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하이데거와 근대성의 문제 -역사적 관점에서 본 교토 학파의 하이데거 수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하피터 ( Ha Peter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4 존재론 연구 Vol.34 No.-

        이 논문의 목적은 하이데거 연구에서 그의 철학이 함축하고 있는 탈-근대적 사유를 간과한 교토 학파의 하이데거 해석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하이데거는 20세기 서양 철학에서 새로운 철학적 사유를 열어 밝힌 매우 중요한 사상가로 간주된다. 그리고 하이데거 철학에 대한 이러한 평가는 서양에서뿐만 아니라 교토 학파에 의해 동양, 즉 한국과 일본에서도 당연한 사실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역사적 관점에서 고찰 할 때, 동양에서의 하이데거 이해와 서양에서의 하이데거 이해는 동일한 지평에 서 있다고 볼 수 없다. 왜냐하면 20세기 초 서양 철학자들 특히 생철학을 지지하는 철학자들은 근대적 사유를 벗어나고자 하는 반면 일본의 사상가들은 전-근대적 사회에서 근대적 사회로 나아가는 발판을 마련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상이하게 다른 역사적 상황을 간과한 교토 학파 철학자들은 하이데거 사상이 함축하고 있는 탈-근대적 사유에 전혀 주목하지 않고 오히려 하이데거 철학을 근대에 반대되는 전통주의로 해석하고자 한다. 교토 학파 학자들은 하이데거 사상이 근대에 반대하여 전통을 지향한다는 자신들의 해석을 정당화하기 위해 근대적 개인과 대비되는 민족개념을 적극적으로 부각한다. 그리고 이러한 해석은 교토 학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쿠키의 저서 『멋[스러움]의 구조』에서 절정에 달한다. 하이데거로부터 직접적으로 철학 수업을 받은 쿠키는 일본인의 본질을 구성하는 ‘멋스러움’의 의미는 세계시민(cosmopolitan)과 대비되는 ‘민족’과 관련지어 해명될 때 비로소 이해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이데거 철학을 반-근대적 사상으로 해석하는 교토 학파에 대비되어 우리는 하이데거 철학을 탈-근대적 사유로 이해하고자 한다. 하이데거가 탈-근대적 사상을 지향한다는 사실은 그의 데카르트 주체개념 비판과 근대 시대의 본질을 특징짓는 ‘세계상의 시대’에 대한 비판에서 보여 질 수 있다. 더 나아가 하이데거의 탈-근대적 사상은 개인적 주체를 대체한 ‘민족’개념에서도 제시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민족’은 교토 학파 철학자들이 생각한것처럼 ‘피와 토양’에 근거해 있는 사회학적 민족개념이 아니다. 하이데거에 있어서 ‘민족’은 존재에 의해 구성되는 형이상학적 개념이다. 형이상학적 민족은 시원적인 존재와 관계를 맺는 공동체를 의미하며, 이렇게 이해된 공동체를 통해 하이데거는 고대 플라톤에서 시작되어 근대에서 완성된 이전 철학적 사유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탈-근대적 사유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quire into the problems in Kyoto School’s interpretation of Heidegger that overlooks the post-modern thoughts in the philosophy of Heidegger. As it is well-known, Heidegger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kers in 20th century. And this high evaluation of Heidegger’s philosophy has been claimed not only in the West but in the East, namely Japan and Korea by the influence of the Kyoto School. However, from the historical perspective, the high appreciation of Heidegger’s philosophy in the East should not be taken in the same manner as the West.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n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whereas the western philosophers, who are influenced by Lebensphilosophie, attempt to overcome the modern thoughts, the japanese philosophers seek to transform the pre-modern japanese society to the modern society. Overlooking this different historical situation between the West and the East, the Kyoto School philosophers fail to grasp the post-modern thoughts in the philosophy of Heidegger. Instead they seek to interpret Heidegger’s philosophy in terms of traditionalism that stands opposed to modernism. In order to justify this interpretation, they emphasize the concept of ‘people’(das Volk) rather than the concept of individual. And this interpretation has become strengthened by Kuki’s book Detachment, who is a prominent member in the Kyoto School. Kuki, who studied under Heidegger, argues that the meaning of ‘detachment’ that constitutes the essence of Japanese people can be only understood when it is clarified in respect to the ‘people’ rather than the ‘cosmopolitan.’ In contrast to this interpretation that focuses on the tradition of pre-modernism, we seek to understand the philosophy of Heidegger in terms of post-modernism. The post-modern feature of Heidegger’s thoughts is shown in his critique of Cartesian subject, which is regarded as the foundation of a modern subject. Moreover, Heidegger’s post-modern thoughts is presented in the concept of the ‘people’ that replaces the modern subject. However, when Heidegger speaks of the ‘people,’ he does not mean a sociological concept of the ‘people’ that is based on ‘blood and soil’ as the Kyoto School scholars believe. According to Heidegger, the ‘people’ founded in Being has a metaphysical meaning, and the metaphysical people refers to the community that is essentially bound up with the primordial beginning of Being. With this community of people, Heidegger attempts to provide a foundation of post-modern thoughts that replaces the previous philosophical thoughts from Plato to the modern philosophy.

