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봉(杲峰) 황성기(黃晟起)의 불교개혁론(佛敎改革論)과 보살불교(菩薩佛敎)

        하춘생 ( Ha Choon-sang )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2016 密敎學報 Vol.17 No.-

        杲峰 黃晟起(1919-1979)는 지난했던 일제강점기와 광복이후의 현대기를 살다간 선각자이다. 그는 당대가 당면한 불교개혁의 사상적ㆍ실천적 토대로서 보살불교를 몸소 실천한 승려요 대학교수였다. 불교학문이 고양될수록 교단을 향한 그의 불교개혁론은 더욱 빛을 발했거니와, 불교개혁을 위한 실천운동에 적극 나서게 되는 토대로 작용했다. 고봉의 평소지론인 보살불교는 불교의 敎育ㆍ布敎ㆍ儀式 등 3대 분야에서 현대화ㆍ대중화ㆍ생활화를 갈망했던 불교개혁의 사상적ㆍ실천적 기반이었다. 1954년 5월부터 1970년에 이르기까지 ‘淨化’라는 명분을 앞세워 심한 갈등을 빚었던 교단분규로 말미암아 침체할 대로 침체했던 불교의 위상을 바로 세우기 위해서는 이들 분야에서 현대 화대중화생활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신념에 따른 것이었다. 고봉은 교단분규의 주체였던 한쪽에 대해서는 “禪만이 유일한 불교수행 방법이요 다른 것은 외도의 짓이라는 이론만으로는 불교가 되는 것이 아니며 실천(보살행)이 없는 공리공론은 한 푼의 가치도 없다.”고 질타했다. 또 다른 한쪽을 향해서는 “종교적 실천(보살행) 없이 대처행위를 대승불교라고 내세운다면 염치없는 권리주장에 지나지 않는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고봉의 이러한 불교개혁론과 실천적 지표는 보살승에 대한 분명한 사상성에 의거하고 있다. 그것은 오늘날에도 대승불교임을 자임 하고 있는 한국불교가 그 지향을 어디에 두어야 하는가를 거듭 확인 해주는 일이다. Gobong Hwang Seong-gi( 1919-1979) is a pioneer who lived the Japanese colonial era, which was very difficult and the modem times after the restoration of Korean independence. He was a monk and college professor, who himself practiced Bodhisattva Buddhism as the ideological and practical grounds of the reform of Buddhism his times confronted. As studies of Buddhism were enhanced, his theory of the Buddhist reformism gave out brighter light and acted as the basis of the active start of a practical movement for the reform of Buddhism. Gobong’s pet theory of ordinary times, Bodhisattva Buddhism, was the ideological and practical basis for the reform of Buddhism, which craved for modernization, popularization, and habituation in three areas of Buddhism, such as education, propagation and ritual. That acted upon his belief that modernization, popularization, and habituation should be achieved in these areas in order to set the status of Buddhism right, which had been as stagnant as it could get due to complications in Buddhism, which caused severe conflicts, claiming the moral obligation of ‘purification’ from May 1954 through 1970. Gobong denounced one side, the subject of complications in Buddhism, saying, “The theory that sun(zen) is the only method of Buddhist performances and others are unfaithful acts does not make Buddhism, and speculative theories without practice (Bodhisattva conduct) are not worth a penny.” He clarified his position that “asserting the act of keeping a wife as Mahayana Buddhism without religious practice (Bodhisattva conduct) is a mere unscrupulous claim of a right” to the other side. Gobong’s theory of the reform of Buddhism and practical indicators are based on a clear thought about a householder Bodhisattva. That repeatedly confirms what Korean Buddhism, posing as Mahayana Buddhism today should be directed at.

