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現代日本語の動詞条件形の複合的な陳述副詞化 ― 副詞と「みれば」「みると」のくみあわせの場合 ―

        하재필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23 日本硏究 Vol.- No.98

        시각활동을 나타내는 동사 「みる」의 조건형인 「みれば」 「みると」가 본동사성을 잃고 「~からみれば」 「~をみると」와 같은 후치사로 발달하는 현상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다. 한편 「みれば」 「みると」는 「言語学的にみれば」와 같이 부사와도 조합하여 어떠한 사물이나 사건에 대한 화자의 평가 및 판단을 서술할 때, 화자가 어떠한 근거에 입각해서 서술하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표현으로도 발달한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이렇게 부사와 동사 조건형이 조합해서 만들어진 표현의 존재에 대한 간략한 언급만 있었을 뿐, 구체적으로 어떠한 문법적・의미적 특징이 있는지 밝혀진 바가 없다. 본고에서는 부사와 「みれば」 「みると」가 조합하여 만들어진 표현을 어구성면의 복합성과 문장 구성에 있어 화자의 주체성을 나타내는 성질에 근거하여 "복합적인 진술부사"라고 부르고, 이 복합적인 진술부사의 문법적・의미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복합적인 진술부사는 문법적으로 보면 여타 진술부사와 마찬가지로 평서문을 중심으로 하여 쓰이기는 하지만 의문문에서도 쓰일 수도 있는 특징이 있고 연체수식어구에서도 쓰일 수 있다. 한편 의미적으로 보면 어떠한 사물이나 사건에 대한 화자의 관점와 인식방법을 나타내는데, 예를 들어 개별적인 특징을 종합하거나 일반화하거나 하는 방식, 인식의 범위를 넓히거나 좁히거나 하는 방식, 미래에 전개될 양상을 추정하거나 과거의 일을 재평가하거나 하는 방식 등을 나타낸다.

      • KCI등재

        もくろみ動詞 「してみる」の条件形の派生用法― 「してみると」の形の場合 ―

        하재필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22 日本硏究 Vol.- No.94

        According to its syntactic position and function, the contemporary Japanese conative verb sitemiru inflects different forms. When expressing a cond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wo events in a complex sentence, siteimuru inflects the conditional form of sitemiruto, sitemireba, sitemitara, and so on as the predicate of the subordinate clause. Among these conditional forms, the use of sitemiruto demonstrates that there are cases where it expresses causal relationships in a broad sense, but other types of verbs―passive verbs, non-volitional verbs―that are not used in declarative sentences can be used. Many previous studies have pointed out cases where verbs that are not used in declarative sentences are used with the form of sitemiruto. However, when such verbs take the form sitemiruto, it has yet to be adequately explained what grammatical meaning it represents. Based on this situation, we consider (1) the usage of sitemiruto as a conditional form of sitemiru, the conative verb, (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ical usages of sitemiruto and its derived usages, and (3) syntactic features, semantic variations and usages of subordinate sentences found in derived usages of sitemiruto. As a result, when sitemiruto is used as the conditional form of the conative verb that expresses an action that the subject chooses to change the current reality into the desired reality, the main clause expresses an event that occurs as a result of the action described in the subordinate clause, as well as a state of being that is recognized by the action presented in the subordinate clause. However, when it comes to that sitemiruto loses its features of the conative verb, if sitemiruto is used as a predicate of the subordinate sentence, what is described in the main clause is an unexpected reality for the speaker. So, the main clause expresses the subject’s surprise, bewilderment, or dismay. In such a sentence, sitemiruto functions as a marker indicating that the following sentence will describe the content that expresses the subject’s unprepared mind.

      • KCI등재

        脱動詞化にみられる文法的な意味と機能の存続—動詞条件形の脱動詞化を中心に—

        하재필 중앙대학교 일본연구소 2019 日本 硏究 Vol.0 No.51

        Sureba, suruto and sitemo, which are conditional verb forms in modern Japanese, are used to express causality in a broad sense, and it is widely known that they become deverbalized in some cases. Verbs such as miru, a visual verb, iu, a locutionary verb, and omou, a thinking verb, get deverbalized when they take a conditional form, and they usually turn into postpositions, connective particles, connectives, or sentence adverbs. However, no connection has been identified so far between usages of such deverbalized verb forms and those of general conditional verb forms. This study examines how the grammatical meaning and syntactic function of general conditional verb forms affect usages of deverbalized verb forms. Due to the grammatical meaning of conditional verb forms, if an event in the subordinate clause of a complex sentence is expressed in a conditional form, another event is also implicated. For example, the sentence “If it rains, let’s take a taxi” implies a case of not raining, in addition to a case of raining that is mentioned explicitly. Such implication can be identified in usages of postpositions and sentence adverbs that indicate a rationale behind the judgement on, or the evaluation of, a person or object. If a postposition or sentence adverb signals a rationale behind the judgement on, or the evaluation of, a person or object, another rationale is also implied in addition to the explicit one. In complex sentences, conditional verb forms connect the events of the subordinate and main clauses. Such a function is found in usages where conditional verb forms turn into connective particles and connectives. If conditional verb forms become deverbalized, the connective function expands from the sentence level to the text level. In other words, conditional verb forms simply serve as a connective element within a complex sentence, whereas they connect sentences if they get deverbalized and turn into connectives.