      • KCI등재

        하이데거의 개별화된 자기성 개념

        하피터(Peter Ha) 한국현상학회 2016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71 No.-

        이 논문의 목적은 하이데거의 개별화된 자기성 개념을 짐멜의 질적 개인주의와 연관지여 해명하는 데 있다. 20세기 초 독일 철학계를 지배했던 신칸트주의와는 다른 방향에서 철학적 사유를 시도한 하이데거와 짐멜은 인간의 본질을 탐구함에 있어 보편성에 기초해 있는 근대 주체 개념을 비판한다. 특히 짐멜은 이론 이성에 기초해 있는 보편적 자아뿐만 아니라 실천 이성에 기초해 있는 ‘양적 개인주의’를 비판하면서 이것의 대안으로 ‘질적 개인주의’를 강조한다. 짐멜은 질적 개인주의의 원형을 괴테의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에서 발견한다. 이 저서에서 괴테가 주장하는 바는 인간의 이상형은 다른 누구와도 동일하지 않은 ‘개성’ 즉 질적 개인주의이며 이러한 개인주의는 시민세계와 구분되는 예술세계에서만 확립된다는 사실이다. 보편적이고 합리적인 주체를 비판하는 하이데거 또한 짐멜이 주장하는 괴테의 질적 개인주의 개념을 높이 평가한다. 이러한 연관성에서 볼 때, 한편에서는 현존재의 ‘개별화된 자기성’이 보편적 자아 또는 ‘양적 개인주의’로 규정되는 근대적 주체를 극복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개별화된 자기성’은 여전히 ‘질적 개인주의’의 사유에 머물러 있어 보인다. 하지만 엄격하게 말해서 하이데거가 말하는 현존재의 ‘개별화된 자기성’은 ‘양적 개인주의’ 뿐만 아니라 짐멜의 ‘질적 개인주의’와도 근본적으로 구분된다. 짐멜이 ‘질적 개인주의’라 부르는 괴테의 개성은 여전히 능동적인 자율적 주체와 인간이 뿌리박고 있는 전승된 세계로부터 벗어난 보편적인 세계시민주의를 전제로 한다. 이에 대비되어 하이데거의 개별화된 자기성은 수동적 자유에 머물러 있으며 이 수동적인 자유에 의거해 과거로부터 전해 내려온 세계로 부터 결코 벗어날 수 가 없다. 하이데거에 있어서 현존재의 개별화된 자기성은 이와 같이 과거로부터 전승된 고유한 세계 속에서 성립한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the meaning of Heidegger’s concept of individualized Self of Dasein in relation to Simmel’s concept of the ‘qualitative individual.’ In seeking to determine the essence of man, Heidegger and Simmel both criticize the Neo-Kantian understanding of man in terms of a universal ego. Especially, Simmel criticizes not only the universal ego of theoretical reason, but also seeks to replace the ‘quantitative individual’ with the ‘qualitative individual.’ He discovers the proto-type of ‘the qualitative individual’ in Goethe’s novel The apprenticeship of Wilhelm Meister. What Goethe pursues in this novel is to establish a ‘personal character’ that is not to be identified with anyone and this personal character is only revealed in the experience of art. Heidegger, who also rejects the universal ego, praises highly Simmel’s concept of ‘the qualitative individual.’ In respect to this, the individualized Dasein, on the one hand, overcomes the modern subject defined as the ‘quantitative individual’, but, on the other hand, it still remains under the influence of the ‘qualitative individual.’ But strictly speaking, Heidegger’s concept of ‘individualized Self’ is fundamentally distinguished from Simmel’s ‘the qualitative individual.’ The ‘qualitative individual’ is still based on an autonomous subject and it presupposes the uprooted world of cosmopolitanism. In contrast to this, Heidegger’s concept of individualized self is determined with the passive freedom and consequently, it is essentially bound up with the inherited world of the past. According to Heidegger, the individualized Self is only possible, when it is rooted in this world.

