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계열 분석 기반 신뢰구간 추정을 활용한 항만 물동량 이상감지 방안

        하준수(Ha, Jun-Su),나준호(Na, Joon-Ho),조광휘(Cho Kwang-Hee),헌구(Ha, Hun-Koo) 한국항만경제학회 2021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7 No.1

        부산항의 부두 장치율은 지난 3년동안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다. 부두 장치율 상승은 컨테이너 재조작을 야기하여 부두 노동자의 업무 강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장치율 상승이 장기화될 경우 선주의 대기 시간을 증가시켜 항만의 서비스 수준이 하락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부두 장치율 상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수요예측치의 신뢰구간 추정을 활용한 항만 물동량 이상감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수요예측 방법론은 ARIMA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실증 분석을 위해 사용된 자료는 2013년 1월 1일부터 2020년 10월 12일까지 총 2841일 동안의 부산항 전체 일별 물동량 자료 및 9개 부두의 일별 물동량 자료이다. 기존에 항만 물동량을 예측하는 대부분의 연구는 주로 장기 예측에 초점을 맞추었다. 일별, 부두별 부산항 물동량 자료를 활용하여 단기 물동량을 예측하고 예측치를 기반으로 부두 장치율 관리 방안을 제시한 본 연구는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Port congestion rate at Busan Port has increased for three years. Port congestion causes container reconditioning, which increases the dockyard labor"s work intensity and ship owner"s waiting time. If congestion is prolonged, it can cause a drop in port service level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n anomaly detection method using ARIMA(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model with the daily volume data from 2013 to 2020. Most of the research that predicts port volume is mainly focusing on long-term forecasting. Furthermore, studies suggesting methods to utilize demand forecasting in terms of port operations are hard to find.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way to use daily demand forecasting for port anomaly detection to solve the congestion problem at Busan port.

      • 관로, 관망 : 하수관거 배출 유형별 오염부하 산정

        하준수 ( Joon Su Ha ),김성원 ( Sung Won Kim ),박후원 ( Hoo Won Park ),박재형 ( Jae Hyung Park ),소윤수 ( Yun Soo So ),김영배 ( Young Bae Kim ) 대한상하수도학회 2007 공동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07 No.-

        한강수계의 효율적인 수질관리를 위해서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중장기적인 기술지원체계의 확립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하수관거의 배출 형태에 따른 오염부하 및 물수지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천 지역의 처리구역에 포함된 처리 분구별로 연속유량과 건기 및 강우시의 수질조사를 수행함으로서 조사구역의 불명수를 중심으로 하수관거 배출 유형별 오염 부하를 산정하였다. 하수관거 중심의 오염부하 수지 구성요소는 오염발생원 부하, 부정류 유입부하 (I/I)와 유출부하 (SSOs) 및 누수부하와 처리장 유입부하로 고려하였다. 발생원 오염부하는 생활계 오염부하를 기준으로 산출하였으며, I/I 및 SSOs는 실측자료 및 물수지 산정시 도출한 비율을 고려하여 산출하였고 하수처리장 유입부하는 처리장 운영자료를 분석하여 산출하였다. 건기시 분류식 오수관거의 물질수지 산정결과 BOD 기준으로 유입부하가 5,229.7kg/d, 유출부하가 5,548.5kg/d로 유입량이 318.8kg/d 적게 산정되었다. 이는 하수처리장의 유입자료와 실측된 I/I 및 누수 유량과 부하는 2006년의 자료를 사용한 반면 처리구역의 인구현황 및 발생원의 배출부하는 2005년 자료를 사용한 결과 발생된 시간적 오류로 사료된다. 강우시 처리장 유입부하는 누적강우량 10.5mm를 초과 강우사상에 유입한 하수량과 부하를 적용하였다. 강우 유입수에 의한 유입부하는 문헌자료(KEI, 2002)의 EMC 자료를 이용하고 물수지에서 산정된 발생량(7,526 m3/일)을 기준으로 유추하였다. 우기시 분류식 오수관거의 물질수지 산정결과 유입 부하가 5,055.7kg/d, 유출부하가 5,371.0kg/d로 유입량이 315.3kg/d 크게 산정되는데, 이는 발생원의 배출부하에 관련된 오류뿐만 아니라 하수관거에 침전된 퇴적물이 강우에 의해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면서 나타난 차이도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관측정 자연표류 실험을 통한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 오염 지하수의 생물학적 복원 타당성 연구