      • KCI등재

        근대 한국어에서 나타나는 일본어의 번역차용 「-아/어 마지 않다」의 출현을 중심으로

        하재필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7 아시아문화연구 Vol.45 No.-

        I believe the auxiliary verb 「(-a/e) maciantha」in Korean emerged out of contact with Japanese. There is 「yamanai」in Japanese that is equivalent to 「maciantha」in Korean, and they resemble each other not only in lexical meaning but also in morphological and syntactical qualities. However, in the late 19th century, along with the main verb usage that indicated the continuance of an action or a phenomenon, 「yamanai」 in Japanese was also used as an auxiliary verb that expressed the intensity of a mental state or an attitude. Meanwhile, in the same period of time, 「maciantha」 in Korean was only used as a main verb. It was after 1910 that it started to appear as an auxiliary verb and the usage surged in the 1940s. This paper perceived that the emergence of 「(-a/e) maciantha」 stems from extralinguistic factors due to the following reasons: (1) diachronic changes of the main verb 「maltha」, do not apply to 「maciantha」; (2) the meaning and syntactical qualities expressed by the usage of 「maciantha」 as an auxiliary verb are same with 「yamanai」in Japanese; and (3) after liberation, 「(-a/e) maciantha」 has been only used in congratulatory speech and literary sentence. It can be said that bilingual contributed greatly in the development of the auxiliary verb usage of 「maciantha」.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in flow of new culture increased exposure to Japanese and the number of bilinguals grew due to Japanese education policy under Japanese colonialism. Bilinguals translated Japanese and “loaned” the expression to Korean, leading to the spread of auxiliary verb usage of 「(-a/e) maciantha」. 본고는 현대 한국어에서 보조동사로 쓰이는 「(-아/어) 마지 않다」가 일본어와의 접촉을 통해 발생한 것이라 주장한다. 한국어의 「마지 않다」에 상당하는 일본어 형식으로 「やまない」가 있는데, 이 두 형식은 어휘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형태적․구문적 특성이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일본어의 「やまない」는 19세기 말에 동작이나 현상이 중단되지 않는 의미를 나타내는 본동사 용법과 더불어 어떠한 심적 상태나 심적 태도의 정도가 강한 것을 나타내는 보조동사 용법에 쓰이고 있었다. 한편 한국어의 「마지 않다」는 19세기 말에는 본동사 용법만이 있었고, 보조동사 용법은 1910년대에 나타나 1940년대에 급증한다.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들어 「마지 않다」의 발생이 언어 외적인 요인에 의한 것이라고 보았다. (1) 본동사 「말다」가 거치는 통시적인 변화가 「마지 않다」에는 적용되지 않는 점, (2) 「마지 않다」의 보조동사 용법이 나타내는 의미와 구문적 특징이 일본어의 「やまない」와 같다는 점, (3) 해방 이후 「-아/어 마지 않다」의 사용이 축사나 문어체 문장에서만 쓰여 매우 제한적이라는 점 등이 있다. 「마지 않다」의 보조동사 용법의 발달에는 이중 언어 사용자의 역할이 크다고 할 수 있다. 19세기 말에 일본으로부터 신문물이 유입되면서 일본어와의 접촉이 늘어나고, 일제 강점기의 일본어 교육 정책으로 인해 한국어와 일본어의 이중 언어 사용자가 증가하였다. 「(-아/어) 마지 않다」의 보조동사 용법이 증가하게 된 것에는 이중 언어 사용자가 일본어를 번역하고 이를 한국어에 차용하게 되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脱動詞化の用法とその移行について - 「~をいうと」「~をいえば」の場合を中心に -