      • KCI등재

        “반-헤겔주의”로서의 하이데거 철학사상

        하피터(Peter Ha) 한국현상학회 2008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37 No.-

        이 논문의 목적은 기초존재론에서 확립된 하이데거의 사유를 거시적인 철학사적 관점에서 해명하는데 있다. 하이데거 기초존재론은 그동안 철학사적 문맥에서 주로 후설 현상학과의 연관성 속에서만 논의되어 왔다. 이 논의는 두 가지의 상반된 관점에서 진행되었는데, 한 관점은 하이데거의 사유가 후설 현상학의 연장선에 있다는 사실을 강조한 반면에, 다른 관점은 하이데거 사유가 후설 현상학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사유임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두 가지 관점을 넘어서 우리는 하이데거 사유의 본질적인 특성은 궁극적으로 “반-헤겔주의”를 지향하는데 있다는 사실을 밝히고자 한다. 비록 하이데거가 현존재의 “실존”을 “세계-내-존재”로 규정하지만, 현존재의 “실존”은 후설이 자신의 발생학적 현상학에서 발견한 “생활세계”를 포함하고 있는 “확장된 이성” 또는 “초-합리주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후설보다 전통 철학사에 더 다가가 있는 하이데거의 관점에서 볼 때 현상학적 “초-합리주의”는 신-칸트 주의와 비교할 때는 매우 독창적인 이성개념이지만, 헤겔의 사변적인 이성개념과 비교할 때는 그리 독창적이지 않다. 현상학이 진정으로 고유한 철학적 체계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헤겔철학과의 대결이 불가피하다. 하이데거는 현상학자들 중에 최초로 이러한 대결을 시도했다. 그리고 하이데거에 따르면 헤겔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대문자로서의 진리를 추구하는 “이성의 확장”이 아니라 이러한 “이성의 해체”가 요구된다. 이 “이성의 해체”를 하이데거는 역사적인 운동에서 소문자로서의 진리를 근거하는 “존재론적 차이”에서 정초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Heidegger’s fundamental ont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philosophy. Approaching from this perspective, Heidegger’s thoughts have been interpreted with respect to Husserl's phenomenology. And these interpretation proceeded in two different directions. On the one hand, it has been argued that Heidegger’s thoughts still belongs to the tradition of Husserl’s phenomenology. But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suggested that Heidegger’s fundamental ontology has nothing to do with Husserl. Against these interpretations, we want to argue that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Heidegger’s thoughts lies not in “anti-husserlianism” but in “anti-hegelianism.” Although Heidegger defines the “existence” of Dasein as “Being-in-the-world”, the “existence” of Dasein does not signify Husserl’s phenomenological concept of “expanded reason” that is rooted in the “life-world.” According to Heidegger, Husserl’s phenomenological concept of “expanded reason” is indeed an original concept in comparison to neo-kantianism, but it is not original in comparison to the philosophy of Hegel who also speaks of the importance of the sensible world in his concept of the speculative reason. So in order to demonstrate originality, phenomenologists must confront with Hegel. Heidegger is one of first phenomenologists who has performed this task. He contends that hegelism can be overcome when one emphasizes not the “expansion of reason” but the “destruction of reason” that is based on the “ontological difference.”

