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음 체계와 자질에 의한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발음 분석

        하호빈 ( Ha Ho-bin ),이화진 ( Lee Hwa-jin ) 한민족문화학회 2016 한민족문화연구 Vol.55 No.-

        본고는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발음을 음소 층위와 실제 발화의 음절 층위에서 분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음소 층위에서는 각모음들이 체계 내에서 대립을 이루는 양상을 밝혀져야 하며 음절 층위에서는 모음 연쇄에서 나타나는 음운 현상에 대한 포착이 이루어져야 한다. 일본인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후설모음에서 나타나는 원순성 대립을 발음을 통해 잘 실현시키지 못한다. 일본어에서는 후설모음이 한국어와 달리 원순 대립의 짝을 가지지 못하는데, 이와 같은 모국어의 영향으로 일본인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후설 원순 고모음과 후설 평순 중모음을 잘 발음하지 못한다. 또한 일본어의 이중모음은 한국어에 비해 목록의수가 적은데 이는 일본어에서 활음의 분포가 제약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본인 학습자가 한국어의 이중모음을 발음할 경우 활음이 탈락된 단모음으로 실현시키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한국어와 일본어에서는 공통적으로 형태소가 결합하는 환경에서 모음이 연쇄될 때 모음충돌을 회피하려는 경향이 나타난다. 그러나 일본어의 경우 한국어와 달리 표면에 [w]가 실현되는 활음화가 적용되지 않는데, 이는 일본어의 모음충돌 회피가 고모음 자질을 실현시키지 않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아울러 고모음의 원순성 자질이 음운 과정에서 능동적인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과 관련된다. 이로 인해 일본인 학습자는 한국어의 모음 연쇄에서 활음화를 쉽게 적용시키지 못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nouncing patterns of Japanese learner in Korean vowel. In most cases, Japanese learner does not assign the bundle of [+round][+high] in the Korean back vowel. They do not perceive the opposition of roundness in a back position as the convention of Japanese language. Therefore, Japanese learner struggles on the pronouncing Korean vowels [u] which is the counterpart of [i]. In terms of glide formation, Japanese learner does not represent [w] in the vowel coalescence of Korean as a type of hiatus resolution. Since the restriction of glide distribution in Japanese language, [w] is not derived to the surface whereas the glide deletion is applied. This phenomenon is based on the property of Japanese [round] that is not specified strictly in the high position of back vowel. Japanese learner, therefore, does not deal [round] as an active feature of the phonological process. As a consequence, the glide formation of Korean is not represented appropriately in Japanese learner’s pronunciation.

      • KCI등재

        음절 구조와 음소 배열 제약을 고려한 한국어 자음 교육 -음절 말음을 중심으로

        이화진 ( Hwa Jin Lee ),하호빈 ( Ho Bin Ha ) 한국문법교육학회 2012 문법 교육 Vol.16 No.-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teaching method of Korean consonants considering syllable structure and phonotactic constraint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eat Korean coda consonants for learners of Korean. I have proposed some suggestions on the way of teaching Korean coda consonants to learners of Korean. In First, the education of Korean coda consonants must be differentiated from the education of onset consonants. For some restrictions, there are many cases that Korean consonants cannot be distributed in coda position. But foreign speakers cannot recognize that kind of distributional restriction in Korean language. So learners of Korean can make some ill-formed syllable structures just because of wrong application of consonants in coda position. Secondly, unmarked syllable structure should be considered for teaching of Korean coda consonants. In the view of markedness, consonant that has lower sonority is strongly restricted in coda position. So learners of Korean cannot recognize Korean coda obstruents easily. In this case, it may be useful to propose coda consonants that has higher sonority like liquid and nasal.

      • KCI등재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음운(音韻) 규칙(規則) 적용(適用)에 대한 종적(縱的) 연구(硏究) - 자음(子音)의 음운(音韻) 규칙(規則)을 중심(中心)으로-

        이화진(李華秦) ( Lee Hwa-jin ),하호빈(河鎬彬) ( Ha Ho-bi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4

        본고는 일본인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른 음운 규칙의 적용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중간언어로서의 학습자 발음 실태를 파악하는 두 차례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학습 초기에는 음운 규칙의 적용 없이 음소를 기저형 그대로 실현시키는 유형의 발음이 많이 나타났다. 반면 상당 기간의 학습이 이루어진 후에는 비교적 목표 음운 규칙의 적용이 많이 이루어졌는데, 일부 음운 규칙의 경우 학습 초기에 비해서도 낮은 적용률을 보였다. 일본인 학습자들이 적용하기 어려워하는 대표적인 한국어의 음운 규칙은‘ㄹ’의 비음화와 유음화, 그리고 유기음화로 정리된다. 특히 ‘ㄹ’의 비음화와 유기음화의 경우, 2차 실험에서 특정 항목의 실현율이 1차 실험에 비해 오히려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본인 학습자가 해당 항목의 조음 위치에서 ‘ㄹ’의 비음화와 유기음화의 적용을 어려워함을 의미하며, 나아가 해당 항목의 발음 숙달도 向上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음을 의미한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Japanese learner’s pronunciation of Korean consonant which involves phonological rules obligatory, e.g. nasalization, glottalization, ‘ㄹ’ nasalization, liquidization and aspiration. Basically, higher level’s learner pronounces L2 more fluently than the lower level’s learner. Some rules, however, cannot be applied well regardless of learner’s level. For longitudinal approach, we researched specific group which is constituted by Japanese learners who attend for the completion of entry level. As a result of the research, Japanese learners tend to represent the underlying form without any phonological process in the beginning of the course. At the end of the course, although many rules have been applied, some rules that represented in the beginning of the course are less applied. According to the research, Japanese learner struggles with the applications of ‘ㄹ’ nasalization, liquidization and aspiration. In terms of representing ‘ㄹ’ nasalization and aspiration, the learners who have not low proficiency anymore cannot depart easily from entry level due to the errors caused by imprecise place of artic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