      • KCI등재

        만공월면의 비구니 참선교육과 그 의의

        하춘생 ( Ha¸ Choon-sang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20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6 No.3

        본 논문은 오늘날 한국 간화선풍의 초석을 다진 만공월면(滿空月面, 1871~1946)의 비구니 참선교육과 그 의의를 고찰한 글이다. 만공은 비구니납자들에게 시대를 통찰하고 직시할 수 있는 지혜로운 눈[虎示見호시견]이 되어줄 것을 당부했다. 그것의 수시점검은 문답상량[법거량]으로 이뤄졌다. 대신심·대분심·대의심이라는 간화선의 세 가지 요소를 접목하면서 대의대오(大疑大悟)의 기개를 전수한 것이었다. 만공은 또한 민족적 가치의 총화로서 조선불교의 정체성과 수선가풍을 호지계승해 줄 것을 갈망했다. 비구니납자들에게 용맹정진을 재촉하는 게문·게송을 내려 공부의 도를 묻고 또 물었던[牛步行우보행] 까닭이 그것이다. 만공회상에서 한소식을 접한 비구니들은 만공으로부터 인가받거나 당호 내지 게문을 받아 지닌 벅찬 감화로써 오후보림(悟後保任)했거니와, 그들의 기개는 불조정맥(佛祖正脈)의 수행정법을 계승해 조선불교의 왜색화 내지 식민지불교를 거부하는 시대정신으로 갈무리되었다. 만공은 이렇듯 불퇴전의 참선자세로 마음지옥을 극복해 마음극락[唯心淨土유심정토]을 이루고 그것이 현실극락으로 전환되도록 모든 제접납자들에게 사상적·종교적 시대정신을 심어준 선지식이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Ven. Mangong Wolmyeon's Seon-education for bhikkhunis and its significance, he laid a cornerstone of the Korean tradition of Ganhwaseon. Ven. Mangong asked for the bhikkhuni Seon practitioners to keep their tiger-like eyes[虎示見] seeing through the truth of that period. His supervision was given from time to time in a form of Dhamma Debate(擧揚) which was a kind of active discussion about Dhamma between the master and the practitioners. He grafted onto the Ganhwaseon discipline three elements of Great Faith(大信心: deep belief in the truth), Great Indignation(大憤心: indignation for oneself who can’t attain mastery) and Great Doubt(大疑心: deep question for disciplines). In other words, he passed down the spirit of Great Doubt & Enlightenment. He was longing for the bhikkhunis to keep the tradition of Seon practice and to succeed the identity of Joseon Buddhism as integrity of national value. That was the reason why he handed down the poetic writings & praising to the bhikkhunis which stimulated their devotion of learning, and inquired them into the development of Seon practice. On the other hand their Spirit succeeded the right disciplines and wisdom of Buddha, they rejected the Japanese style buddhism or Japanese colonialism against the Joseon Buddhism, which became integrated the Spirit of the Times. Like this, Ven. Mangong had shown the real attitude of Seon meditation by overcoming the hell in mind and by setting up the heaven in mind. In order that the Mind Heaven[唯心淨土] may turn into the Real Paradise[現實極樂], Ven. Mangong was the very master of high virtue of Korean Buddhism who implanted philosophical and religious spirit of the Times for all the registered Bhikkhus & Bhikkhunis.

      • KCI등재

        현대 정보사회에서 팔경법의 적용문제 고찰

        하춘생 ( Choon Sang Ha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4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0 No.1

