modern literature?” in complicated mechanism between subdivided social institutions and groups of modern society, linking up the transected network in space and consecutive change in time, independently or connectively. The ultimate aim of this methodology is to restore the whole view of systemized modern cultural- institution, both microscopically and macroscopically.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various types of new researches, having appeared due to their own necessities, will be continuously carried, and cooperative relations with neighboring academic areas will be also positively established. 이 글은 근대문학에 대한 문화제도사적 연구의 방법적 내용과 의의를 설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 연구방법은 근대문학을 근대문화 양식의 한 형태로 간주한다는 점에서 문화론적 연구들과 많은 지점을 공유한다. 그러나 ‘표상’ 자체에 주력하는 문화론적 연구방법의 일반적 경향과는 달리 근대문학을 작동시키는 사회제도적 동력과 문학의 상관성을 중시함으로써 근대문학의 배후와 기반을 설명하는데 주력한다. 문화제도사적 연구의 방법적의 특징은 근대의 세분화된 사회시스템과 각 사회세력의 복잡한 역학 속에서 문학이 무엇이었는지를 단층적으로 절단된 공간적 관계망과 시간적으로 연속된 변화상을 각각 독립적으로 혹은 연계시키며 추적하는데 있다. 따라서 유사한 현상이나 비슷한 텍스트의 내용조차 그 시공간적 환경의 특수성에 의해 각각 독자적인 의미를 지닌 것으로 규정된다. 이 방법의 궁극적 목표는 미시적면서 동시에 거시적으로 체계화된 근대문화제도의 전체상을 복원하는데 있다. 따라서 자체의 필요에 의해 시작된 다양한 형태의 새로운 연구가 지속적으로 시도될 것이며, 동시에 인접 연구 분야와의 적극적인 협력 관계가 구축될 것이다.

      • KCI등재

        배제된 전통론과 조선인식의 당대성 - 『개벽』과 1920년대 식민지 민간학술의 일단

        한기형 상허학회 2012 상허학보 Vol.36 No.-

        이 글은 1920년대 초반 조선의 신문화운동을 주도했던 매체 『개벽』의 현실인식에 주목한다. ‘전통’에 대한 집중적 성찰과 논쟁을 유도하지 않은 것은 『개벽』의 논단이 보여준 중요한 특징이었는데, 그것은 담론의 구성보다 현실개조의 구체성에 비중을 두었던 잡지 편집전략의 결과였다. 1910년대의 반전통론은 식민지 현실을 전통의 부정적 유산과 유비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조선의 담론장 안으로 시대의 모순을 해소시켜 버렸다. 이와는 달리 『개벽』은 당대적 사회개조의 내용을 기획하고 확산하는 것에 주안을 두었다. 그것이 반관념성, 현실성, 時務性이란 『개벽』의 기조를 만들었으며 이 잡지가 ‘민족 현실’에 투신하면서도 ‘민주족의’에 함몰되지 않도록 견제한 요인이었다고 판단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view of contemporary realities taken by Gaebyeok, the representative journal, leading the New Culture Movement of Korea in early 1920s. In Gaebyeok forum, there was no induction for any intensive reflection and argument relating to tradition (historical heritage in general). I regard this point a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Gaebyeok, which is considered to be a natural result due to its editorial policy giving more weight to social reforms than to discourse construction. Anti-traditionalists during 1910s commonly analogized the colonial actualities with negative heritage of tradition, and this had consequences to efface the contradictions of that age from the forum, a field of discourse. On the contrary, Gaebyeok intended mainly to design certain contents and extend them for social reforms. In my judgment, such a stance of Gaebyeok built its basic hues—anti-ideality, practicality and engagement with current affairs—, and hence, that basis should be recognized as a main factor which kept Gaebyeok in check not to bury itself in autistic Nationalism, while it dedicated itself to ‘the realities of motherl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