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조손가족 조모가 경험하는 손자녀 양육의 보상과 비용

        한경혜(Gyoung-hae Han),주지현(Ji-hyun Joo),이정화(Jeong-hwa Lee) 한국노년학회 2008 한국노년학 Vol.28 No.4

        본 연구는 현재 한국사회에서 급증하고 있는 조손가족의 성격과 경험의 다양성을 탐색해보는 연구의 일환으로 조손가족 조모들이 손자녀를 양육하면서 겪는 어려움(비용)과 더불어 긍정적 측면(보상)을 함께 탐색해보았다. 이에 조모의 양육 보상 및 비용 지각의 수준 차이를 살펴보며, 조모 및 손자녀 특성, 가구 특성, 정부의 지원이 조모의 보상 및 비용 지각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또한 양육 보상-비용 지각의 유형화를 시도함과 아울러 각 유형집단이 가진 특성을 고찰하였다. 한명 이상의 18세 이하 손자녀와 동거하면서 주양육 책임을 지고 있는 조모 449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조손가족 조모는 양육에 대한 비용을 지각하는 것과 동시에 보상 또한 높은 수준에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 보상감을 종속변수로 한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 결과, 조모의 경제적 형편, 손자녀의 연령, 손자녀의 기질적 특성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친족지위, 정부의 도구적 지원 등도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비용을 종속변수로 한 분석결과에서는 조모의 신체적 건강, 경제적 형편, 손자녀 수, 양육동기가 비용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보상-비용 지각 수준을 기준으로 유형화 작업을 실시한 결과, 4개의 유형이 관찰되었으며 가장 많은 수의 응답자가 <보상高-비용低>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손가족의 부정적 측면, 즉 높은 비용에 초점을 맞추는 기존 시각을 재검토할 필요성을 제기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으며, 조손가족 조모의 손자녀 양육경험이 다양한 양상임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There has been a sharp increase in the number of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complexity of the experiences of the custodial grandparenting. Most of the studies mainly examined burden/cost and have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positive aspects of custodial grandparenting.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of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aims 1) to examine not only the costs but also the rewards of custodial grandparenting and to explore related factors, 2) to develop the typology based on relative rewards-burden perception of grandmothers about custodial grandparenting and explore the group differences. The data were gathered from 449 grandmother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as a primary caregiver,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d ANOVA, with SPSS WIN 12.0 program.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ustodial grandmothers report not only care-giving burden such as physical burnout and economic burden but also various rewards such as joy of watching their grandchildren grow and feeling good about themselves to be a help with their adult children, i.e. grandchildren's father or mother. Second, factors related to the level of perceived cost of grandparenting are different from the factors affecting the positive aspects of grandparenting. Third, results of the two by two cross-tab analysis based on the level of rewards and burden show that about 32 percent of the grandparents belong to Type II group(high rewards-low cost). This result is quite contrary to the assumption of previous research focusing mostly on cost and burden of custodial grandparenting. Fourth, four groups were different in terms of grandmother & grandchildren's characteristics.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배우자 부양자의 부양 동기, 사회적 지지와 부양 부담

        한경혜(Gyoung-Hae Han),이서연(Seo-youn Lee) 한국노년학회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2

