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 베이비부머의 근로생애와 부부관계의 질

        한경혜(Han, Gyung-hae),최새은(Choi, Saeeun) 한국가족학회 2013 가족과 문화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여성 베이비부머들의 은퇴과정과 직종에 따른 이질성에 주목하여 여성의 근로생애와 부부관계의 질을 이해하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1) 경제활동 경험이 있는 여성 베이비부머 2,245명을 대상으로 연령에 따른 주된 일지리로부터의 퇴직 및 완전 은퇴의 생존곡선을 파악하고, 이러한 은퇴과정에 있어서 집단 내의 다양성이 존재하는지를 파악하였으며, 2) 최근 3년간 근로생애를 파악할 수 있는 1,188명의 여성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여성의 은퇴과정이 부부관계의 질과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며 그러한 관련성이 직종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Kaplan-Meier 생존함수 분석 결과, 1) 남녀고용평등법 시행의 수혜를 받은 첫 세대인 여성 베이비부머들 역시 노동시장의 진입과 퇴장 등의 형태는 분절적이었고 2) 여성의 은퇴가 남성에 비해 매우 일찍 시작되고 있었으며, 3) 직종에 따라 완전은퇴로의 생존곡선의 모습이 달랐다. 여성의 은퇴과정과 부부관계의 질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1) 최근 3년 이내에 주된 일자리로부터 퇴직한 여성이 주된 일자리에 지속적으로 종사하고 있는 여성에 비해 배우자로부터 정서적 지지를 더 받고 경제적 문제 및 가사노동을 둘러싼 부부갈등을 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전문관리직에 종사하던 여성은 다른 직종에 종사하는 여성들과 비교할 때 은퇴과정에 따른 부부관계의 질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직종에 따른 이질성에 주목하여 여성의 은퇴과정과 부부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의의가 있으며 여성 은퇴자의 삶의 다양한 측면을 조망하는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Korean female baby boomer's work life and the martial quality with a focus on the retirement process and the job classification.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1) a series of Kaplan-Meier analyses by using Korean baby boomer panel data(2010) including 2,441 female baby boomer and 2) a series of ordered logit and OLS regression models with 1,188 boomer women. The findings delineate that the work life of the female baby boomer shows a M-curve and the retirement process began earlier than male baby boomers. The heterogeneity within the retirement process of the female baby boomer can be found across the primary job classification. Regarding the association between the retirement process and marital quality, this study found that retired women were more likely to report higher spousal support and lower marital conflict.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the retirement process and marital quality varies across primary job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women with the bridge jobs show low marital quality when their primary jobs were managers/professionals. This study contributes to enhance understanding of women's retirement and marital quality by paying attention to heterogeneity in terms of retirement process and primary jobs.

      • KCI우수등재

        떠난 장남, 남은 장남

        한경혜(Han Gyung-Hae),윤순덕(Yoon Soon-Duck) 한국사회학회 2000 韓國社會學 Vol.34 No.F

        이 연구는 노인의 거주유형 결정요인을 밝히고 있는 서구 선행연구의 분석틀이 우리나라 농촌노인에게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는 관점에서 출발하여 노인의 특성이외에 장남의 특성이 농촌노인의 거주유형 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생애과정 관점(Life Course Perspective)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농촌노인의 거주유형 결정요인을 탐색하는데 있어, 미혼 자녀와 살고있는 노인은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고, 노인의 거주유형을 노인단독가구, 지차남동거가구, 장남동거가구 3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노인특성 변수외에 노인의 거주유형 결정에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장남의 교육수준과 직업 등을 결정모형에 포함시켰다.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8도 32마을에서 수집한 총 954명의 결혼한 생존아들이 있는 농촌노인들을 대상으로 거주유형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장남의 학력이 전문대졸 이상일수록, 장남이 전문관리서비스직에 종사할수록 노인단독가구나 지차남동거가구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의 어려운 경제형편은 독립거주능력을 상실시켜 자녀와의 동거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기존 연구결과와 반대로 경제적 형편이 나쁜 노인들이 단독가구를 형성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서 노년기 거주유형 결정에 중요요인으로 밝혀졌던 노인의 특성 변수보다는 자녀 특성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결과는 한국 농촌노인의 거주유형 결정과정이 서구와 상이함을 보여준다. Traditional family system in Korea has been the stem family where the eldest son live with their parents even after their marriage. However, with rapid sociocultural changes in recent years, living arrangements of the rural elderly have changed dramatically. Using the life course framework,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increase of the elder-only household and the elderly live with later born sons in rural area was the results of parental strategy, specifically due to the increase of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eldest son and consequent labor force participation in urban area. In order to test this hypothesis, data were gathered from 1,021 rural elderly in Korea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sed using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Three forms of living arrangements of the rural elderly were identified; living alone, living with married eldest son, and living with married later born son. Results showed that the economic status of the elderly, the eldest son’s educational level and the kind of job of the eldest s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ikelihood of living apart from their eldest son. The number of the surviving son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ikelihood of forming a household with later born sons rather than with the eldest son. We found the results particularly interesting in terms of the fact that elderly parents’ age, marital status, and health which we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explaning the living arrangements in Western culture showed no significant effects in explaining the living arrangements of Korean rural elderly.

