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롭테크 스타트업 투자유치 규모 결정요인 분석

        한광호,금상수 한국부동산경영학회 2021 부동산경영 Vol.24 No.-

        본 연구는 국내 프롭테크 스타트업의 투자유치 규모 결정요인을 분석한다. 국내 프롭테 크 산업은 초기 단계에 해당하며, 이에 따라 대부분의 프롭테크 기업이 스타트업의 형태로 존재한다. 스타트업의 관점에서 투자유치는 기업의 생존과 성장에 중요한 요인이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프로테크 산업을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실증분석 결과 국내 프롭테크 스타트업의 투자유치 규모에 성별, 금융업 여부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업력이 길고, 서울 소재 스타트업이 그 외 지역보다 투자유치에 더 유리한 것으 로 나타났다. 프롭테크 투자 시장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다는 점은 해외의 스타트업 투자유치에 관한 연구 결과와 상반되지만, 여성의 시장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 될 수 이다. 또한, 소재지에 따른 투자유치 규모의 차이가 존재하므로 서울 이외 지역에서 프롭테크 스타트업이 사업을 영위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o determinants of an attract investment funding amount of PropTech startups. PropTech industry in Korea is a primary stage, and many of PropTech firms are startup. From a startups perspective, attract invesment is an essential factor for survival and sustainable growth. Therefore, our result can be important information to understand of PropTech industry in Korea. Our results show that gender, and industry sector are insignificant factors to an investment attraction scale, and location is significant. Specifically, PropTech startups located in Seoul is more advantageous for investment attraction. Therefore, policymakers should consider supporting so that can be growing of PropTech industry in another region. Also, our result implies that PropTech startups market in Korea is women can compete without discrimination.

      • 固定換率制度下에서 金融政策의 效果에 대한 硏究

        韓光鎬 順天大學校 1989 論文集 人文社會科學篇 Vol.8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proposition that monetary policy can have no impact on the income leyel of a small open economy under fixed exchange rates. The effectiveness of monetary policy depends on the relative size of economy. As relative size of economy is smaller, the effectiveness of monetary policy lessens. Even though in small-open economy, the time needed to restore new equilibrium after operating monetary policy depends on the degree of capital mobility and the ratio of nontraded goods to traded goods. The tighter is the degree of capital mobility and the larger is the ratio of non-traded goods. The tighter is the degree of capital mobility and the larger is the ratio of non-traded goods, the longer is the time needed to restore new equilibrium, so the greater is the impact of monetary policy. Because monetary policy is useful as a tool of stabilization policy and it has direct effects on the balabce of payments, the following political implications are derived. (1) Due to the great impact on internal and external equilibrium, monetary policy should be carefully used in our country highly dependent on foreign sector, to keep the credit of Korean won, which is very important element for price stabilization and equilibrium of balance of payments. (2) The policy target of holding optimum foreign reserves should be pursued not by political regulations, but by the economically desirable tools of monetary policy.

      • KCI우수등재
      • 利潤配分制度와 生産性 : Efficiency Wage Approach Efficiency Wage 가설에 의한 接近

        韓光鎬 順天大學校 1992 論文集 人文社會科學篇 Vol.11 No.-

        Proponents of profit sharing SYSTEM propose its introduction, because it can improve the firm's performance (productivity) and it also ensure the stability of employment, and futhermore, profit sharing economy will always display the excess demand for labor.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sum up the channels through which profit sharing has an effect on the productivity, and to theoretically investigate the productivity effect of profit sharing, by using efficiency wage hypothesis. Profit sharing can have an favourable effect upon the productivity, through influencing over ① labour intensity ② firm-pecific human capital ③ identification between employer and employee ④ sorting of high quality labor. Whether or how much the introduction of profit sharing, compared to fixed wage SYSTEM, increases the productivity depends on the wage level, degree of risk aversion, number of em- ployee(or size of firm), etc. The higher wage level and the higher labour's degree of risk aversion, the smaller produc- tivity enhancement, when profit sharing SYSTEM is introduced. The larger is the number of employee, the smaller productivity enhancement effect appears, because employees act as free riders. But with the good labor-elation, even though large firm, the introduction of profit sharing can increase the productivity.

      • 技術開發을 위한 政府의 役割

        韓光鎬 順天大學校 1986 論文集 人文社會科學篇 Vol.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emphasize the role of goverment for technical progress. As an important aspect of technology is its partial public good status, goverment should intervence the technology market. Market intervention can be conducted in both supply and demand side. Interventions in supply side break the bottlenecks in the process of technology development, and interventions in demand side stire up the demand for new-tech products. The most important bottlenecks in supply side are the shortage of the funds and the brains of high quality. In aiding the funds, goverment supports the private sector by selective aid programs, for instance, subsidy in the basic research stage, privileged loan in the applied research stage and the form of venture capital in the industrial stage. As it takes too long to cultivate men of ability, goverment must conduct both short run measures which make it possible to use the existing brains, and long run measures which train the men. To increase the demand for new-tech products, goverment intervenes the market directly and indirectly. Since direct methods allocate the resource inefficiently and distortly, it should be used in the short run. In the long run, indirect methods should be used. Specially, facing the decentralization system, balanced development and growth of local economy means those of national economy, and it can be accelerated by the progress of regionally specialized technology. For this, the followings should be carried out by local and central goverments; ① Activation of joint researches between firm and research institute of local university ② Dispersion of research complex to specialize the regional technology ③ Permision of autonomy for the local economic policies.

