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최초의 절기 설교집 종교계 저명사 강연집에 대한 연구

        한경국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61

        일제강점기 이었던 1922년 7월 출간된 종교계 저명사 강연집 (宗敎界 著名士 講演集)은 총 20편의 설교 중 5편의 절기 설교를 수록하고 있는 한국 최초의 절기 설교집 이다. 아울러 1921년 7월 에 출간된 한국 최초의 설교집 백목강연에 이어 나온 한국교회의 두 번째 설교집이다. 종교계 저명사 강연집은 편집인 한석원이 직접 설교현장에 참여하여 녹취한 설교문 을 수록한 것이기 때문에 당시 설교 현장의 생생한 음성을 되새길 수 있는 특별함이 있다. 아울러 3.1운동 이후 일제에 대한 저항심이 은연중 드러나는데 총 20명의 설교자중 7명이 3.1운동에 민족대표로 참여한 분들이며 조선총독부의 검열에 걸려 삭제된 부분을 편집 없이 그대로 싣고 있다는 점은 역사적 사료로서 그 가치가 높다. 우리는 종교계 저명사 강연집을 통해 ‘설교’라는 용어가 일제 강점기 당시 여러 가지 다른 용어와 함께 혼용되다가 점진적으로 오늘날의 용어로 정착되었음을 다시 한 번 확인 할 수 있다. 아울러 일제강점기 초기 선교사들의 영향을 받아 주제설교의 형태가 주로 사용 되어 왔고 구약보다 신약의 본문이 더 빈번히 사용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종교계 저명사 강연집에 대한 연구를 통해 우리는 한국교회 절기설교의 초기 형태가 오늘날과는 많이 다른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즉 오늘날의 일반적 절기 설교는 절기의 유래 등에 대해 설명하고 성경의 내용을 해당절기와 관련해서 풀어내는 특징을 보이는데 종교계 저명사 강연집에 나타난 한국교회 초기 절기설교 형태는 절기에 대해 특별한 언급이 없이 서론과 본론을 이끌어가다가 결론부에 가서 설교자가 의도한 주제들과 절기를 몇 문장으로 연계시키는 특징을 보인다. 그리고 설교의 도입부에 생활 예화를 함으로서 회중의 관심을 유발한 후 점진적으로 설교의 주제로 이끌어가는 설교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본 소고에서는 우리나라 절기 설교집의 시초이면서 두 번째 발행된 설교집인 종교계 저명사 강연집에 대한 심층적 연구를 통해 초기 한국교회 설교들과 그 특징들에 대해 살펴보고 21세기 한국교회 설교자들을 위해 적용할 점을 생각해 본다. The Jonggyogae Jaemyungsa Gangyeonjip; the Sermon collection by renowned preachers of Religious Circle has twenty sermons including 5 seasonal sermons. The collection was published in July 1922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book is the first seasonal sermon collection in Korea and the second sermon colletcion of Korean church followed by the Paikmok Kangyun. The Jonggyogae Jaemyungsa Gangyeonjip was a transcript of tape-recording by the editor Han Seokwon, who attended the actual places of preaching. This makes the book special that the book reminds the readers of the vivid voices of the preachers. The book also secretly reveals the spirit of resistance of the 33 Korean leaders, including seven pastors, against the Japanese empire. It shows several parts of deletion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ithout any editing. Therefore, the book is a valuable historial records of Korean history. From the Jonggyogae Jaemyungsa Gangyeonjip, we can confirm that there were various terms, which indicated today’s ‘preaching.’ As time went by, the term ‘preaching’ was accepted as today’s meaning. Moreover, the topical preaching was widely use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preaching styles in Korean church, which was influenced by Western missionaries. Moreover, this study confirms many preachers' tendency to select the New Testament over the Old Testament. Through this study, we will see some different features between the seasonal preaching in the Jonggyogae Jaemyungsa Gangyeonjip and current seasonal preaching style. Furthermore, sermons in the book reveal some features such as using a life story in the introduction. Through the study about the Jonggyogae Jaemyungsa Gangyeonjip, we will examine sermons of the early Korean church and some applicable-useful points for the 21st centuries’ Korean preachers.