      • KCI등재

        일·가족·여가활동 시간비율로 살펴본 맞벌이부부의 역할분배 유형과 유형별 일상정서경험

        장미나,한경혜,Chang. Mina,Han. Gyung-Hae 한국가족학회 2015 가족과 문화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맞벌이부부의 일·가족·여가활동 시간의 구조적 차이를 근거로 하여, 부부의 역할분배방식을 유형화 하고, 각 유형별 부부의 일상정서경험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누구와 함께 있는 지로 구성되는 일상의 외적맥락과 그 순간의 느낌이나 생각을 나타내는 내적인 정서경험을 연계해서 살펴보는 경험표집법(ESM)을 활용하였다. 이는 부부들이 직면한 현실 상황에 밀착해서 행위자 스스로가 평가한 경험을 탐색하는 것으로 맞벌이부부의 일상생활을 살펴볼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경험표집법을 활용하여, 만 10세 이하의 자녀를 둔 맞벌이부부 총 91쌍,182명 이 하루 6회 총 5일 동안 응답한 자료 5,147개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 모두 경제활동을 함에도 불구하고, 남편과 아내의 일·가족·여가활동 시간 구조는 어린 자녀를 키우는 맞벌이남녀의 불평등한 생활세계의 모습을 적절히 반영하고 있었다. 둘째. 부부를 분석단위로 하여, 남편과 아내 각각의 시간비율을 기준변수로 하는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양육중심형’ ‘여가몰입형’ ‘잠재적(양육자,부양자)역할 공유형’ ‘신전통형’의 4가지 역 할분배유형이 도출되었으며, 각 유형 집단은 막내자녀의 연령, 자녀수와 같은 가구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역할분배유형에 따라 맞벌이부부가 일상생활에서 느끼 는 긍정/부정정서 경험은 유형별로 그리고 젠더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특히 이러 한 차이는 정서차원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 일상에서 느끼는 긍정정서경험은 부부의 역할 분배 방식에 따라 비교적 큰 차이를 보였던 반면, 부정정서경험은 유형별 차이보다는 젠더차이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토대로 맞벌이가족이 가지는 다양한 삶의 모습과 경험을 구체적으로 논의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uster the typology of labor division that classified based upon the distribution of work, family and leisure time ratio of husbands and wives among dual-earner couple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immediate emotional experiences between husbands and wives by the typology. In this study, ninety-one dual earner couples with young children under age 10 participated, and total 5,147 data were collected. It used Experience Sampling Method (ESM), which enables a researcher to assess how people spend their time in daily different settings such as spaces, activities and companions, and how they experience the different settings of their lives. The majo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aily time pattern and the emotional experiences between husbands and wives. Second, dual-earner couples were clustered into 4 types of division of labor including ‘carer-centered couples’, ‘leisure-oriented couples’, ‘latent dual carer-earner couples’, and ‘modified male breadwinner couples’, based upon the distribution of work, family, and leisure time.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the 4 types according to household characteristics such as child age, the number of children. Third, the 4 types of division of labor were associated with daily emotional experiences. While positive daily emotional experiences vary depending on the 4 types, negative experiences vary depending on gende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 of division of labor on dual-earner couples’ daily lives is discussed.

      • KCI등재

        어린자녀를 둔 맞벌이부부들의 일상생활경험

        장미나(Chang, Mi-Na),한경혜(Han, Gyung-Hae) 한국가족학회 2011 가족과 문화 Vol.23 No.1

        어린자녀를 둔 맞벌이부부들이 일상생활에서 배분하는 시간 구조와 활동 순간 느끼는 순간의 정서(emotion)경험을 살펴보기 위해 맞벌이부부 91쌍의 일상생활경험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맞벌이부부들의 일상현실을 ‘어디에서 무엇을 하며, 누구와 있는가’와 같은 일상시간의 외적이고 구조적인 경험뿐만 아니라 이러한 상황에서 남편과 아내가 느끼는 순간의 정서경험 자료를 동시에 수집할 수 있는 경험표집법(ESM)을 활용하였다. 남편과 아내에게 하루 6번 총 5일 동안 동시에 신호를 주고, 그 순간의 외적인 상황과 정서경험을 기입하게 하여 수집한 경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 모두 경제활동을 수행하는 맞벌이가구임에도 불구하고, 아내는 남편에 비해 가사 및 자녀돌봄 등 가족영역에 보내는 시간비율이 더 높고, 유급활동과 여가활동비율은 남편보다 낮아서 부부간에 상이한 일상시간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상맥락을 구분하지 않고 전반적인 부부의 정서경험을 비교해 본 결과, 맞벌이남편은 배우자인 아내에 비해 일상 활동 순간순간을 더 긍정적으로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맞벌이남편은 일터에서 주요 업무를 보는 순간을 일상 활동 중 가장 부정적으로 느끼고 있었으며, 배우자인 아내보다 부정정서 수준이 더 높았다. 반면에 아내는 남편에 비해 가사일이나 자녀돌봄 순간을 더 부정적으로 느끼고 있었으며, 자신의 유급활동 순간보다도 덜 긍정적인 느낌으로 보고하고 있다. 즉 전통적으로 남녀에게 부여된 활동 영역에서 남편과 아내는 각각 더 부정적으로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주요결과에 기초하여 맞벌이부부의 일상시간구조와 정서경험에 대한 사회규범의 영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temporal and emotional organization of daily lives of 91 dual-earner couples with young children. Experience Sampling Method(ESM) was used, which provided an access to where, how, and with whom they spent their daily time and how they experienced different settings. A sample of 91 couples(91 husbands, 91 wives) reported their activities, companion contexts and emotional states six times a day for a consecutive 5-day period. They provided 5,141 self-reports, and the unit of analysis was based on the couple level(the couple was used as the unit of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aily time pattern between husbands and wives. While wives, the primary caretakers of their families, spent more time on housework and childcare than husbands, they spent less time on paid work and leisure than their spouses. Second, husbands experienced positive emotions with more intensity than their wives in overall average. Third, the pattern of daily emotional experiences differed markedly. Wives reported more intense negative states in childcare and housework, in other words, women's traditional family role. On the contrary, husbands who are not primarily responsible for housework and childcare, reported experiencing stronger positive emotions for those activities than wiv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 of gender role on dual-earner couples' daily lives was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