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사증후군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금선(Kuem Sun Han),박영희(Young Hee Park),김소남(So Nam Kim),이숙자(Sook Ja Lee),양승희(Seung Hee Yang) 대한스트레스학회 2013 스트레스硏究 Vol.21 No.4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 환자의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건강생활양식,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대사증후군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 중재 필요성에 대한 학문적 근거와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본 연구대상자는 서울 소재의 보건소 9곳에서 건강관리 중인 대사증후군 환자들을 편의 추출하였으며 135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하였다. 대사증후군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건강생활양식, 삶의 질을 조사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각 변수 간에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우울은 건강생활양식, 삶의 질과 유의한 수준의 역상관관계를 나타났고 건강생활양식은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변수 모두에서 역상관관계를 나타났다. 또한 대사증후군 환자의 삶의 질에 가장 강력한 삶의 질 영향요인은 우울이고 다음은 스트레스와 건강생활양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대사증후군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스트레스, 우울에 관한 간호 중재와 건강생활양식 실천을 높이는 간호중재 필요성의 중요함을 시사하는 바이며,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우울과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간호 중재 그리고 건강생활양식의 실천을 높이는 간호 중재 개발 연구를 활성화시키는 학문적 근거를 제시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on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on perceived stress, depression, lifestyle for health promotion and quality of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0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 to April 30, 2013 at Nine public health centers in Seoul,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by SAS 3.2 ver. The perceived stress, depression, lifestyle for health promotion were identified as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The model explained 66% of the variables. Results suggest that health care giver should include strategies to decrease stress and depression and to increase lifestyle for health promotion in their intervention program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 KCI등재후보

        일 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대처유형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금선(Kuemsun Han),김태윤(Taeyoun Kim) 대한스트레스학회 2015 스트레스硏究 Vol.23 No.1

        본 연구는 일 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대처유형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경로분석 연구로 서울 소재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400명을 대상으로 2011년 8월 8일부터 2011년 8월 16일까지 구조화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AS 9.2 통계패키지와 AMOS 5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 검증 결과 모형의 자유도가 0인 포화모형으로 나타나 감정노동에서 대처유형으로 가는 경로를 삭제하여 수정하였으며, 수정 모형의 적합지수는 실제자료와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분석에서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감정노동, 대처유형이었고,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직무스트레스였다.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직무스트레스는 대처유형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대처유형도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간호사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감정노동 수준이 높아졌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대처유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 개발이 요구되며,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아졌을 때 각자에게 맞는 긍정적인 대처유형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과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되어진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suggest a path model that anticipates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way of coping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in a general hospital. For this purpose, the participants were 400 nurses working for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August 8 through August 16, 2011 and analyzed using the SAS 9.2 and AMOS 5.0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ed; The hypothetical model was a saturated model in which the degree of freedom was zero. As a result, path of emotional labor to stress coping types was removed. The fitness index of the modified path model suggests that the modified path model fit the actual data well in overall terms. The results of the path analysis indicated that the variable which directly affected the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emotional labor and stress coping types, indirectly were job stress. It was found that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tress had a positive effect on way of coping, way of coping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sum it up, for enhancing the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is necessary to the development of positive coping strategies that used when emotional labor level was increased. Also, a continuous education and the program development were need in order that nurses used positive way of coping when job stress level was increased.

      • KCI등재후보

        의료인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금선(Kuem Sun Han),임희수(Hee Su Lim),박영희(Young Hee Park),최미영(Mi Young Choi),차선경(Sun Kyung Cha),이은미(Eun Mi Lee) 대한스트레스학회 2012 스트레스硏究 Vol.20 No.3

        의료 현장에서 간호사와 의사는 긴밀한 상호 협조를 통해 업무를 수행하는 만큼 간호사와 의사의 직무스트레스의 파악은 중요하며, 의료인의 직무스트레스는 자신에게는 물론 사회 구성원의 건강에도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와 의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의료인 개인의 성격특성은 의사소통 유형, 스트레스 증상, 사회적 지지, 대처 등의 영향으로 직무스트레스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고 가정하였으며, 간호사와 의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차이가 있었음이 주요한 결과로 나타나 각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간호 중재를 개발하여 의료인의 직무스트레스 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job stress, communication style, personality traits, social skill, and coping and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job stress in clinical nurses and physician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353 health care providers at three general hospital.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18.0 version. Job str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ex, education, current workplace and shift work. There wer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dysfunctional communication, agreeableness personality trait between nurses and physicians. Job Stres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to dysfunctional communication, neuroticism personality trait an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to agreeableness personality trait.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job stress of the clinical nurses were agreeableness personality trait, and conscientiousness personality trait.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job stress of the physicians were conscientiousness personality trai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s to manage for job stress of clinical nurses and personality traits should be considered. (Korean J Str Res 2012;20:209∼220)

      • KCI등재

        가족교육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 가족의 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한금선 ( Kuem Sun Han ),강은숙 ( Eun Sook Kang ),김해옥 ( Hae Ok Kim ),양미화 ( Mi Hwa Yang ),김수연 ( Soo Yeon Kim ) 한국정신간호학회 2004 정신간호학회지 Vol.13 No.1

        N/A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 family education program on the family burden of the patients with Stroke. Method: This study employed a quasi-experimental one group pre-post test to evaluate the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 family caregiver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who having stroke patients. Data collection was done using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the subjects used the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family burden decreased after used the program(P<.05). Also in subcategories, the physical, social, emotional, and time -dependent burden decreased after used the program(P<.05). There were significanc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mily burden and the degree of paralysis of the patient. Also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family burden and the daily living of the patient. Conclusion: The study shows that the family education program have effect on decreasing the family burden of the Stoke patients.