      • KCI등재

        상황설교로서의 한국교회 치유설교 이해

        한경국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51

        최근 한국 사회의 이른바 ‘힐링’ 열풍 이후로 치유목회, 혹은 치유설교 라는 용어가 자주 들려오고 있다. 치유 사역은 예수님께서 세상에 복음 전파를 위해 하셨던 중요한 사역의 하나인바 오늘날 교회의 사역에 있어서도 그 중요성은 간과 되서는 안 된다. 본 소고는 이른바 치유설교가 설교의 분류상 어떤 위치에 있을까를 진단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것을 위해 상황설교를 사회적 상황 설교와 회중상황 설교로 구분 하며 기존의 상담설교에서 좀 더 분화 및 발전되어 가고 있는 한국교회 치유설교에 대해 살펴본다. 즉 기존의 상담설교는 주로 혼(정서)적인 측면의 치유에 집중하였다고 하면 최근의 치유설교 는 영, 혼, 육의 치유, 소위 전인치유를 그 목적으로 행해지는 경우도 있음을 주목하면서 기존의 상담설교와 동의어 식으로 취급되었던 치유설교가 이제 조금은 다른 뉘앙스로 자리 메김 하고 있음을 살펴본다. 그러면서 21세기 한국교회 설교자들의 효과적인 설교사역을 위해 상황설교의 하나인 치유설교가 여러 대안 중의 하나가 될 수 있음을 제안해 본다. After the recent ‘Healing Syndrome’ of the Korea society, we have frequently heard the terms healing ministry and therapeutic (healing) preaching. As healing ministry for the Gospel was one of the essential ministries of Jesus, we should not overlook its importance. This paper examines the location of so-called therapeutic (healing) preaching in sermon classification. For this purpose, I suggest two types of contextual preaching: social contextual preaching and congregational contextual preaching. I research a new trend of therapeutic (healing) preaching, rooted in counseling preaching, in Korean churches. Through research, I found that counseling preaching only focuses on soul (mind) healing. However, some recent therapeutic (healing) preaching in Korean church aims to heal the spirit, soul, and body. At last, I address how the therapeutic (healing) preaching can be an important preaching method for more effective preaching ministry for Korean preachers of the 21st century.

      • KCI등재

        한국 최초의 설교집 백목강연에 대한 연구

        한경국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4

        한국 최초의 설교집은 언제 발간되었고 어떤 특색을 지니고 있을까? 일제강점기 이었던 1920년 출간된 백목강연 은 25명의 설교를 모아 놓은 우리나라 최초의 설교집이다. 백목강연의 발간 이전에 각 교단 신학교의 잡지에 몇몇 설교가 실리긴 했으나 이것들을 설교집이라 할 순 없다. 약 100여 년 전에 쓰인 백목강연에는 평신도부터 목회자들까지, 그리고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도 설교자에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사실은 설교의 청자로서의 평신도의 중요성이 중요시 되는 최근의 추세에 더해서 소위 ‘평신도 설교권’의 의미에 대한 단초를 제공해 준다. 또한 우리는 ‘설교’라는 단어가 한국교회 초기 ‘강연’ ‘강설’ ‘강도’ 등의 여러 가지 다른 단어와 함께 혼용되다가 점진적으로 오늘날의 설교라는 용어로 통일되어 정착 되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긜고 한국교회 초기의 설교형태에 대해 살펴볼 수 있는 데 오랫동안 한국교회에서 설교의 기본형태 격으로 사용해 왔던 3대지 설교가 초기 한국교회부터 지금까지 계승되어온 설교의 형태였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설교본문의 선택에 있어 구약보다 신약의 본문을 더 선호한 것과 당시 설교자들이 선호했던 본문선택, 교회 내외의 상황을 반영한 설교의 내용상의 특징은 무엇인지, 설교의 종결 표현에는 어떤 것들을 사용했고 오늘날의 설교에 까지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은 무엇이 있는지 발견해 낼 수 있다. 본 소고에서는 백목강연에 대한 심층적 연구를 통해 초기 한국교회 설교들에 대해 살펴보고, 21세기 한국교회 설교자들을 위해 설교사적 전통에서 계승하고 생각해 볼 점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고찰해 본다. When was the first sermon collection of Korea published and what were the features? The Paikmok Kangyun (The Sermons by One Hundred Pastors & Teachers) was published in 1920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 few sermons were printed in certain seminary magazines before the Paikmok Kangyun was published. However, we cannot see the book as a sermon collection. The Paikmok Kangyun is the first sermon collection in Korea, which contains 25 sermons written by 25 preachers. It was composed by male and female pastors and laities. This fact provides a starting point of discussion for preaching in this period’s trend, which has raised the importance of hearers. In addition, through the study about the Paikmok Kangyun around 100 years ago, we can address that there were several terms, which indicated today’s ‘preaching,’such as KangYun, KangSul, and KangDo. As time went by, the term ‘preaching’ was accepted as today’s meaning. Moreover, the three point sermon was used as the representative preaching style in Korean church. It is the successful preaching style used from the early Korean church up until now. In addition, we will look for the bible text selection that preachers favored, the New Testament over the Old Testament. Furthermore, we will study some features of the contents that reflected the Korean churches’ circumstances during the time, what special ending expressions preachers used, and what features mentioned above influenced today’s preaching. Through the study about the Paikmok Kangyun, we will survey preaching of the early Korean church and useful points for today’s Korean preachers.