        본 논문은 팔경법(八敬法)이 현대 정보사회에서도 타당하게 적용될 수 있는가를 고찰한 글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현대 정보사회는 그야말로 찰나(刹那)를 다투는 급변(急變)과 주-객체간의 관계망(網)에서 정보의 습득을 통한 평가-선택-효용성 등의 순환과정을 거치며 끊임없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사회이다. 이러한 순환과정에서 최우선으로 중시되는 덕목이 커뮤니케이션(소통화합)과 평등성이다. 정보와 새로운 지식 사이에서 교량역할을 하는 관계망이 커뮤니 케이션이요, 이들 간의 원만한 교류를 담보해주는 상호가치가 평등성에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정보사회의 관계구조는 부처님이 기필코 구현하고자 했던 대중의 평등성과, 계율덕목보다도 우선으로 중시했던 소통화합의 교훈과 일맥상통하는 바가 있다. 대중의 평등성은 부처님 재세 시 초기교단에서부터 실천되었던 공동체 운영의 기본지표였다. 대중의 평등한 관계는 자연스럽게 화합중을 이루어 상구보리 하화중생(上求菩提下化衆生)의 노정(路程)에서 용맹정진할 수 있도록 촉(促)했다. 부처님의 진의(眞意)가 이와 같다면 대중의 차별성을, 특히 동일한 심신출가자(心身出家者)인 비구와 비구니의 지위를 고귀하고 저열한 관계로 규정해 수지봉행하도록 부촉했을 리 만무하다. 율장이든 경장이든 부처님의 말씀을 결집한 모든 내용은 부처님의 이러한 진의를 전제하고 있어야 하며, 이에 반하는 부촉이 있다면 그것이야말로 부처님의 뜻을 왜곡해 후대에 인위적으로 삽입한 내용이라고 보아도 무방하다는 생각이다. 돌이켜보건대“소소계(小小戒)는 버려도 좋다”는 부처님의 유훈은 생전에 불가피한 방편설이 적지 않았다는 부처님 스스로의 고백일 수 있다. 비구와 비구니의 차별성을 극명하게 드러낸 팔경법이 방편설로서 철칙일 수 없으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적용방식을 달리해도 전통에 어긋난다거나 여법성(如法性)을 벗어난 범계(犯戒)행위가 될 수 없다는 논의가 가능한 이유를 여기서 찾을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팔경법은21세기 정보사회로 대변되는 현대사회의 전반적인 분위기와 패러다임(paradigm), 남녀 간의 관계구조 차원에서도 시급히 탈각해야 할 구습(舊習)으로 다가선다. 팔경법의 제정취지와 관련해 무엇보다도 부처님의 의중으로 들어가 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부처님의 진의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을 때 그동안의 외람(猥濫)되고 축자적(逐字的)인 사고의 틀을 벗고 여실지견(如實知見)하는 정견(正見)의 지혜를 현실에 반영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This is a thesis to study if the Eight Grave Rules can be well applied and practiced in this information-oriented society or not. As we all know, modern information society is working under the transient change of moments and yet constantly creating some new knowledges through the network of subject-object relationship, by proposing a kind of feedback, circulated process of ``evaluation-choice-effect`` on the previously acquired informations. The first, top priority among virtues in this cyclic process is laid on our harmonious communication and equality. Communication means a kind of network like making bridge between informations and new knowledge. Equality guarantees the harmonious complete interaction as mutual value. Modern relational structure of information society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equality, harmony and concord that the Buddha taught and thought as top priority in his sangha. People`s equality was one of basic principles to manage sangha from the primitive period during Buddha`s lifetime, which made people naturally harmonious group and for them eager to seek upper enlightenment and render it down to the other people. If it is true that Buddha had such intention of equality and harmony, there`s no way to set up any discriminative rules or precepts, even especially no way to point out and determine low and high status among ordained people. Whether Sutras or Vinayas, those canon must preserve Buddha`s real meaning of instruction, if there`s any literature against his real intention, I think, it can be right to consider it inserted on purpose after Buddha`s lifetime. Reflecting on an instruction-"trivial precepts can be ignored", it seems to be a kind of spontaneous confession that Buddha himself talked trivial precepts as a means to teach people at his lifetime. Therefore the Eight Grave Rules showing discrimination clearly between bikku(monk) and biksuni(nun), cannot be a concrete and immutable principle. It is the reason to be able to argue on such issues of sila-violation, adaptability and orthodoxy in relation to that the Eight rules can be appli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ime and the place. In conclusion, the Eight Grave Rules are now thought as out of date practice, moreover need re-interpretation in order to fit this information age and its gender equality as well. It is mandatory for us to go back and search the Buddha`s real intention to require those rules to his disciples. With tracing instruction to its origin, we can avoid making mistakes in understanding by words, and can do better interpretation and practice the wisdom of Right Vision in real life.