      • KCI등재후보

        간호사의 감성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금선(Kuem-Sun Han),오연재(Youn-Jae Oh),이숙자(Sook-Ja Lee),차선경(Sun-Kyung Cha),강현철(Hyun-Cheol Kang) 대한스트레스학회 2009 스트레스硏究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 대처방법, 정서조절이 감성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기 위함으로 자료수집 및 분석은 서울 및 경기 지역의 3차 종합병원 간호사 273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법을 통하여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 대처방법, 정서조절의 변수가 간호사의 감성역량 정도에 영향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들 결과를 기초로 간호사의 감성역량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능동적-행동적 대처 방식을 강화시키고, 남의 이야기를 잘 들어줄 수 있는 좋은 의사소통 기술을 증진시키고, 자기 스스로 자신의 감정을 잘 통제, 표현할 줄 아는 능력 향상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제언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style, ways of coping and emotional regulation among emotional competencies of nurse.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273 nurses in a general hospital in Seoul, Korea.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score of tell communication style (self disclosure) and active-behavior coping, active emotional regulation have effects on emotional competencies. This study showed that communication styles and ways of coping significantly effects on emotional competencies. Therefore these results need to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the emotional competencies program for nurse. (Korean J Str Res 2009;17:19∼25)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의사소통 유형과 성격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주관적 스트레스 반응유형

        한금선(Kuem Sun Han),이은미(Eun Mi Lee),박영희(Young Hee Park),최미영(Mi Young Choi),차선경(Sun Kyung Cha),임희수(Hee Su Im),강현철(Hyun Cheol Kang),노연희(Youn Hee Roh) 대한스트레스학회 2011 스트레스硏究 Vol.19 No.4

        본 연구는 간호사의 의사소통과 성격 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반응의 정도와 특성을 파악하고, 구체적으로 어떠한 요인이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임의로 선정한 서울과 경기도 소재 3개의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분석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며 SAS 9.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임상간호사의 주관적 스트레스 반응은 대상자의 연령과 근무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주관적 스트레스 반응은 비난형, 산만형 의사소통 유형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일치형 의사소통 유형과 역상관관계가 있었다. 주관적 스트레스 반응은 친화성, 신경성 성격특성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주관적 스트레스 반응의 하위분류를 살펴보면 생리적, 정서적, 인지 행동적 스트레스가 모두 친화성 성격특성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성실성 성격 특성도 인지 행동적 스트레스와 역 상관관계였다. 신경증적 성격 특성은 생리적, 정서적, 인지 행동적 스트레스와 역상관관계가 있었다. 임상간호사의 주관적 스트레스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은 성격특성 중 친화성과 신경증으로 타나났다.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hip on Symptoms of Stress (SOS) and Communication Styles (CS), Type of Personality (TP) of the clinical nurses in Korea. The CS and TP among the clinical nurses has been considered as major variables to influencing factors on SOS.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CS among the clinical nurses in Korean. Data were collected over 6 month period on 265 clinical nurses in three general hospital in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s.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p<.05) among blaming type of communication, physical, emotional, and cognitive-behavioral SOS. Being irrelevant type of communication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p<.05) with physical, emotional, and cognitive-behavioral SOS. Congruence type of type of communication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p<.05) with emotional SOS. Data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blaming, being super-reasonable, being irrelevant, congruence communication styles a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n SOS of the clinical nurses in Korea. These result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CTP) for the clinical nurses. In developing CTP, the major influencing variables described above, need to be carefully evaluated. (Korean J Str Res 2011;19:397∼403)

      • KCI등재

        의료인을 위한 직무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금선 ( Kuem Sun Han ),최미영 ( Mi Young Choi ),이은미 ( Eun Mi Lee ),임희수 ( Hee Su Lim ),박영희 ( Young Hee Park ),양윤경 ( Yun Kyung Yang ),차선경 ( Sun Kyung Cha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13 정신간호학회지 Vol.22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Job Stress Management Program (JSMP) combined with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post test design. Study participants were 42 health care professional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8 in the control group. Eight sessions of JSMP were provided over 6 weeks, through on-line and off-line educ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x2-test, t-test with the SAS 9.2 program.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emotional labor, symptoms of stress, interpersonal stress, and type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JSMP based on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developed in this study has positive, effects on job stress and communic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