      • KCI등재

        1980-90년대 주요 장로교단 대표적 예배학자를 중심으로 본 한국 장로교 예배 이해

        한경국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7

        In a history of liturgical studies of the Presbyterian Churches in Korea, the period of the 1980s was a meaningful one when some worship (liturgical study) scholars published liturgical study books based on the theology of their respective denominations. Prior to this period, there were only few translated books of foreign scholars. During this period, KeunWon Park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Republic of Korea (PROK) insisted upon the renewal of worship, including festival worship as well as Trinity-centered church calendar based on ecumenical theology. Moreover, he laid emphasis on balanced worship between the word and sacrament allowing lay-leading and Korean contextualization in worship. ChangBok Chung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PCK) valued upon Calvin’s theology of the word and sacrament and gave emphasis to the Westminster Directory and Christ-centered church calendar. In addition, he had a positive view towards the Lima Liturgy and strongly spoke about recovering worship style of reformed tradition and worship reflecting traditional culture. Deuk Ryong Kim of the General Assembly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GAPCK) rejected human-centered (secular) worship and emphasized God-centered worship and the church calendar including kingdom season. He further strongly criticized modern theologies and adhered to the traditional (reformed) theology, and also valued Calvin’s theology of sacrament and infant baptism. In addition, he had a negative view of having female worship leaders and preachers. Though they have some common features like emphasizing the use of Church calendar, balanced worship between the Word and sacrament, they held many different views with respect to their own theologies such as the theologies of progressive, holistic and conservative. Through this study, we can confirm that the existence of various interpretations and praxes in accordance with the various denominational theologies in the liturgical study in the Presbyterian Churches in Korea. 한국 장로교회 예배학의 역사 에서 1980년대는 개교단의 예배학자들이 외국의 예배학자들의 책들을 번역하거나 소개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개 교단의 색채를 담은 예배학 서적들을 출판한 의미가 있는 시기이다. 이시기 한국기독교장로회의 박근원은 에큐메니컬 신학에 근거하여 예배의 갱신과 축제적인 예배, 삼위일체 중심의 교회력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말씀과 성만찬의 균형이 잡힌 예배, 평신도 주도의 예배허용, 그리고 한국적 상황화 예배를 주장한 특징을 보인다.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의 정장복은 개혁자 칼빈의 말씀과 성례전 신학을 중시하면서 웨스트민스터 예배모범과 그리스도 중심의 교회력 사용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개혁교회 전통 예배 회복과 리마 예식서 긍정 평가, 전통문화를 반영하는 예배를 주장하였다.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의 김득룡은 인본주의적 예배를 배격하고 신본주의적 예배를 강조하고 왕국절이 들어간 교회력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현대주의신학을 비판하고 정통신학을 고수해야 함을 강조하면서 칼빈의 성례전을 중시하고 유아세례를 적극 권장하였다. 아울러 예배와 말씀인도자로서 여성이 세워지는 것은 강력히 배격하는 입장을 취한다. 이들은 모두 개혁교회 신학의 바탕 하에서 교회력 사용의 강조, 말씀과 성만찬이 균형 잡힌 예배 등을 강조하는 공통적 특징이 있으나 진보, 중도, 보수라는 각 교단 신학의 특징에 따라 또 많은 차이점들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장로교회 예배학 분야에 각 교단의 신학적 입장 차이에 따라 다양한 해석과 실제가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 KCI등재