        고령화와 가족 구조의 변화로 노인 부양이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그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배우자 부양자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배우자 부양은 '돌봄' 외에도 '결혼 생활의 연장'이라는 특징이 있어 성인 자녀를 비롯한 기타 가족 부양자와는 질적으로 다른 경험일 가능성이 크다. 또한 남편과 아내가 처한 맥락이 상이하므로 이들의 성별 차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배우자를 돌보는 부양자에 초점을 맞추어 배우자 부양자의 부양 동기 및 사회적 지지가 부양 부담에 미치는 영향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1년 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장기요양보호 대상 노인의 수발 실태와 복지욕구」자료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T검증, X²검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부양 동기 및 사회적 지지가 부양자의 부양 부담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부담의 하위 항목에 따라 차이점과 공통점이 각각 발견되었다. 부양 동기의 경우, 부인을 돌보는 남성의 부양 부담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남편을 돌보는 여성부양자에게서는 부양 동기와 부양 부담과의 관련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사회적 지지는 남성 부양자의 부양 부담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여성 부양자의 경우 사회적 지지가 적을수록 경제적 부담을 느낄 승산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양자의 건강상태와 피부양자의 ADL 수준은 남녀 모두의 신체적 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타나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배우자 부양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연구와 정책적 노력에 성인지적 관점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Family caregiving to the elderl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ocial issues in recent Korea. Among various kinds of family caregivers, spouse caregivers particularly constitute a special group, generally characterized by continuous intimate association with the care recipients at many levels and by special commitments and responsibilities associated with the marriage bond. And the number of spouse caregiver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Moreover, since a conjugal relation is consisted of husband and wife, their caregiving experiences and caregiving burden may vary by gender. Thus,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aregiving experience, especially caregiving motivation and social support focusing on the gender differences. We analysed 「2001 Survey of Care-giving Status and welfare Needs of Older Persons in Korea」data by perform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husband was likely to feel more burden when he started caregiving because of few alternatives. For wife caregivers, the less awareness of social support they had, the more possibility of economic burden they felt. With these results, we suggest the necessity of having gender-sensitive perspective in research and policy making for caregiver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생애과정 관점에서 본 저소득층 조손가족 조부모의 사회적 배제 경험과 적응

        한경혜 ( Gyoung Hae Han ),주지현 ( Ji Hyun Joo ),정다겸 ( Da Gyoem Jeong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09 한국가족복지학 Vol.26 No.-

        본 연구는 한국 조손가족을 이해하는 데 있어 이론적 관점과 시각을 도입한 연구가 없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생애과정 관점(Life Course Perspective)에 기초하여 조손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 경험과 현실 적응전략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조손가족 조부모 13명과 심층면접을 통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결과, 조손가족 조부모들은 젊은 시절부터 저소득, 저학력, 열악한 주거 및 지역사회 환경, 신체·심리적 자원의 부족 등 다차원적인 소외로 사회의 주류적 흐름에 동참하지 못했다. 부모세대가 경험한 이러한 사회적 배제는 자녀세대에게 이어져서, 자녀세대의 라이프코스 선택과 궤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자녀세대는 대부분 사회적 규범에 어긋나는 과정을 통해 가족을 형성하였고, 경제적 불안정성이 가족의 불안정성과 중첩되자 양육책임을 부모에게 전가하면서 조손가족이 형성되었다. 조부모는 손자녀 전담양육 이후 그러잖아도 열악했던 삶의 조건과 양상이 악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조손가족은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사회적 배제가 축적된 결과물이자, 강화되는 시작점인 것을 알 수 있다. 조부모들은 조손가족이 사회적 시각에서 볼 때, `정상적` 가족의 범주에 들지 못한다는 것을 인식하면서, 손자녀를 위한 안전망 역할을 다하여 세대를 가로지르며 이어진 사회적 배제의 고리를 끊고자 나름대로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조손가족이 경험하는 다양한 차원의 사회적 배제 양상은 상호 밀접하게 연관된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이들 가족을 위한 정책적 개입은 다차원적인 보장체계 마련을 통해 사회적 배제가 심화·대물림 되는 것을 예방하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다양한 가족을 인정하고, 균형 잡힌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사회분위기를 조성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grandparenting and social exclusion experiences of poor custodial grandparents based on the life-course perspective, examine their strategy with a qualitative approach. Data were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13 custodial grandparents living in Seoul.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ustodial grandparents have been excluded from the mainstream of society since their early days, and social exclusion of parents is passed down to the child generation. Second, family formation of children`s generation was based on a non-normative process and there were quite a few teenage pregnancies. As a consequence, their families were unstable from the beginning and broke down easily. Third, custodial grandparents showed various ways of adjusting to their situation and tried hard to prevent their grandchildren from inheriting their children`s unsuccessful lives.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