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정숙의 3·1운동 재판 관련 문서 분석

        한금순(Geun Soon Han) 제주학회 2015 濟州島硏究 Vol.44 No.-

        최정숙은 1919년 3월 1일 서울 탑골공원(파고다공원)에서의 3·1운동에 참여한 제주도 인물이다. 당시 학생으로 3·1운동에 참여하였다. 최정숙의 3·1운동 재판 관련 문서로는 「신문조서」류,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시위관련자 동정 및 성행 조회」, 「청구의견」, 「의견서」, 「예심종결결정서」, 「공판시말서」, 「판결문」, 「수형인명부」, 「상소포기신청서」 등 9종 16개의 문서가 있다. 이들 문서는 최정숙을 통해 학생들의 시대 인식과 일제의 3·1운동 재판 과정 등을 살필 수 있게 한다. 이들 문서를 살펴보니 최정숙은 18세의 학생으로 1919년 3월 1일 탑골공원에서의 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충무로에 있던 기숙사에서 다른 학생들과 함께 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기숙사에서 종로, 무교동을 거쳐 대한문까지 갔다가 다시 종로로 돌아와 창덕궁 앞과 경복궁 앞, 광화문에서 서대문, 서소문, 소공동을 지나 충무로 쪽으로 갔다. 서울 중앙우체국에서 충무로 일대에서 만세를 부르다 서울 중부경찰서에 체포되었다. 3월 1일 현장에서 체포된 이후 10월 29일 공판이 있었고 11월 6일 판결을 받았다. 죄명은 보안법 위반, 형량은 징역 6월에 미결구류일수 90일을 모두 계산하고 3년간 형 집해유예를 선고받았다. 최정숙은 일제강점기 내내 교육 활동을 통해 실력을 배양하는 것이 국권회복을 위한 길이라는 인식으로 여성의 교육 활동과 사회활동을 위한 계몽활동에 힘을 쏟았다. 본고의 분석은 차후 최정숙의 3·1운동 이후 활동의 사상적 배경이라든지 활동의 범위를 가늠할 수 있는 기초 연구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Choi Jeongsuk was a person of Jeju island who participated in Samil Independence Movement on March 1st. 1919 at Tapgol Park in Seoul. At that time, she took part in the movement when she was a student. There were nine types of 16 legal documents on Samil Movement which wer associated with Choi Jeongsuk. These include an interrogatory, the movements and prealent inquiry of demonstrators in Gyeongseong Girls High School, written opinion, the decision in writing of terminating a preliminary examination, opinion for demand, written apology for trial, written judgment, the list of convicted person, application for renunciation of inheritance, and so on. Through these documents on Choi Jeongsuk, we can examine closely how students recognized that era and how Japanese Imperialism processed the movement in court. Examining these papers, Choi Jeongsuk was a 18-year-old student, who took part in the Proclamation of Korean Independence with other students at a dormitory in Chungmuro on March 1st, 1919 at Tapgol Park. They staged a Manse demonstration, marching from dormitory through Jongno, Mugyo-dong to Daehanmum gate, returning to Jongno, going in front of Changdeok Palace, Kyungbok Palace, and Gwanghwamun through Gate Seodaemun, Seosomun, Sogong-dong to Chungmuro. When they staged a Manse demonstration at Seoul Central Post Office around Chungmuro, they were caught in the act at Seoul Jungbu Police Station. After She was arrested on the spot of March 1st, the first hearing was on October 29th, and she was convicted on November 6th. She was charged with a safety-code violation and sentenced to six months in jail and 90 days of confinement with a stay of execution for three years. She put all of her energy into the enlightenment of women s educational and social activities because she perceived that cultivating their abilities through education was the way to reclaim the sovereignty of a nation during the whole Japanese colonial era. The analysis of this thesis is thought to be utilized as her activities philosophical backgrounds after March 1st Movement and basic research data that can test the area of her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