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고전종합DB 구축의 성과와 과제

        한국고전번역원 고전정보센터 한국고전번역원 2021 民族文化 Vol.59 No.-

        The Database of Korean Classics(DKC) is a database that provides the original texts of Korean classics and their translations in contemporary Korean. Its establishment was initiated in 1997 and service began in 2001.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DKC over the past 20 years, introduce its current status, and propose future tasks. ITKC(韓國古典飜譯院) started construction of the database in 1997, and while participating in the government project in 1999, it implemented the full-fledged data construction project for original texts and translations. In 2015, as technological experience accumulated, the size of the data was greatly expanded. From 2016, the search function was improved to provide better service, and the overall quality was enhanced by processing the existing database. Up to present, a total of 3,275 classical books have been loaded in the database. In addition, services such as Social Networking Information of DKC, Author Biography Information of Korean Literary Collections in Classical Chinese, and Machine Translation Service for Classical Chinese were developed. The use of DKC has shown a steady increase, and the number of users in 2020 reached 2,155,007. Utilization of the database in academic papers has also expanded, and the number of papers which cite the database in 2020 reached 412 and the number of cited classical books reached 946. The academic field has been dominated by the humanities, but the demand has expanded to disciplines such as art, pedagogy, landscaping, geography, and Korean medicine. In public education, there were cases where DKC was cited in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Tasks that should be performed in the future are as follows. Firstly, reduce the difficulty of searching in the massive database to provide an optimized search environment for users based on big data analysis technology and AI search technology. Secondly, enrich the user's database search experience by expanding planned contents such as Social Networking Information of DKC. Thirdly, expand and upgrade the Machine Translation Service which is currently limited to Seungjeongwon ilgi and the astronomical classics. 한국고전종합DB는 한국 고전 원문과 우리말 번역문을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1997년 구축되기 시작하여 2001년에 서비스를 개시하였다. 본고는 지난 20년간 한국고전종합DB의 구축 과정을 정리하고 주요 현황을 소개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한국고전번역원은 1997년 DB 구축을 시작하였고, 1999년 정부 사업에 참여하면서 제 궤도에 올랐다. 기술적 경험이 축적되면서 2015년 DB의 규모가 대폭 확대되었으며, 2016년부터는 서비스 개선을 위해 검색 기능을 향상하고 기존 DB를 가공하여 품질을 제고하였다. 현재 총 3,275종의 고서적이 DB에 탑재되어있다. 자료의 집적 이외에 한국고전종합DB 인물관계정보, 한국문집총간 저자행력정보, 한문고전 자동번역서비스 등 서비스가 개발되었다. 한국고전종합DB의 이용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2020년 접속자 수는 2,155,007건에 달했다. 학술계의 DB 활용 또한 증대되고 있으며 2020년 DB를 인용한 논문 수는 412편, 인용된 고전서적 수는 946종에 이르렀다. 학술 분야는 인문학이 주를 이루나 미술, 교육학, 조경학, 지리학, 한의학 등 인문학 외 분과로도 수요층이 확대되었다. 공공교육에서는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서 DB를 인용한 사례가 확인되었다. 향후 과제로는 첫째, 빅데이터 분석기술과 인공지능형 검색기술을 바탕으로 대용량 DB 검색의 어려움을 줄이고 이용자에게 최적화된 검색 환경을 제공하는 일이다. 둘째, 인물관계정보와 같은 기획 콘텐츠를 확장하여 이용자의 DB 탐색 경험을 풍부하게 만드는 일이다. 셋째, 현재 승정원일기와 천문고전에 제한된 자동번역서비스를 확장하고 고도화하는 일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