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문화가정교육프로그램연구의 경향분석 : 2006~2014년을 중심으로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15 임상사회사업연구 Vol.12 No.2

        다문화가정의 이주여성, 그리고 그 자녀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성장하면서 나타나는 생애주 기별 특성의 변화로 다양한 문제와 욕구들이 발생하고 이것이 사회문제로까지 넓혀짐에 따라 이들의 한국사회 적응과 학교적응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었다.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교육프로그램들이 연구 개발되었다.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다문화가정교육프로그램 의 연구의 흐름을 살펴보면 초기의 연구는 ‘다문화’라는 새로운 사회변화에 대한 전반적인 이 해의 내용들이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다문화가정의 증가로 이들의 적응문제와 자녀의 양육․ 교육 문제가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다문화에 대한 정책등도 빠르게 변화되어 갔다. 이에 발 맞추어 교육적인 연구도 빠르게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여전히 이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교육프로그램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2006년부터 2014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다문화가정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총 600여 편을 검색하였고, 논문 들의 초록을 중심으로 살펴 다문화가정교육프로그램과 연관성이 깊은 연구들을 조사하였고 최종적으로 160편을 선별하였다. 선별한 논문을 내용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게재년도, 연구방 법,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내용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앞으로의 교육의 방향성을 제 시하기 위해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Today, immigrant women of multicultural family and their children are steadily increasing. As they grow up, their characteristics develop in each stage facing varieties of problems and desires. Since multiculturalism has expanded into one of the main society issues, passion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to adapt in Korean society and Korean School programs have caught society’s attentions. Therefore, different kinds of policies and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developed thoroughly to solve problems shown above. Until today, looking at the flow of the research of The Multicultural Family Education Program, the first attempt was based on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ism’ as a new change in the society. However, policies on multiculturalism have rapidly developed due to the increase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ir possible adaptability and their children education became the main social problems. Even though educational research also has developed alongside, many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continuously battle through the new society today. The Multiculturalism Family Education Program officially began to grasp the contents of “Education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y” since 2006, which brought us to uncover around 600 pieces of study from domestic scientific journal until 2014. Those pieces of articles were centrally investigated by examining studies that had correlation with The Multicultural Family Education Program. Finally 160 articles have been selected to be the most efficiently related to The Multiculturalism Family Education Program.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on the selected pieces, they were analyzed according to publication date, method of study, target of study, subject of study, and content of study. Therefore, in order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this trend analysis is attempted to propose direction of research.

      • 장애인복지관의 인권책임과 역할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15 임상사회사업연구 Vol.12 No.2

        사회복지환경 뿐만 아니라 장애인복지환경 전반이 급변하고 있다. 특히 장애인복지관의 양 적인 성장과 서비스 이용자의 권리의식이 높아지면서 장애인복지관은 사회적인 영향력과 책 임성의 비중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장애인복지환경 전반의 급격한 변화는 장애인복지관 경영 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넘어 인권책임을 다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일 때이다. 그러나 장애인복 지관을 위시한 대부분의 장애인복지시설의 법인대표 및 기관장들은 인권실천의 책임에 적극 나서지 못하고 있다. 일부의 장애인복지관을 제외하곤 ‘인권실천’ 또는 ‘인권경영’이라는 사명 을 표명한 곳을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한 사명을 표명하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라 장애인인 권에 대한 인식의 관점과 대응의 태도가 달라질 수 있다. 장애인복지관이 인권실천의 중심에 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할 때 단순한 시혜의 수준을 넘어 의무의 차원으로 격상될 수 있다. 인 권책임경영은 우리에게 전혀 생소한 일을 찾는 것이 아니라 지금까지 우리가 해 왔던 일을 더 잘하는 것이다. 사회복지는 태생부터 사회 속에서 인권중심의 책임 있는 역할을 해야 한다 고 믿어 왔기 때문이다. 이제부터라도 장애인복지관은 장애인 이용자와 지역사회의 거주 장애 인을 향한 인권책임의 주체라는 명확한 인식하에 관련 이해관계자들과 인권실천을 포괄하는 정책을 채택해야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장애인복지관의 인권책임과 관련하여 장애인의 인권 을 개념적으로 살펴보고, 장애인복지관에서의 인권 실천 적용이라는 측면에서 장애인복지관의 역할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It is rapidly changed that the overall of disabled welfare environments as well as social welfare environment. Especially, the higher the rights awareness of the service users and the quantitative growth of the rehabilitation welfare center, the more increasingly the social influence & responsibility of welfare center. The rapid change in the overall of disabled welfare environment means that it is the time for the center to pay its efforts to fulfill its responsibilities for human rights with the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in its management. But most of the legal representatives and the chief leaders of the rehabilitation welfare centers or the facilities did not actively jump off to practise the responsibilities of human rights. Except for the part of the rehabilitation welfare centers, none has expressed the mission called ‘human rights practices’ or ‘human rights management’. Depending on for them to express the mission or not, the terms of perception about the disabled human rights or the attitudes of the corresponding upon them can vary. When the rehabilitation welfare centers provide all the services in the center of the human rights practices, the services can be upgraded to the dimension of obligation beyond the level of mercy. The management responsible for human rights is not for us to seek totally unfamiliar things for us, but to do better what we've done so far. Because it has been believed that social welfare should be the responsible role in the center of human rights since birth in society. From now on, the rehabilitation welfare centers should adopt the policies that cover the human rights practices with relevant stakeholders, under the clear recognition that they are the subjects of human rights accountability towards the service users and the disabled of the community. Therefore, the researcher is to study the contents regarding the responsibilities of the rehabilitation welfare center of human rights and to present the roles of the disabled welfare center on the side of the applying the practice of human rights.

      •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적응이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15 임상사회사업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자립을 목전에 두고 있는 대학생들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 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한 조사대상자는 대전 소재의 D대학교 재학생 3,607명 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조사대상자의 주요변수인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심리상태, 자립의지 전체와 그 하위 영역인 자 신감, 자아통제, 근로의욕은 보통수준이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 간에 는 상이한 차이를 보였다. 즉, 자아존중감은 성별과, 학년, 가정경제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 를 보였으며, 학교적응은 성별, 모 교육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심리상태는 성별, 모 교육수준, 가정경제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자립의지는 성별, 학년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대학생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 감, 학교적응, 심리상태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와 같 이 대학생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색은 대학생의 자립의지를 높이기 위한 각 대학의 사회적ㆍ정책적 노력에 있어 개입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looking into factors that have an influence on a will of self-sufficiency of college students who are staring self-sufficiency in the face. For this regard, 3,607 college students in D university located in Daejeon were survey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an analysis method. As a result, first, the students’ self-esteem, school adaptation, psychological state, the entire will of self-sufficiency and self-confidence, self-control and the will to work that are sub-field of it were in a normal level.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big difference among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social-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self-esteem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gender, grades and the level of domestic economy, and school adaptation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gender and their mothers’ education level. The psychological state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gender, their mothers’ education level and the level of domestic economy, and a will of self-sufficiency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gender and grade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that have a meaningful influence on a will of self-sufficiency of college students are self-esteem, school adaptation and psychological state. As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judged that the factors that have an influence on a will of self-sufficiency of college students will be useful for suggesting the direction of intervention in social and political efforts of each university in order to raise a will of self- suffici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