      • KCI등재

        현존재의 실천적 행위와 실용주의의 실천 개념

        하피터 ( Peter Ha ) 한국하이데거학회 2021 현대유럽철학연구 Vol.- No.61

        이 논문의 목적은 현존재의 실천적 행위 개념과 실용주의의 실천 개념과의 유사성을 해명하는 데 있다. 현존재의 주위세계에서 일차적으로 주어지는 사물은 주제적 대상이 아니라 무엇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이다. 그리고 하이데거는 도구가 이론적 사유보다 우위에 있는 실천적 행위에서 주어진다고 주장한다. 후설 현상학에서 직관에서 주어지는 사물과의 관계를 맺게 하는 ‘지향성’ 개념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면, 하이데거의 기초존재론에서 핵심적인 개념은 현존재의 ‘실천적 행동관계’이다. 하지만 현대 철학사에서 이론적 사유보다 실천적 행위를 강조한 최초의 철학자는 하이데거가 아니다. 사실 주위세계에서 주어지는 사물과의 관계를 맺는 데 있어 이론적 사유보다 실천적 행위를 우선시 하는 인식론은 하이데거의 현존재분석에 앞서 이미 실용주의자들에 의해 주제화 되었다. 더 나아가 하이데거의 현존재 분석처럼 실용주의 역시 ‘반주지주의‘의 경향을 띤다. 실제로 반주지주의적 입장에 서서 현존재 분석을 하는 과정에서 하이데거가 사용하는 여러 개념들--예를 들어 ‘작업세계’ ‘프라그마타,’ ‘도구의 유용성,’ ‘행위의 목적,’ 그리고 ‘실천적 행위’등--은 실용주의에서도 핵심적인 개념들이다. 따라서 반주지주의를 지향하는 하이데거 철학의 의의는 이론적 사유보다 실천적 행위가 우위에 있다는 데서 찾아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그의 철학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해서는 현존재의 실천적 행위가 실용주의에서 말하는 실천적 행위와의 연관성 속에서도 규명되어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a similarity between Heidegger's concept of Dasein as a practical act and the concept of praxis in pragmatism. In the environment of Dasein, it is not thematic objects that are proximally given but rather equipment that is used for doing something. Heidegger argues that a piece of equipment is given in the practical act that comes prior to the theoretical thinking. In this sense, while the concept of intentionality in which a relation is formed to something given to intuition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Husserl's phenomenology, in the philosophy of Heidegger, the practical act of Dasein is a decisive concept. However, in the history of contemporary philosophy, Heidegger is not the first philosopher to emphasizes the priority of practical act over theoretical thinking. In fact before Heidegger's concept of Dasien, the theory of knowledge that prioritizes practical acts over theoretical thinking has been explored by pragmatistists. Moreover, as in Heidegger's analytic of Dasein, pragmatism also has a tendency towards "anti-intellectualism." Actually, Heidegger, who analizes Dasein from a positon of "anti-intellectualism," shares many concepts such as the "work world," "pragmata," the "usability of equipment," "the purpose of act", and "practical act," with decisive concepts in pragmatism. Therefore, one can say that the significance of Heidegger's anti-intellectualist philosophy is found in its prioritzation of practical acts over theoretical thinking, and in order to understand his philosophy, the practical act of Dasein should be clarified in respect to the concept of the practical act in pragmatism.

      • 메를로-퐁티와 쾨슬러에 있어서 휴머니즘과 폭력 -메를로-퐁티의 역동적인 현상학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하피터 ( Ha Peter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2 존재론 연구 Vol.28 No.-