        河在必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7 비교일본학 Vol.40 No.-

        발화동사 「いう」는 구체적인 발화내용을 나타내기 위해 「∼を」형 (보통 ‘대상격’을 나타낸다)의 명사를 동반한다. 이 명사는 나타내는 의미에 따라서 크게 두 타입으로 나뉜다. 하나는 언어활동을 통해 표현되는 현실세계의 사건을 나타낸다. 또 하나는 언어활동의 내용에 대해서 그 내용이 어떠한 것인지 그 특징을 나타낸다. 발화동사 「いう」가 조건형 「いうと」 「いえば」로 활용하여도 「∼を」형의 명사가 갖는 의미적 특징들은 유지된다. 그러나 「いうと」 「いえば」가 후치사나 진술부사 등으로 탈동사화 하는 경우 「∼を」형의 명사가 나타내는 의미는 언어활동의 내용에 대해서 특징을 나타내는 타입에 한정된다. 「∼をいうと」 「∼をいえば」가 탈동사화 한 경우 그 용법은 후치사, 진술부사, 접속사로 나뉘는데, 어느 용법으로 이행하는지는 「∼を」형의 명사의 의미적 성질에 따른다. 또한 같은 명사가 쓰이고 있다고 할 지라도 타 문장과의 의미관계, 해당 문장의 구문적 특징에 따라 용법이 결정된다. Locutionary verb iu accompanies wo-form noun (usually indicates object) to express specific utterance. There are two main types in this form of noun, depending on the meaning it conveys. One shows an event in reality, which is revealed through linguistic activity. The other shows the features of actual contents in the linguistic activity. Even if conditional form iuto or ieba is used with locutionary verb iu, semantic features that wo-form noun possesses are maintained. However, in case where iuto or ieba deverbalizes to postposition or sentence adverb, meaning that wo form noun holds is limited to the type that shows the features of actual contents in the linguistic activity. When -wo iuto or -wo ieba deverbalizes, the usage is categorized into postposition, sentence adverb and connective. To which usage they transition into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mantic features of the wo-form noun. Moreover, even when the same noun is being used, the usage is decided by the semantic relations with other sentences and the syntactic features of the given sentence.

      • KCI등재

        現代日本語における複合的な陳述副詞の一考察 - 「客観的にみれば」「客観的にみると」を対象にして -

        하재필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24 日本硏究 Vol.0 No.100

        본고에서는 시각활동을 나타내는 동사 みる 의 조건형인 みれば みると 가 客 観的に 와 조합해서 단일화된 형식으로 화자의 서술방식을 나타내는 복합적인 진술부사로 쓰이는 경우를 고찰하였다. 客観的に 가 부사로서 기능하는 경우, 주로 지각․인식활동, 지적․사고활동, 표현활동을 나타내는 동사를 수식하고, 이 동사들이 나타내는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주체가자신의 주체적인 태도를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심리적인 태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시각활동을 나타내는 동사 みる 의 조건형인 みれば みると 가 종속문의 서술어로서기능할 때에도 客観的に 는 위와 동일한 주체의 심리적인 태도를 나타낸다. 그런데みれば みると 와 客観的に 가 조합해서 客観的にみれば 客観的にみると 와같은 단일화된 형식이 되면 화자의 서술방식에 관련된 태도를 나타내는 복합적인 진술부사가 된다. 客観的にみれば 客観的にみると 가 진술부사로 쓰일 때의 특징은 어떠한 사물․ 사건에 대한 평가․판단에 있어 그 주체와 근거의 범위에 있다. 今からみれば 今思え ば 와 같은 진술부사의 경우 사물․사건에 대한 평가․판단의 근거가 오롯이 화자의경험이나 기억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에 비해 客観的にみれば 客観的にみると 의경우 화자(필자도 포함해서)는 청자(독자도 포함해서)나 화자 이외의 주체도 평가․판단의 주체라 상정한다. 그리고 화자는 평가․판단의 근거로서 개별적이며 구체적인 사건을비롯해 화자 이외의 주체도 접근 가능한, 사회적으로 알려진 일, 사회 일반적으로 상식으로 받아들여지는 일을 삼는다. This paper discusses cases in which the conditional form of the verb みる (to see) , which expresses visual activity, みれば and みると are combined with 客観的に (objectively) and used as compound sentence adverbs that express the speaker’s attitude of speaking. When 客観的に functions as an adverb, it mainly modifies verbs of perceptual/ recognitive activity, intellectual/thinking activity, and expressive activity, and expresses a psychological attitude in which the agent refrains from his/her own subjective attitude in the process of these activities. And when みれば and みると function as predicates in subordinate sentences, 客観的に also expresses the same psychological attitude of the agent. However, when みれば , みると and 客観的に are combined to form 客観的 にみれば and 客観的にみると , they become a compound sentence adverb that expresses the speaker's attitude toward the way (s)he speaks. The feature of the use of 客観的にみれば and 客観的にみると as a sentence adverb lies in the status of the agent and the basis for the evaluation and judgment of the object. In the case of adverbs such as 今からみれば or 今思えば , the basis for the evaluation and judgment is based solely on the speaker's experience and memory.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客観的にみれば and 客観的にみると , the speaker (including the writer) assumes that the hearer (including the reader) and someone are also the agents of evaluation and judgment. Then, the basis for evaluation and judgment is assumed to be what is socially known and generally recognized as common sense in society in general, including individual concrete events, which are accessible to the hearer and some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