        1980-90년대 주요 장로교단 대표적 설교학자를 중심으로 본 한국 장로교 설교 이해

        한경국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7

        한국 장로교 설교학의 역사에서 1980년대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한국교회 예배학의 흐름과 마찬가지로 이 시기 개 교단의 실천신학자들이 설교학 분야에 관해 서도 관심을 갖고 이전 시기의 외국 설교학자들의 책들을 번역, 편역 또는 소개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개 교단의 신학적 특징을 드러낸 독자적인 설교학 서적들을 출판하 기 시작한 때이기 때문이다. 이 시기 한국기독교장로회(기장)의 박근원은 진보적인 시각에서 인간의 삶 전체에 관심을 두는 복음적 설교와 오이쿠메네 설교, 그리고 설교가 누구에게나 다가갈 수 있는 개방적 설교가 돼야 함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설교와 성만찬의 조화와 균형의 유지, 화육적 설교와 상황설교를 강조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의 정장복은 설교자가 개인의 사상이나 생각 전달을 설교 로 포장하는 것을 강하게 비판하고 설교의 에토스로서 성언운반일념을 강조하고 교회 력과 성서 일과를 중시했으며 설교의 동반자로서 회중을 중시하고 성경적 설교의 한 모델로서 분석설교 모델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설교에서 성령의 역할을 중시하였다.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의 정성구는 보수 개혁주의에 입각한 설교학을 주장하며 본문과 상황의 조화와 균형이 잡힌 설교를 지향하고 구속사적 강해설교의 필요성을 주창하였다. 아울러 강해 설교자로서 칼빈을 본받을 것을 강력히 주장하였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회중의 역할을 강조하나 각론에서는 진보, 중도, 보수라는 각 교단 신학의 입장에 따른 차이점을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평양신학교 실천신학 교 수였던 곽안련의 설교학을 이어오던 한국 장로교회 설교학 분야가 1980년대 이후 각 교단의 신학적 입장에 따라 다양한 강조점을 지니며 분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e decade 1980s has an important implication in the history of Homiletics in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During this period in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just like the drift in the liturgical studies, the theologians of practical theology also showed interest in Homiletics moving away from simply translating or introducing the books of foreign homileticians of the previous period. And it was that time when Korean homileticians began to publish their own books on homiletics, revealing the distinct t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ch Korean presbyterian denomination. During this period, KeunWon Park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Republic of Korea (PROK) asserted ‘evangelical sermon’ and ‘oikumene sermon’ that focus on the whole of human life, and an ‘open sermon’ that approaches everyone. Furthermore he emphasized balance between preaching and sacraments, and importance of incarnational preaching and contextual preaching. ChangBok Chung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PCK) strongly criticized the preachers for wrapping personal thoughts in the sermons. He emphasized the idea of carrying Song-on as the sermon’s ethos and insisted on the use of the church calendar as well as the daily Bible routine. He stressed the importance of congregation as a sermon partner and presented an analytical sermon model as a model for biblical sermons. He further emphasized the role of the Holy Spirit in his sermons. SungKoo Chung of the General Assembly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GAPCK) insisted on Homiletics based on conservative Reformation theology and asserted the kind of preaching that harmonizes the text and the context. He also strongly emphasized imitating Calvin as the best expository preacher. All these homileticians have common features that follow the heritages of the first practical theology professor, Charles Allen Clark, and all of them know the importance of congregation and contexts.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they shared few common features, their positions on homiletics were much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denominations’ theological positions, such as progressive, holistic, and conservative.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the field of Korean Presbyterian homiletics has been differentiated with varying emphasis depending on one’s own theological position since the 1980s.