        이 논문의 목적은 역동적인 현상학에 입각해 공산주의 폭력을 적극적으로 옹호한 메를로-퐁티의 정치철학적 사상과 공산주의 폭력을 비판한 쾨슬러의 반공주의 사상을 비교 검토하는 데 있다. 이 비교에서 우리는 경험주의와 지성주의의 대립을 해소시키고자 한 신중한 철학자로서의 메를로 -퐁티와는 전혀 다른 모습의 메를로-퐁티를 볼 수 있다. 전통 철학적 사유를 대변하는 “고공사유”와는 근본적으로 구분되는 상황에 기초한 사유, 즉“현상적 사유”를 『지각의 현상학』에서 확립한 이후 메를로-퐁티는 『휴머니즘과 폭력』에서 새로운 현상학적 사유의 길을 열어 밝힌다. 전자는 “정태적인 현상학”으로 그리고 후자는 “역동적인 현상학”으로 지칭된다. 그리고 “역동적인 현상학”의 과제는 한 계급이 다른 계급을 지배하는 불합리한 세계구조를 변혁하는 데 있다. 메를로-퐁티에 있어서 스탈린주의가 바로 이러한 “역동적인 현상학”을 실천적으로 실행한 사상이다. 따라서 그는 스탈린 체제에서 자행된 폭력을 적극적으로 변호한다. 그 이유는 공산주의의 폭력에서는 폭력을 지속적으로 행하는 자유주의의 폭력과는 달리 폭력이 지양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쾨슬러는 러시아에서 겪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쓴 『한낮의 어둠』에서 이 같은 메를로-퐁티의 의견에 반대한다. 그에 의하면 스탈린주의의 폭력은 정당화될 수 없는 폭력이다. 왜냐하면 스탈린주의의 폭력은 자유주의의 폭력처럼 부패한 폭력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부패한 폭력에서 폭력은 결코 지양되지 않고 더 많은 폭력을 야기한다. 더 나아가 쾨슬러는 메를로-퐁티와는 달리 레닌주의에서 스탈린주의로의 이행을 공산주의 사상의 진보가 아니라 퇴보로 본다. 그는 퇴보된 스탈린주의에서 공산주의 폭력은 인류를 억압 없는 사회로 이끌려는 사회주의의 역사적 사명을 저버린 무자비한 폭력으로 전환된다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쾨슬러는 집단적 목표(억압이 없는 세상)를 위해서라면 어떤 수단(폭력)도 정당화될 수 있다는 공산주의 사상은 윤리적으로 결코 정당화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philosophical thoughts of Merleau-Ponty who positively defends the terror of communism with the thoughts of A. Koestler who criticizes Merleau-Ponty’s view. In this comparison we will ascertain a new image of Merleau-Ponty. After having established the “phenomenal thought” that is developed in Phenomenology of Perception, Merleau-Ponty in Humanism and Terror paves a new way for the phenomenological thoughts. While the former refers to “statical phenomenology,” the latter signifies “dynamic phenomenology.” And the task of “dynamic phenomenology” is to transform with praxis the world in which a dominating class exploits the working class. According to Merleau-Ponty, it is in Stalinism in which the “dynamic phenomenology” is practically realized. Hence, Merleau-Ponty defends the terror performed under Stalin’s regime, for the terror in communism sublates the violence in a social world. But in Darkness at Noon, Koestler opposes Merleau-Ponty’s opinion on terror. According to him, the terror under Stalin’s regime is unjustified because it is, just like any other terror, the corrupted terror. Furthermore, in contrast to Merleau-Ponty, Koestler does not believe that a transition from Leninism to Stalinism is a progress. Rather, it is a retrogression. And in this retrogression, the terror performed under Stalin’s regime betrays a genuine spirit of socialism and it degenerates into a barbaric terror. Finally, Koestler asserts that a new theory of revolutionary morals based on the principle “the end justifies all means” is ethically never justifiable.

      • 현존재의 “유아론적인 자기”와 “더불어 있음”(Mitsein)