        김영,김진욱,철윤,김남희,홍광표,권수열,안영호,하준수,박후원,Kim Young,Kim Jin-Wook,Ha Chul-Yoon,Kim Nam-Hee,Hong Kwang-Pyo,Kwon Soo-Yul,Ahn Young-Ho,Ha Joon-Su,Park Hoo-Won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5 지하수토양환경 Vol.10 No.3

        본 연구는 현장 관측정 자연표류 실험 (SWNDT, Single-Well Natural Drift Test) 을 이용하여 트리클로로에틸렌 (TCE, trichloroethylene) 으로 오염된 지하수의 생물학적 복원 가능성 조사 방법 및 결과 해석법을 제시하였다. 현장 SWNDT 실험에 사용한 용액은 일정 양의 추적자 (브롬이온), 생분해 기질 (톨루엔, 에틸렌, 용존산소, 질산성질소) 을 현장 지하수에 용해시켜 준비한다. 준비된 실험용액을 대수층에 주입하고, 주입 시 시료를 채취하여 추적자와 생 분해 기질들의 초기 농도를 측정한다 주업 후 시간에 따라서 시료를 채취하여 추적자, 생분해 기질, 생분해 부산물들의 농도를 측정한다. 현장 SWNDT 실험은 생분해 기질과 추적자의 상대적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Push-pull Transport Test (PPTT), 토착 미생물의 양과 활성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Drift Biostimulation Test (DBT), 트리클로로에틸렌과 미생물 반응이 유사하리라 예상되는 기질을 시험하기 위한 Drift Surrogate Activity Test (DSAT) 순으로 진행되었다 SWNDT 실험 양수 시 추적자로 사용한 브롬이용의 농도변화 곡선은 톨루엔, 에틸렌, 용존산소, 질산성 질소 농도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즉 대수층에서의 생분해 기질들의 이송이 추적자와 유사함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토착 톨루엔산화 미생물의 존재를 톨루엔 농도의 감소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발생 및 용존산소 농도의 감소로 확인하였고, 그 톨루엔 산화 미생물은 트리클로로에틸렌 생분해 유사기질로 사용된 에틸렌을 분해하며, 부산물로 산화에틸렌 (ethylene oxide) 을 생성하였다. 이는 DBT 실험을 통하여 활성화된 톨루엔 분해 미생물이 트리클로로에틸렌 분해능이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현장 SWNDT 실험 방법 및 결과 해석 방법은 트리클로로에틸렌으로 대표되는 염화 지방족 탄회수소화합물(Chlorinated Aliphatic Hydrocarbons, CAHs)로 오염된 지하수의 생물학적 복원 타당성 평가를 위한 경제적이고 용이한 현장 실험 방법이다. The feasibility of stimulating in situ aerobic cometabolic activity of indigenous microorganisms was investigated in a trichloroethylene (TCE)-contaminated aquifer. A series of single-well natural drift tests (SWNDTs) was conducted by injecting site groundwater amended with a bromide tracer and combinations of toluene, oxygen, nitrate, ethylene and TCE into an existing monitoring well and by sampling the same well over time. Three field tests, Push-pull Transport Test, Drift Biostimulation Test, and Drift Surrogate Activity Test, were performed in sequence. Initial rate of toluene degradation was much faster than the rate of bromide dilution resulting from natural groundwater drift, indicating stimulation of indigenous toluene-oxidizing microorganisms. Transformation of ethylene, a surrogate probing overall activity of TCE transformation, was also observed, and its transformation results in the production of ethylene oxide, suggesting that some tolueneoxidizing microorganisms stimulated may express a orthomonooxygenase enzyme. Also in situ transformation of TCE was confirmed by greater retardation of TCE than bromide after the stimulation of toluene-oxidizing microorganism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 this environment, toluene and oxygen additions stimulated the growth and aerobic cometabolic activity of indigenous microorganisms expressing orthomonooxygenase enzymes. The simple, low-cost field test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provides an effective method for conducting rapid field assessments and pilot testing of aerobic cometabolism, which has previously hindered application of this technology to groundwater remed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