      • KCI등재

        노천 월하의 포교인식과 실천이념

        하춘생 ( Choon Sang Ha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4 禪文化硏究 Vol.17 No.-

        노천당 월하(老天堂 月下, 1915~2003)는 해방이후 지금의 대한불교조계종의 성립과정에 주체적으로 참여했던 주역의 일원이요, 쇠락일로에 접한 영축산 통도사를 일대 쇄신하고 오늘날 총림살림의 기반을 구축했던 현대사의 산 증인이다. 본 논문은 월하가 일생을 통해 보여준 포교인식과 실천이념을 고찰한 글이다. 월하의 출가행장에서 살필 수 있는 삶의 특징적 가치는, · 극기추상 대인춘풍(克己秋霜 對人春風)의 기품 · 청정가풍 불조혜명 기치 든 행동가 · 군단포(軍團砲)로 상징되는 포교실천가 · 합리적인 절대권력의 교화행자 · 하심의 화신으로 칭송된 육바라밀행자 등으로 정리된다. 월하의 출가정신은 그렇듯 분명했다. 안으로는 청정가풍을 실현하기 위한 지계정진의 끈을 놓은바 없으며, 밖으로는 처처에 대중포교도량을 시설해 전법교화에 거침없는 행보를 보여주었다. 월하가 해방이후 교단정화운동에 핵심인물로 참가해 오늘날 조계종 출범에 일대 전기를 제공해준 일을 비롯해, 동국대 이사장 재직 시 학교를 불교대학과 여타 단과 대학으로 분리·운영케 하려고 했던 정부의 농간을 막아내고 학교를 지켜낸 일, 총림의 방장으로서 지역포교당이 전법교화의 수범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은 일, 노인복지법인 설립의 원력을 기필코 구현한 일, 통도사 경내에 포교와 신행의 공간이 어우러지는 설법전을 조성한 일, 문화포교의 공간역할을 다하고 있는 성보박물관 건립예산의 난제를 해결해준 일 등의 행장은 그의 원력과 성정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여타의 교구본사나 주요 문화재관람료 징수사찰들이 매너리즘(mannerism)에 빠져 있을 때도 통도사가 총림살림과 신행활동에 있어서 질서정연하면서도 역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었던 것은 방장의 소임을 다한 월하의 ‘준엄한 덕’에 따른 결실이었다. 월하의 이러한 성품과 행적은 오늘날 수행의 상실과 서구기독문명의 급속확산으로 위기를 맞고 있는 한국불교의 바로미터(barometer)가 될 수 있을 것이다. Ven. Nocheon Wolha(老天月下, 1915~2003) was a living witness who played a leading role in founding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after 1945 when Korea gained independence, and who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the full monastic training temple in Mt. Yeongchuk by changing Tongdosa Temple completely. This paper is to examine his awareness of Buddhist propagation and idea of practice through his whole life. His character as a monk is said as follows: the elegant monk who keep his private and public life separate clearly as it was expressed by his self-control like the autumn frost and his relationship with others like the spring breeze; the doer who put up the banner of establishing the pure practical tradition and succeeding the wisdom of Buddhas and masters; the Buddhist protagonist who was symbolized by the corps artillery; the educational guide who had the absolute but rational power; and the practitioner of the Bodhisattvas’ Six Perfections, who was admired to be the incarnation of humility or lowering his mind. His consciousness as a monk is shown explicitly like the following: He would never give up trying to keep Buddhist precepts for realizing the pure practical tradition inside, and would show his feisty stride for Buddhist propagation and education outside by building public Buddhist centers all over the country. His aspiration for and attitude to the Jogye Order is revealed by his activities as follows. He gave the turning point in the establishment of the Jogye Order with his playing a key role in the Purification Movement after 1945. When he was the chief director of the Dongguk University, he prevented the government from trying to divide the university between the Buddhist College and other colleges, and kept the university as it was. As the spiritual master of the full monastic training temple of Tongdosa Temple, he supported, spiritually and materially, many Buddhist propagation centers, which were standing the name of Tongdosa Temple, in playing exemplary roles for the Buddhist propagation. He realized his wish for the welfare organization for the aged and built the Dharma Talk Hall inside Tongdosa Temple for both the propagation and the practice. Also, he immediately solved the budgetary problem for building the Buddhist Museum and help it playing the key role of the cultural propagation. It was absolutely thanks to his strict virtue that, while other district main temples or some temples collecting the Cultural Property Admission Fee felt into mannerism, Tongdosa Temple could be managed in good order and propagate actively. Ven. Wolha’s life and his character can be said to be the barometer of Korean Buddhism which gets into a desperately dangerous situation from the lost of practice inside and the proliferation of Western Christian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