        하피터 ( Peter Ha ) 한국하이데거학회 2004 존재론 연구 Vol.10 No.-

        이 논문은 하이데거의 기초 존재론에서 전개된 현존재의 유아론적 자기(solus ipse)가 함축하고 있는 독특한 의미를 해명하고자 한다. 현존재의 유아론적인 자기 개념은 하이데거의 현존재개념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많은 혼란을 야기 시키는 개념이다. 왜냐하면 이 개념은 현존재의 본질을 구성하는 탈자적인(ekstatische) 운동과 대치되는 정의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이데거의 현존재개념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현존재의 탈자적인 운동과 유아론적 자기개념의 관계를 해명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현존재의 탈자적 운동과 유아론적 자기와의 관계에 관한 일반적인 견해는 하이데거가 『존재와 시간』 전반부에서는 근대 주체개념을 해체하는 결정적인 요소로 현존재의 탈자적인 운동에 대한 분석에 심혈을 기울였지만, 후반부에 가서는 현존재의 유아론적 자기를 재등장시킴으로써 탈자적인 운동이 더 이상 현존재의 본질을 구성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해석은 한 발 더 나아가 하이데거가 데카르트 철학에 기초한 근대 형이상학적 주체 내지는 자기개념 대한 해체를 강조했음에도 불구하고, 유아론적 자기개념에서 그는 다시 근대 형이상학적 주체개념, 즉 고립된 자아개념으로 회귀하는 것으로 본다. 이러한 해석에 반하여 우리는 현존재의 유아론적 자기는 고립된 자아가 아니라 "공동존재"로 있는 자기개념으로 파악한다. 먼저 하이데거에 있어서 현존재의 자기는-유아론적 자기이건 "그들"로서의 자기이건-자기중심적인 자아의 "바깥"에 존재한다. 그리고 주체의 "바깥"에 존재하기 때문에 유아론적인 자기는 본질적으로 세계에서 타자와 함께 존재한다. 하지만 유아론적 자기의 "공동 존재"는 일상적인 세계에 매몰되어 있는 "그들"의 "공동 세계"와는 본질적으로 구분된다. "그들"과는 달리 유아론적 자기는 "무의미적인(un-bedeute) 세계" 또는 "비-관계적인 가능성의 세계"에서 타자와 함께 존재한다. 이 "무의미적인 세계"에서현존재의 유아론적 자기는 독특한 "공동세계"의 가능적 지평을 열어 밝힌다. 가능적인 것을 실현시키며 자기만족과 자기 확실성을 고집하는 "그들"의 일상적인 공동세계와는 달리 유아론적 현존재의 "공동세계"는 자기 확실성이 배제된 공동세계이다. 그리고 이 유아론적 현존재의 "공동세계"에서만 비로소 주체의 "바깥"에 있는 세계로 나아갈 수가 있는데, 그 이유는 절대로 현실화될 수 없는 존재가능, 즉 비-관계적인 가능성에 던져진 유아론적인 현존재는 자신을 지탱해 주는 중심으로서의 현실성으로부터 벗어나 있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our work is to elucidate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the solipsistic self(solus ipse) of Dasein in Heidegger's fundamental ontology. The solipsistic self is a puzzling concept that causes great confusions in an understanding of the self of Dasein.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is concept seems to contradict the other essential characteristic of Dasein which is defined as the ecstatic movement towards the world. Thu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Dasein in Heidegger's thoughts,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relation between the solipsistic self and the ecstatic movement of Dasein. For the most part, this relation has been understood in such a way that, though Heidegger seeks to destruct the modern metaphysical concept of the worldless ego by emphasizing the ec-static movement of Dasein at the beginning of the existential analytic of Dasien, his introduction of the solipsistic self at the middle of Being and Time represents the rejection of the ec-static movement as the essential characteristic of Dasein. Furthermore, the common view makes a claim that the solipsistic self leads us back into modern Cartesian concept of an isolated self despite the assertion of the destruction modern subjectivity in Heidegger's fundamental ontology. Against these common views, we seek to understand the solipsistic self not as an isolated ego but as the communal self with others. For Heidegger, the self of Dasein-whether it is a solipsistic self or the "they"-exists "outside" of the self-centered ego. Since the solipsistic self exists "outside" of ego, it is essentially in the world with others. The "Being-with" of the solipsistic self, however, is ditinguished from the "Being-with" of "they" which is absorbed into the everyday world. In contrast to "they", the solipsistic self exists with others in the "insignificant world" or the "world of non-relational possibility". In this "insignificant world", the solipsistic self discloses the condition of possibility for the peculiar" communal world". In contrast to the "communal world" of "they", in which Dasein seeks a self-certainty and self-assurance by actualizing a possibility of equipment, the "communal world" of the solipsistic self excludes the self-certainty of Dasein. It is only by the "communal world" of the solipsistic self that Dasein finally escapes the closure of ego and transcends towards the world that exists "outside" of subject.

      • KCI등재
      • 하이데거의 기분(Stimmung)과 셸러의 감지(das Fuhlen)에 대한 비교

        하피터 ( Ha Peter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1 존재론 연구 Vol.27 No.-

