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석독구결에 나타난 시간 표현 문법 형태 연구

        하정수(Ha, Jeongsoo) 국제언어문학회 2018 國際言語文學 Vol.- No.39

        본 논문은 “구역인왕경상(舊譯仁王經上)”에 기입된 석독구결을 판독하여 그 석독구결로 표상된 당시 언어 표현의 시간 표현 문법 형태를 분석하여 그 형태의 문법 기능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자토석독구결 자료인 “구역인왕경”의 경문을 원측이 찬한 인왕경소 및 재조본 고려대장경에 수록된 구역인왕경의 경문과 교감하였다. 그 결과 “구역인왕경”의 경문은 고려대장경 판본보다는 원측의 인왕경소 경문에 더 가까웠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에 따라 “구역인왕경”의 석독구결을 해독하는 데 있어 원측의 인왕경소을 활용하였다. 실제로 인왕경소의 내용을 참고하여 “구역인왕경”에 기입된 석독구결 해독에서 ‘方’과 ‘方’ 서로 다른 기능을 가졌음을 논증하였다. 또한 구결자 ‘’가 사동의 의미를 갖는 ‘’로 전사할 수 있었다. 둘째 “구역인왕경”에 기입된 석독구결에 나타난 시간 표현 문법 형태를 분석하여 이들을 ‘’, ‘’, ‘’, ‘’로 제시하였다. 이 문법 형태로 분석된 구결자는 그 문법 기능이 중세국어의 ‘-거-’, ‘--’, ‘-노-’로 표상되는 형태와 관련되어 있음을 그 통사 구조와 구문의 해석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문법 형태 ‘’는 화자 또는 주어가 ‘미래’에 사건을 인식하는 것을 나타내 주는 시간 표현 기능을 나타냈다. 문법 형태 ‘’, ‘’, ‘’는 기본형, 이형태, 통합형의 형태가 표상된 구결자로 파악하고 이들은 공통적으로 화자 또는 주어가 ‘현재’의 사건을 인식하는 시간 표현의 기능을 나타냈다. This study aims to find and analysis to grammatical tense form in the Seokdokgugyol(釋讀口訣) written in Guyeokinwanggyeong(舊譯仁王經). First It is to determine the type of letters used Seokdokgugyol(釋讀口訣) characters in this document. We use the Inwanggyeonso(仁王經疏, sutra-interpretation) to analyze the syntax related to the contents of the scriptures. And this character letter was compared with the Tripitaka Koreana. As a result, it was assumed that the text of Guyeokinwanggyeong(舊譯仁王經) was closer to the original text of Inwanggyeonso(仁王經疏, sutra-interpretation) rather than the Tripitaka Koreana version. Therefore In order to decrypt Seokdokgugyol(釋讀口訣) of the sutra tect in Guyeokinwanggyeong(舊譯仁王經), I tried to use the Inwanggyeonso(仁王經疏). In fact, I refer to the contents of Inwanggyeonso(仁王經疏) to discuss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ning of ‘方’(方s) and ‘方’(方?) in the decoding of the Seokdokgugyol(釋讀口訣) in Guyeokinwanggyeong(舊譯仁王經). We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that the meanings of the two letters are different. In addition, it is proved that gugyol letter ‘’ can be transcribed as a causative form ‘’(hʌyyə). Second, it analyzed the form of time expressive grammatical expressions in the texts of the Seokdokgugyol(釋讀口訣) written in the Guyeokinwanggyeong(舊譯仁王經). Analyzed grammatical form from the sentences "", "", "" and "" And ‘--(-kə-)’ and ‘--(-nʌ-)’ respectively. And the function of this grammatical form is examined by analyzing the reading of the sentence. And the analysis of ‘--(-kə-)’ and ‘--(-nʌ-)’, ‘--(-nu-)’, ‘--(-no-)’ indicates that the speaker recognizes the events of ‘future’ and ‘present’.

