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f Buddhism in Kawabata's Jōjoka

        한기련,이상혁,심은숙,John Jorgensen 중앙대학교 일본연구소 2010 日本 硏究 Vol.0 No.29

        The main character of the Jōjoka, ‘I,’ like oriental incense appears to be better than the western one because incense has a very symbolic meaning. By burning it, the Buddha can be made an offering to. People often burn incense before holding all ancestral rites in Korea, because its scent has been considered to “open a way to the holy spirit by doing away with the wickedness and purifying soul and body,” which is called ‘Bunhwang’(burning incense) in Korean and is being practiced now. ‘I’ comes to realize that incense in Buddhism functions as a spiritual means to the truth and is more interested in the world after death of Buddhism, whereas the western one seems to be limited to realistic uses and meanings and is more interested in Christian heaven and think highly of the one. Although ‘I,’ the main character, is a woman, it cannot be said to have nothing to do with the writer, Kawabata Yasunari, if we keep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speaker literature in mind. That is, the fact that the writer thinks highly of the oriental rather than the western and what is related with Buddhism rather than Christianism comes to be known indirectly through the main speaker. The Jōjoka implies buddhistic thoughts such as mercy, rebirth and “all things come from mind” and legends concerning Sakyamuni and a Buddhist priest of magnolia as main materials. It is said that the story of a Buddhist priest of magnolia is known only to those who have a wide knowledge of Buddhism, which means Kawabata Yasunari’s thoughtful understanding of it. It is expected that we will be able to understand more deeply the peculiarity of Kawabata’s literature including the Jōjoka, the meaning of which is said to be open only to the Japanese, by integrating hi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Buddhism in order.

      • KCI등재

        마쓰모토 세이초[松本清張] 연구 - 『박열대역사건(朴烈大逆事件)』을 중심으로 -

        한기련 한국일본어문학회 2021 日本語文學 Vol.88 No.-

        松本清張の『朴烈大逆事件』に表れている事件のでっちあげと関連した清張の考えと事件の重要人物である朴烈の立場から事件を再照明してみたが、その主な結果は次の通りである。 はじめに、関東大震災の直後に起きた朝鮮人虐殺に日本の軍隊と警察が加担していた事で、国際的に追い込まれていた日本政府が、このような窮地から逃れようと、反政府活動をしていた朴烈をはじめ不逞鮮人を、確実な証拠もないまま、大逆事件にでっち上げることになったと清張は考えていたことがわかった。 今日はこれらのことが定説と受け入れられているが、約60年前の1964年に、こういう作品を残した清張は、時代を先見る優れた眼目のもっていたといえよう。 それから、朴烈に対しての清張の評価は、それほど高くないが、それは朴烈についての情報があまりなかったことと、またその資料でさえ一部分は正確ではなかったことによるものであると言えるだろう。 Seicho’s 『Park-yeol high treason case』is a non-fiction account of the entire process of Park-yeol’s arrest, his trial and the verdict. This non-fiction text is based on many records such as the records of preliminary interrogation and the records of the trial. This thesis about the Park-yeol high treason case are addresses two key points. First, Seicho viewed the high treason case as a lie constructed by Japanese Government to divert attention from the Kanto Massacre all over the world. Seicho thought the government used Park-yeol as the distraction. Second, although Seicho understood the background and the process of the high treason case rather precisely, his evaluation of the Park-yeol case was not precise. Seicho did not know that Park-yeol ordered one of his colleagues, Choi Yeong-hwan, to transport a bomb to Tokyo. He evaluated Park-yeol based only on imprecise records such as Park-yeol’s psychiatric assessment.

      • KCI등재
      • KCI등재

        일본근대문학연구 ― 한국적 한의 시각에서 ―

        한기련 중앙대학교 일본연구소 2010 日本 硏究 Vol.0 No.28

        한’의 시각에서 일본근대문학을 살펴 본 이번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한국적 한의 이미지를 찾아볼 수 있었던 일본근대문학작품은 얼마되지 않아서, 히구치 이치요, 모리 오가이, 시마자키 토손, 이시카와 타쿠보쿠, 요사노 아키코 등의 작품만을 제한적으로 다룰 수밖에 없었다. 한국적 한의 이미지를 찾아 볼 수 있는 작품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다카세부네 [高瀬舟]』와 『라쇼몬 [羅生門]』 등 한의 이미지를 찾아 볼 수 있는 작품이라 하더라도, 근대일본사회와 일본인의 생활을 엿볼 수 있는 작품이 아닌 경우에는 다루지 않았기에 보다 다양한 작가와 작품을 다루지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그렇다고는 해도 한이 이미지를 통해 근대일본을 새롭게 다시 조명하고자 한 본 연구의 의의가 퇴색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둘째로, 『기러기』와 『십삼야』를 통해, 전근대적인 가족제도로 인해 근대일본의 여성들이, 현실 속에서도 견디기 힘든 고통을 받았으며, 그녀들의 가슴속에는 천이두가 이야기하는 서러움으로서의 한과 이러한 고통에서 벗어나고픈 바램으로서의 한이 자리 잡았으리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로, 메이지 정부가 취한 사민평등의 신분제도가 완전하게 정착되지 않아, 신평민이 된 ‘에타 [穢多]’ 들이 사회적 멸시와 냉대 속에서 살 수 밖에 없었으며, 그들의 가슴에 맺힌 원통함으로 인해 원(寃)으로서의 한국적 한이 맺혔다는 사실을 시마자키 토손의 『파계(破戒)』를 통해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로, 근대일본의 노동자와 농민 등의 서민이 경제적으로 매우 힘든 삶을 영위하고 있었다는 사실과 이러한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메이지일본의 서민들에게서도 가난에서 오는 한국적 한의 이미지를 발견할 수 있었다. 다섯째로, 청일전쟁, 러일전쟁, 한일합방 등을 거치며 군국주의를 향해 거침없이 치달았던 과정에서 희생된 일본인들과 이러한 당시 상황을 우려하는 일부 지식인들에게서도 그와 같은 사회상황에서 벗어나고픈 바램(願)으로서의 한국적 한의 이미지를 발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얼마 되지 않는 작가와 작품을 통해서이기는 하지만 한국적 한의 이미지를 정리함으로써, 개국과 근대화로 상징되는 일본의 메이지 시대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다 볼 수 있었다는 점에, 본 연구의 가장 큰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마쓰모토 세이초[松本清張] 연구

        한기련(韓基連) 한국일본문화학회 2018 日本文化學報 Vol.0 No.79

        This thesis deals with the historical events related to the Japanese invasion of the Chosun Dynasty, which are discussed in Matsumoto-Seicho‘s four writings dealing with Korea, except 「The Dark mist of Japan - Intrigue of the Chosun War」. This thesis also deals with Seicho’s opinions and evaluations of the historical figures related to the events. In 「Residents - General」and 「The poet of the North」, most of the events and the characters correspond to actual historical realities.. Unlike the Japanese Government, which regarded Emperor Kojong as an incompetent ruler, Seicho evaluated Emperor Kojong positively, as seen from the historical facts and logic in the stories. . His writings on Korea reveal that Seicho worked diligently to research data before writing a story . Finally, Seicho explicitly described in his writings that the policies implement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re unfair and harsh toward Korean people. Furthermore, he concluded that Japan had tortured Korean independence activists cruelly. Considering this, he recognized Japan’s oppressive acts as fa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