      • KCI등재

        부동산투자회사의 스폰서 지분율과 유동성 마찰

        한광호,노승한 한국부동산원 2023 부동산분석 Vol.9 No.3

        본 연구는 유동성 마찰을 실질 마찰과 정보 마찰로 구분한 Stoll의 이론에 근거하여 스폰서 지분율이 유동성 마찰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다. 특히, 정보 마찰의 가능성은 스폰서가 비대칭 정보를 활용해 대리인 문제를 유발함을 시사하기 때문에 관련 정책수립의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다. 분석결과 스폰서 지분율은 거래를 위해 소비된 실제 자원인 실질 마찰과 정보거래로 유발되는 정보 마찰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폰서에 의한 정보 마찰의 발생은 스폰서의 비대칭정보 활용의 가능성을 억제하고 리츠의 정보가 모든 시장참여자에게 투명하게 공개될 수 있도록 지배구조의 개선과 모니터링의 강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스폰서 구조를 중심으로 성장하는 한국 리츠 시장에서 우수한 기업지배구조의 확립 및 개선과 경영 모니터링 강화를 위한 정책 마련, 지속가능경영 보고서의 발간지원 및 리츠에 특화된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등급 산출 모형 구축과 등급 공개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sponsor ownership on liquidity friction based on Stoll’s theory, which divides liquidity friction into real friction and information. In partcular, the possibility of information friction can be an important basis for establishing related policies because it suggests that sponsors might use asymmetric information to cause agency problems. The analysis showed that sponsor ownership could affect both real friction which is the actual resources consumed in transactions and information friction caused by informed traders. Informational friction due to sponsors implies the need for improvement in governance structure and monitoring to suppress the potential exploitation of asymmetric information by sponsors and ensure transparent disclosure of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REITs)’ information to all market participants. On the basis of the result this study proposed the necessity of policy development to establish and improve superior corporate governance in the Korean REIT industry, which is growing around sponsor structures, to enhance management monitoring, to support for the publication of sustainability reports, to constructa REIT-special 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ESG) rating model and to disclose the rating.

      • KCI등재

        규제완화가 제조업 생산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광호 국제e-비즈니스학회 2022 e-비즈니스 연구 Vol.23 No.6

        To analyze the effects of deregulation on manufacturing production in Korea, the production function, considering the regulation variables, is estimated by using the panel data set of 40 manufacturing industries over the period 2000~2019.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coefficient of the regulation index is significantly estimated as positive, suggesting that deregula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production in the manufacture industry. (2) The production effect of the detailed regulation indices is in the order of credit market regulation, labor market regulation, and business regulation. The elasticity of deregulation in the credit and labor markets are significantly positive. On the other hand, that of the business regulation is estimated to be negative, but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3) The effect of deregulation (elasticity) is estimated to be greater in the higher technology industries. This suggests that deregulation may be more necessary in high-tech industries, including many new technologies and industries leading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ecause the higher the technology industry, the more restrictions it has due to regulation.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제조업의 생산함수를 추정하여 규제 완화의 생산효과를 분석하였다. 사용자료는시계열자료(2000~2019)와 횡단면자료(40대 주요 제조업)로 구성된 패널자료(panel data)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규제변수의 추정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값으로 추정되어 규제완화는제조업 생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규제완화의 제조업 생산량에 대한 탄력성은 1.424 이다. (2) 세부규제지수들의 제조업 생산에 주는 효과(탄력성)의 정도는 금융시장규제, 노동시장규제 그리고 기업규제의 순이었다. 금융시장과 노동시장에서의 규제완화가 제조업 생산에 미치는 탄력성은, 유의적인 양의 값으로, 각각 1.056, 0.535로 추정되었다. 반면 기업규제는 음(-)의 값으로 추정되었지만 유의적이지 않았다. (3) 규제완화의 탄력성은 기술수준이 높은 산업군일수록 더 크게 추정되었다. 이는 기술수준이 높은 산업군일수록 규제로 인한제약이 더 많음을 시사할 수 있기 때문에, 4차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하는 신기술과 신산업이 많이 속해 있는, 고위기술산업군에는 규제완화가 더욱 더 필요하다 하겠다. (4) 세부규제지수들의 추정계수는 기술수준별산업에 따라 상이하게 추정되었다. 금융시장에서의 규제완화 탄력성은 고위기술산업군에서 그리고 노동시장에서의 규제완화 탄력성은 중고위기술산업군에서 가장 높게 추정되었다.

      • KCI등재

        스폰서 소유권이 상장 리츠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광호,류현욱 한국부동산경영학회 2022 부동산경영 Vol.25 No.-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sponsor ownership on listed REITs. Many Asian REIT studies are concerned about an agency problem by sponsors. Agency problem incurs several costs, and it reduces the interests of shareholders. If the stock market is rational, it will reflect agency cost to stock price. Therefore, agency problem by sponsor affects stock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agency theory, managerial ownership alleviates an agency problem. Our empirical findings suggest a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sponsor ownership and stock market performance. An increase in sponsor ownership is related to higher performance. However, the opposite effects when its ownership crosses the vertex. This result is consistent in four- stock market performance proxies. 본 연구는 스폰서 소유권이 상장리츠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한다. 아시아 리츠는 스폰서 소유권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 구조에 의한 대리인 문제 발생 가능성이 경고되어 왔다. 그러나 스폰서가 리츠에 자산을 공급해 성장을 돕는다는 평가도 공존하며, 관련 선행연구는 스폰서 소유권 관리를 통해 대리인 문제가 완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스폰서 소유권과 리츠 성과와의 관계는 실증연구의 관점에서 조사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4개의 자본시장 성과지표를 활용해 스폰서 소유권이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한 결과 모든 지표에서 스폰서 소유권이 일정한 수준까지 리츠의 성과에 긍정적이라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나아가 이러한 관계가 스폰서 소유권이 증가함에 따라 체감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폰서 소유권 구조를 활용해 한국 리츠 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정책 당국과 스폰서 구조를 통해 리츠 산업에 참여하는 기업에게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