        이 논문의 목적은 M. 셸러의 감지개념과는 근본적으로 구분되는 하이데거의 기분개념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하이데거의 철학사상은 후설 현상학과의 연관성 속에서 고찰되고 있다. 그리고 이성을 중시하는 후설 현상학과 대비되는 하이데거의 철학적 사상은 반/이성주의 사상으로 규정되며, 이러한 반/이성주의 사상의 핵심은 “기분” 개념에서 잘 드러난다. 그러나 현상학의 발전에 있어서 하이데거 이전에 이미 셸러가 전통 철학적 감정개념과 구분되는 감지개념을 강조함으로써 이성 중심주의적인 후설 현상 학과는 다른 현상학적 사유를 확립하고자 시도했다. 정서적인 현상학에서 그는 도덕적 질서와 법칙들은 이성과 선험성에 속해 있으며, 이성에 속해 있지 않은 정서적인 활동은 경험적인 영역에 있다는 근대 철학적 편견에 맞서 “정서적인 선천주의(emotive apriorism)”를 정초하고자 한다. 그런데 셸러가 “정서적인 선천주의”를 말할 때, 그의 정서개념은 주체의 활동에 속해 있는 감정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셸러는 자신의 정서적 현상학에서 “감정(Gefuhl)”과 “감지(das Fuhlen)”를 엄격하게 구분한다. 그에게서 정서개념은 탈-주체적인 지향적인 감지 작용을 지칭한다.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기분”개념은 이와 같은 셸러의 고유한 정서개념으로부터 강력한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하이데거의 “기분”개념은 셸러의 지향적인 감지와는 엄격하게 구분된다. 비록 셸러는 탈-주체적인 정서활동을 언급함에도 불구하고, 그가 말하는 정서는 “자기(self)”를 전제로 하고 있다. 이와 달리 하이데거의 “기분”은 “자기”를 철저히 배제시킨다. 하이데거는 “자기성”이 빠진 정서활동을 현존재의 독특한 기분인 “공포(Furcht)”에서 밝혀 보인다. 현존재의 “자기상실”이 드러나는 공포에서 우리는 비로소 아직도 현상학적 심리학에 머물고 있는 셸러의 지향적인 감지 작용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존재론적 감정의 토대를 발견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the concept of mood in the philosophy of Heidegger that is fundamentally distinguished from the concept of “feeling” in Scheler. Generally, the philosophical thoughts of Heidegger have been investigated in relation to Husserl’s phenomenology. And Heidegger’s philosophical thoughts that are against the rationalistic view of Husserl are defined as a kind of anti-rationalism, and this anti-rationalistic features of his thoughts have been clarified in respect to the concept of “mood.” In the development of phenomenology, however, Scheler who discovers the intentional feeling that is radicall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concept of feeling also tries to break away from the logos-centered philosophy of Husserl. In an opposition to the traditional view, which advocates that while moral laws based on reason belong to the a priori, emotional acts independent from reason belong to the empirical realm, Scheler seeks to establish the “emotive apriorism.” But when he speaks of the “emotive apriorism,” his concept of feeling does mean the state of feeling that takes place in the subject. In his phenomenology, Scheler makes a distinction between “das Fuhlen” and “Gefuhl.” His concept of feeling signifies the former that is trans-subjective. Heidegger’s concept of “mood” is greatly influenced by Scheler’s concept of “das Fuhlen.” However, the concept of “mood” is distinguished from “das Fuhlen.” Although Scheler mentions the trans-subjective feeling in terms of “das Fuhlen,” this feeling still presupposes the self. In contrast to this, in concept of “mood,” the self is excluded. Heidegger unveils this peculiar mood in the phenomenon of “fear(Furcht).” Thus, in the phenomenon of “fear” one can ascertain the trans-subjective (ontological) mood that goes beyond Scheler’s concept of the intentional feeling still remained in the psychological realm.

      • 하이데거에게서 현존재의 초월개념 - 비-대칭적인 수직적 관계에 관하여 -

        하피터 ( Peter Ha ) 한국하이데거학회 2006 존재론 연구 Vol.14 No.-

        이 논문의 목적은 하이데거에게서 현존재의 초월이 함축하고 있는 근본적인 의미를 규명하는 데 있다. 기초존재론에서 해이데거는 현존재는 내재적인 의식으로부터 벗어나 세계에 존재한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현존재는 초월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현존재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개념인 초월은 제대로 이해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초월개념은 그 동안 고전 인식론적 문제, 즉 어떻게 내면적인 의식에 갇힌 자아가 세계로 초월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과 연관되어 이(오)해되어 왔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이러한 고전 인식론적 문제 틀 속에서 이해된 현존재의 초월개념은 “표상의 지향성” 아래에서 작동하는 후설의 “기능적 지향성”과 동일시되기도 한다. 그러나 현존재의 초월과 후설의 “기능적 지향성”개념은 근본적인 차이점을 지니고 있다. “기능적 지향성”은 주-객관의 관계를 수평적인 차원에 있는 존재자와 존재자의 상호관계로만 파악하는 반면, 하이데거에 있어서 현존재의 초월은 존재자 너머에 있는 존재와 관계한다. 따라서 우리는 존재와 관계하는 현존재의 초월을 통해 “기능적 지향성”에서는 드러나지 않는 “수직적 관계”를 볼 수 있다. 그런데 존재와의 수직적 관계는 동시에 비-대칭적이다. 왜냐하면 존재와의 수직적 관계는 궁극적으로 “무”로 향하는 운동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무”로 향하는 초월에서 현존재의 내면성은 와해된다. 이러한 “무”와의 비-대칭적인 수직관계에서 우리는 하이데거가 후설의 지향성 개념이 봉착하게 되는 의식의 내재성을 극복하는지를 해명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transcendence of Dasein. Heidegger argues in fundamental ontology that Dasein is beyond the immanent consciousness and exists in the world, because it is essentially constituted in transcendence. The genuine meaning of transcendence, however, has not been properly understood. This concept of transcendence is mainly interpreted as a solution for the classical problem of modern epistemology, namely, how an encapsulated ego is able to transcend itself toward the world. Understood in this manner, transcendence of Dasein is, quite often, equated with Husserl's intentionality, epecially the "operative intentionality", which functions beneath the intentionality of representation. There is, however, a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ranscendence of Dasein and the "operative intentionality". Unlike the "operative intentionality", which deals with the correlative relation between a subject (a being) and an object (a being) in the horizontal dimension, transcendence of Dasein concerns the relation between a being and Being, which lies beyond beings. Hence in contrast to the "operative intentionality", there is a vertical relation in transcendence of Dasein. But this vertical relation is, at the same time, the asymmetrical relation, in which when Dasein transcends toward Being, it directs to Nothing. With this asymmetrically vertical relation, we can finally see how Heidegger deconstructs the immanent consciousness and furthermore overcomes the paradox of "transcendence in immanence" in Husserl's phenomenology.