      • KCI등재

        프랑스국립도서관(BnF) 소장 능엄경(楞嚴經) 권9, 10 기입 묵서 연구

        하정수(Ha Jeongsoo) 국어문학회 2022 국어문학 Vol.81 No.-

        이 연구는 프랑스국립도서관(BnF) 소장의 『능엄경』 제5책인 권9, 권10에 기입된 묵서를 구결과 한글, 주석으로 나누어 판독하여 입력한 후, 이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묵서의 기입 양상과 그 기능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해당 문헌의 특성을 서지 사항과 내용 구성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10권 5책 문헌 전체를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리고 기초 자료에서 판독한 제5책의 기입 묵서를 구결, 한글, 주석으로 구별하여 각각의 출현 양상을 살피고 그 기능을 밝혔다. 특히 선행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난외 주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세부적으로 첫째, 경문의 오른쪽에 기입된 음독구결을 구결자의 형태적 특성에 따라 구분하여 그 기능을 살펴보았다. 음독구결은 『능엄경언해』 목판본의 한글 구결과 거의 동일하였고, 동일 음상을 나타내는 구결자가 상이한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또한 구결자 ‘口斤ヿ’’의 ‘斤 ’과 부정 표현에 나타난 ‘毛 ’의 판독에 대해 논의하였다. 전반적으로 구결 구문에 생략 표기가 많이 나타났고, 제5책에 기입된 음독구결자는 단순화된 형태를 지향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경전을 우리말로 풀어 읽는 석독을 위하여 기입된 한글은 자음 표기와 모음 표기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에서는 이 한글 표기의 기입 시기에 대한 추정 근거로 그 표기 형태에 한정하여 음운 변화와 관련한 특성을 제시하였지만 이 연구에서는 한글 기입자의 방언적 요소 및 개인적 필기 관습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셋째, 묵서로 기입된 주석과 부호를 살펴보았다. 내용 주석 중 『장자(莊子)』,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 장수 자선(長水子璿)의 『수능엄의소주경(首楞嚴義疏注經)』과 관련된 것을 『능엄경언해』의 해당 부분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경덕전등록』의 내용은 『월인석보』 권25에 공통된 부분이 있었고, 『수능엄의소주경』 관련 주석은 당시 불교사상사와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는 주석 기입자가 이 문헌의 해석을 위하여 불교 경전과 논소뿐만 아니라 제자백가(諸子百家)의 저술까지 참조하였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이 연구의 일차적 목적은 조선 초기 『능엄경』 구결 및 『능엄경언해』와 관련한 기초 자료를 구축하는 데 있다. 그러므로 이 문헌에 기입된 묵서는 당시의 구결 및 한글과 관련한 언어 사실뿐만 아니라 주석 내용 등에 나타나는 사상사적으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the kugyol(口訣) and Hangeul(한글) and annotations(註釋) of “the Materials of Neungeomgyeong(楞嚴經, Śūraṅgama-sutra) vol 9, 10 kept in Biblitheque Nationale de France(BnF)”. It has many informations about Korean linguistic history at early Choseon dynasty. Some materials of Neungeomgyeong(楞嚴經) have a kind of hand writing letters written by character borrow system(借字表記法) of Koryeo dynasty. Translation of Neungeomkyeong(楞嚴經, Śūraṅgama-sutra) was an important work of king Sejo(世祖). This BnF Neungeomgyeong(楞嚴經) documents enables understanding of that work compared Neungeomgyeongeonhae (楞嚴經諺解) as first Eonhae(諺解) translation of Buddhism sutra. In chapter 2, We concentrated on the basic bibliography and the written characteristics in the this documents. And we focused on simple comparison with previous researches. In chapter 3, The Eumdok-kugyol (音讀口訣) characters written in this document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ir form and usage. And we describe the basic work for contrasting this documents with Neungeomgyeongeonhae(楞嚴經諺解) documents printed at 1462. For the Hangeul written in Seokdok-kugyol(釋讀口訣) in this document, the morphological and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the Hangeul were examined. And other signs and annotations were discussed. BnF Neungeomgyeong(楞嚴經, Śūraṅgama-sutra) documents has a great significance in showing the relation of the Joseon Dynasty era eonhae(諺解) as a result of the Goryeo(高麗) Dynasty era Seokdok-kugyol(釋讀口訣) in the continuity of Korean linguistic history. It shows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early translations of Korean by Hangeul(한글), and shows the tradition of the Goryeo(高麗) Era translation of Buddhist Studies in its traditions.

      • KCI등재
      • KCI등재

        IN 738LC 합금의 미세조직 열화와 물성의 상관성 연구

        유정훈,주성욱,신기삼,허성강,이재현,김의현,정진성,장성호,송기욱,하정수,Yoo Junghoon,Jo Sungwook,Shin Keesam,Hur Sungkang,Lee Je-Hyun,Kim Eui-Hyun,Jung Jine-sung,Chang Sungho,Song Geewook,Ha Jeongsoo 한국재료학회 2004 한국재료학회지 Vol.14 No.1

        IN 738LC, the major material for gas-turbine for power generation, was heat treated at $750^{\circ}C$, $850^{\circ}C$, $950^{\circ}C$ for 1000, 2000, and 4000 hrs and the microstructural evolu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were examined using optical microscope, XRD, SEM/EDS. The results showed ${\gamma}$', the main strengthening elements in this alloy, was about 300 nm in size and was about 56% by area fraction in as-cast samples. The area fraction of ${\gamma}$' peaked at 2000 hours at $750^{\circ}C$. The average diameter of the ${\gamma}$' which was about 300 nm at ascast specimen increased to about 1 $\mu\textrm{m}$ after heat treatment at $950^{\circ}C$ for 4000 hrs. Carbides were formed at dendrite, cell or grain boundaries which was ascribed to the segregation caused by solute redistribution during solidification. It was found that MC type carbides formed at low temperature, whereas carbides of $M_{23}$ /$C_{ 6}$/ type formed at higher temperature or at longer degradation. The hardness and impact energy decreased as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or time of retention increased, which was inaccrodance with the area fraction of ${\gam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