      • KCI등재

        장로교 선교사들의 저작을 중심으로 본 초기 한국 장로교 예배 이해

        한경국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6

        The early PCUSA missionaries who graduated from conservative seminaries of that period have played a crucial role in building the foundation for the worship in the early Korean Church. Samuel Austin Moffet wrote “Wiwonipgyoin Kyudo” the first document related to worship in 1895, and Charles Allen Clark wrote the “Mokhwaehak” in 1925. Nine years later in 1934, Slatau T. Stanley wrote the “Raebaechupkyong.” By researching these worship books written by the missionaries who taught at the Pyongyang Presbyterian Seminary, we can understand the context of the church as well as the historical transition in worship during the early Church mission in Korea. This study, particularly shows that leading of worship and preaching by the laity was highly recommended by the Navius’ policy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Korean Church, and it was gradually changed to the ministry of ordained pastor, especially preaching the sermon, giving the benediction and administrating the Sacraments in Sunday worship service. In addition, an effort by Charles Allen Clark to enforce liturgical elements in a regular worship service such as confession of sin were not settled in Korean worship service, instead, the simple and practical worship style which was influenced by the frontier worship style was used in Korean Church. We can also observe a few special worship terms that were used in the periods like Juil Dae Yaebae and Chanyangdae. In addition, this study indicates an appearance of age limitation rule in infant baptism as well as the difference of the number of church members depending on the popularity of preacher during the period. And this phenomenon made an incorrect perception in worship that focuses on the preacher instead of God. Thus, we see some efforts to recover the nature of worship that focuses and glorify only God. 한국교회 선교 초기 미국의 보수 신학교 출신이던 북 장로교 파송 선교사들은 한국교회 예배의 기틀을 세우는 데 큰 역할을 담당했다. 마포삼열은 1895년 최초의 한국장로교 예배 관련 문서인 『위원입교인규됴(爲願入敎人規條)』를 썼고, 이어서 곽안련의 『목회학(牧會學)』 이 1925년에 출판되었다. 이로부터 9년 뒤 1934년 소열도가 『례배첩경(禮拜捷徑)』을 출판하였다. 약 40여 년에 달하는 기간 동안 발간된 평양장로회 신학교 교수 선교사들의 예배 관련 문서를 살펴보면 각 시대의 교회와 예배현장의 정황과 선교 초기 한국장로교 예배변천에 대해 이해를 할 수 있다. 특히 한국교회 초기 네비어스 정책으로 인한 자립 중시로 평신도의 예배 인도와 설교가 적극적으로 권장되었음을 볼 수 있고 점차 주일 낮 예배는 목사에 한해 설교할 수 있도록 제한이 되면서 축도나 성례도 목사에 의해서만 행해지는 것으로 제한 되어 감을 볼 수 있다. 그리고 곽안련이 제안한 예배순서에 ‘죄의 고백’ 등을 넣는 일련의 예전 강화 노력은 실제 현장에서는 특별한 실현이 되지 못하였고 이른바 변방예배 형태를 계승한 간단하고 실용적인 예배 형식으로 정착됨을 살펴볼 수 있으며 주일 대예배, 찬양대 등의 용어사용을 통해 지금부터 약 100여 년 전 한국교회에서 사용한 예배 용어 등의 면면을 알 수 있다. 또한, 선교 초기 유아세례 자의 나이 제한에 대한 특별한 언급이 없다가 점차 그 기준이 생겨나고 한국교회 초기부터 설교자의 인기도에 따른 예배 참석 인원의 편차가 생겨났고 이로 인해 하나님만 영광을 받으셔야 한다는 예배의 본질이 흐려져서 설교자에 집중하는 흐름이 있었음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님께만 경배해야 한다는 예배의 본질 회복에 집중하는 당대 선교사들의 노력을 볼 수 있다.

      • KCI등재

        높은 전열 면적을 갖는 고온고압용 쉐브론 PLATE 생산시스템 연구

        이일구(Il-Gu Lee),한경국(Kyung-Kook Han),백진욱(Jin-Uk Back),류성기(Sung-Ki Lyu) 한국기계가공학회 2024 한국기계가공학회지 Vol.23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duction system capable of manufacturing a chevron plate of a certain shape to manufacture a plate heat exchanger that can withstand high temperatures and pressures. The material used for molding was SUS 316 L with an initial thickness of 0.3 mm. A tensile test was performed using a mechanical universal tensile tester with a 10-ton load cell capacity to secure the basic physical properties for FE analysis, and the commercial solver Abaqus/Explicit 2020 was used for finite element analysis. The effective plastic strain and effective stress distribution were examin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y mainly formed near the Shellbron pattern. The problem of the height of the chevron shape being nonuniform is advantageous in preventing molding defects by fine correction of the square to produce a shape with a uniform chevron he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