      • 하이데거의 회화론-반 고흐의 구두회화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하피터 ( Peter Ha ) 한국하이데거학회 2007 존재론 연구 Vol.16 No.-

        이 논문은 하이데거의 회화론을 반 고흐의 구두회화 분석에 입각해 해명하고자 한다. 전통 회화론과는 달리 하이데거는 회화의 본질을 “미”개념이 아닌 “진리”개념에서 찾는다. 그런데 여기서 언급되는 진리는 전통 형이상학적 진리개념처럼 대상과의 “일치함”이 아니라, 도구의 기능에 대한 “비은폐성”을 의미한다. 도구의 진정한 기능은 비목적론적인 가능성에 있는데, 이러한 가능성은 비일상적인 세계에서만 만날 수 있다. 그리고 일상적인 세계에서는 감추어져 있는 비일상적인 세계는 회화에서 체험될 수 있다. 반 고흐의 촌 아낙네 구두회화에서 비일상적인 세계와 거기에 속해 있는 도구의 진리는 화가의 천재적 예술행위에 의해 구두도구가 화폭위에 재현될 때 비로소 열려 밝혀진다. 그러나 하이데거에게서 화가의 천재적 행위는 세계와는 무관한 채 허공에 떠 있는 개별적인 주체에 속해 있는 자유로운 행위를 의미하지 않는다. 화가의 창조적 행위는 근본적으로 “민족”을 전제로 하며, 또한 전승된 문화를 의미하는 “대지”에 뿌리박고 있다. 이러한 사실을 우리는 하이데거의 회화론에서 확인할 수 있다. 촌 아낙네의 구두를 재현한 반 고흐의 구두회화에 대한 분석에서 하이데거는 실존적인 진리개념의 가능조건인 미학적 자유, 즉 “유희공간”이 세계에 던져져 있음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This paper seeks to clarify Heidegger’s theory of painting based on his analysis of Van Gogh’s “Shoes of the Peasant”. In contrast to the traditional theory of painting, Heidegger claims that the essence of painting is found not in the concept of beauty but in the concept of truth. However, when Heidegger speaks of truth, he does not mean the traditional concept of truth in terms of “correspondence” with objects; rather he means the “uncealedness” of the function of equipment. The genuine function of equipment refers to the nonteleological possibility that is only discovered when the everydayness collapses. And according to Heidegger, we can encounter the collapse of everydayness in Van Gogh’s “Shoes of the Peasant”. In Van Gogh’s painting, in which the essence of shoes equipment is represented on the canvas by the ingenious creativity of an artist, one can indeed encounter the truth of equipment, i.e., non-teleological possibility in the uncanny world. However for Heidegger, the creative art work by an artist is not equated with the free-floating freedom belonged to the individual subject. The creativity of an artist fundamentally presupposes the spirit of people, and it is rooted in the inherited cultural tradition, which Heidegger calls “earth.” This creativity is ascertained in Van Gogh’s painting. In the analysis of the represented equipment shown in Van Gogh’s painting, Heidegger clearly indicates that the aesthetic freedom, namely, leeway, which is the condition of possibility for the existential concept of truth, is indeed thrown freedom in the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