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산만과 낙동강 하구역 해양 퇴적토의 중금속 오염도 산정 연구

        이준호(Junho Lee),양찬근(Changeun Yang),한경수(Kyongsoo Han),이태윤(Taeyoon Lee)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20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21 No.3

        본 연구는 마산만과 낙동강 하구 인근의 해양퇴적토에 포함된 중금속 농도를 측정하여 기존 오염도 산정방법을 이용하여 6개 중금속에 대한 오염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미국 환경청 기준에 따르면 Cu의 경우 B1지역은 심한오염으로 분류되었고 Ni과 Zn의 경우 일부지역에서 중간정도 오염으로 분류되었다. Igeo, EF, PERF의 분류에 따르면, A와 B 지역은 Cd에 의해 오염이 된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B1 지역의 경우 Igeo, EF, PERF 값이 전 지역을 통틀어 제일 높은 값을 나타내어 심각한 오염으로 평가되었다. 6개 중금속 모두의 영향을 고려한 mean PEL quotient 분류에 따르면 모든 지역에서 중금속으로 인해 독성이 발생할 확률은 21%로 파악되었다. B1 지역의 Cd 농도는 1.5mg/k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이는 기존의 연구와 비교해서도 가장 높은 값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마산만 인근의 퇴적토에 포함된 Cd의 오염이 심각하므로 이에 대한 원인을 밝히고 향후 처리방안에 대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in the marine sediments near the Masan bay and the Nakdong estuary, and to investigate the pollution intensity levels of six heavy metals using the existing pollution intensity assessment method. According to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in the case of Cu, the B1 area was classified as severe pollution, while in Ni and Zn, it was classified as moderate pollution in some area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Igeo, EF and PERF, the A and B regions were polluted by Cd. In particular, in the B1 region, Igeo, EF, and PERF values were the highest in all regions, and were regarded as serious pollution. According to the mean PEL quotient classification,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effects of all six heavy metals, there is a 21% probability of toxicity from heavy metals in all regions.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Cd in the B1 region is 1.5 mg/kg. Therefore, the contamination of Cd contained in sediment near Masan Bay is serious, so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cause and take careful approach to future treatment.

      • KCI등재

        AQUATOX 모델을 이용한 낙동강 하구역의 총일차생산량 및 생물체 호흡량 예측 모델링

        이태윤(Taeyoon Lee),호앙티란안(Thilananh Hoang),응우엔트린(Duytrinh Nguyen),한경수(Kyongsoo Han)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21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22 No.3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역에 대한 생태계 변동을 예측할 수 있는 생태계 모델을 구축하고 이 모델을 이용하여 총일차생산량과 호흡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생태계 모델을 AQUATOX 모델을 사용하여 구축하였고 측정된 자료를 이용하여 모델의 검량과 검증을 하였다. 모델의 검량은 낙동강 하구역에서 측정된 클로로필-a 자료를 사용하였고, DO, TN, TP 자료를 이용하여 모델 검증을 수행하였다. 총일차생산량과 호흡량은 계절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나 낙동강 하구역의 총일차생산량과 호흡량은 하굿둑 방류수의 양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방류수의 양이 증가할 때는 하구역에 서식하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유실로 인해 광합성을 할 수 없어 총일차생산량은 0에 수렴하였고, 반면 방류수에 포함된 유기물질의 유입으로 인해 호흡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유입수량의 증가는 유입수에 포함된 유기물질의 유입을 의미하며, 이 유기물질은 산화작용에 의해 분해되면서 용존산소를 감소시켰다. 다른 나라의 하구역과 비교 시 낙동강 하구역은 총일차생산량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호흡량이 총일차생산량보다 크기 때문에 유기물의 산화작용에 의해 용존산소를 고갈시키는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ecosystem model that can predict ecosystem fluctuations in the Nakdong estuary, and use this model to calculate total primary production and respiration. AQUATOX model was used as the ecosystem model, and the model was calibrated and verified using the measured data. For the calibration of the model, chlorophyll-a data measured at the Nakdong estuary were used, and the model ver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DO, TN, and TP data. In general, the total primary production and respiration volume vary greatly depending on the season, but the total primary production and respiration in the Nakdong estuary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Nakdong estuary bank. When the amount of effluent increased, photosynthesis could not be performed due to the loss of phytoplankton living in the lower area, and the total primary production amounted to zero, whereas the respiration increased sharply due to the inflow of organ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effluent. The increase in the inflow water means the inflow of organ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inflow water, and the organic substances are decomposed by oxidation, reducing dissolved oxygen.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estuaries, the Nakdong estuary shows the lowest total primary production and because the respiration is larger than the total primary production, the dissolved oxygen is depleted by the oxidation of organic mat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