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영적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의 미시 서사구조에 대한 연구

        하임성(Ha, Im-Sung)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2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28

        본 논문은 다양한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 작품 종류 중 “상호소통에 의해 변주되는 환영”을 지닌 미디어 아트 유형의 “환영 변화”를 행위성에 의한 유희적, 내용적, 형식적 측면이 아닌, 미시적인 서사론적 관점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화면의 변화가 발생하며 등장하는 작은 미시 서사들을 전통서사 요소인 플롯, 시야, 서술자, 시간성에서 새롭게 도출된, “해체된 단편적인 플롯”, “참여자 중심의 시야”, “참여자의 탐색적 서술”, “참여자의 불연속적인 공간적 시간성” 요소들로 분석하고 그것의 독립적인 특성을 추출하고자 한다. 그 결과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독립적인 미시서사들의 화면구성은 해체된 단편적인 플롯으로 이해할 수 있었고, 화면을 구성하는 다양한 여타 시점보다 작품 밖 참여자의 중심의 시야가 더 우선시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작자가 작품 내에서 치장한 다양한 각도에서의 서술보다 참여자의 물리적인 공간적 탐색에 의한 서술이 더욱 부각되었으며, 인터랙티브미디어 아트에서의 시간성은 참여자의 공간적 탐색에 의해 현재와 과거가 공유됨을 고찰하였다. 궁극적으로 위 새 서사구조 요소들은 타 미술장르, 그리고 현대 미디어 아트의 다양한 종류 가운데서 “환영적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만이 담지하고 있는 독자성임을 알 수 있었다. Illusion played by mutual communication in Interactive Media Art is studied in this thesis from the narrative point of view, not from the entertaining point of view. Microscopic narrations founded in screen changes are analyzed by traditional narrative factors such as plot, point of view, narration, time creating the identity of Interactive Media Art. Traditional narrative factors in consequence have been converted to different forms after being combined with the features of Interactive Media Art. Plot has been converted to fragmentary plot and creators" point of view in many work pieces has been recreated to the outside participants" point of view. Also, creators" narrations described from various points of view has transferred to participants" narrations based on physically spacious search. Times of the present sharing with the past are observed in Interactive Media Art, too. It is concluded that audience"s active participation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makes an influence on the change of essentially traditional narrative factors. Moreover, the factors mentioned in this thesis are regarded as the unique identity of <Illusion Interactive Media Art> out of various kinds of modern media art.

      • KCI등재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의 상호작용 과정과 메를로 퐁티의 몸 현상학

        하임성(Ha, Im-Sung)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2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29

        디지털 시대의 도래는 상호작용 미디어 아트의 비약적인 발전을 야기시켰다. 특히 관객이 작품과 분리된 대상으로 존재하던 전통 미술의 형식에서, 관객이 직접작품 내에 접속하여 상호작용하고, 그 세계 내 일부, 주체로 활동하게 됨은 타 미술장르와 구별되는 그것만의 독자적인 특성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의 상호작용 과정들을 분류화 하여, 메를로 퐁티의 몸 현상학 이론들과 비교하고 그 의미를 고찰함에 있다. 메를로 퐁티의 몸 현상학은 대상/세계, 의식/정신, 주/객 등 이항대립적 사유가 만연하던 서구 지성사를 몸을 통한 통합적 인식을 주장하며 그 한계를 뛰어 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세계와 주체의 새 시각을 견지한 메를로 퐁티의 몸 현상학 이론을 미디어 아트의 상호소통 과정의 세부 요인들과 비교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미디어 아트의 상호작용 과정을 <작품 구성, 감상의 주요 요인인 관객의 신체>, <작품 감상방법의 현존적 체득>, <정해진 프로그램 내의 유영>, <통합되는 감각>, <가상세계 내에서 활동>으로 세분화하고, 이를 메를로 퐁티의 몸현상학 이론 중 <몸틀>, <습관의 획득>, <몸의 구조화>, <지평의 종합>, <세계-에로-존재> 개념들과 비교하여 상호 유사점 및 의미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미디어 아트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도출되는 신체성, 공감각성, 다중감각, 공간성 등은, 타 미술장르 및 미니멀리즘 미술양식보다 더욱 메를로 퐁티의 몸현상학 이론들과 일맥상통함을 명료하고 세세하게 밝힐 수 있었고, 이를 통해 현대 상호작용 미디어 아트의 연구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Interactive Media Art has been developed a lot in digital age. Especially, the audience try to make interactions by accessing the world of art as one of main interacting figures, while they used to be totally separated from the art in traditional art. Also, it is one of exclusive features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art genres. In this thesis, the intercommunication process of interactive media art is classified and compared with Merleau-Ponty"s corporeity phenomenology theories. Merleau-Ponty"s corporeity phenomenology insists integrated perception through body against the western intelligence philosophy focusing on binomial reasons. Merleau-Ponty"s corporeity phenomenology, which suggested the new perception way towards the art, is analyzed in this thesis by comparing it with detailed factors of Intercommunication process of Interactive Media Art. The Intercommunication process of Media Art is classified into <audience" corporeity, main figure of the art>, <learning how to appreciate the art>, <floating in the designated program>, <integrated sensation>, <activities in virtual world>. Additionally, they are studied and compared with the concept of <corporeity>, <acquisition of habit>, <structuralization of corporeity>, <integrated prospect>, <Being-to-the-World> out of Ponty"s corporeity phenomenology theories. Therefore, it is concluded clearly that corporeity, synesthesia, poly sensation and spaciality drawn from Intercommunication process of Media Art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Ponty"s corporeity phenomenology theories rather than the other art genre or minimalism art styles. Furthermore, a new direction of study upon modern Interactive Media Art is suggested.

      • KCI등재후보

        미니멀리즘 미술과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의 관객 신체성 비교 연구

        하임성 ( Im Sung Ha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5 예술과 미디어 Vol.14 No.1

        20세기 중반 이후 미니멀리즘, 대지미술, 개념미술, 페미니즘 등 현대 미술 양식들은 시각뿐 아니라 다중감각을 요구하며 전통 미술의 시각중심주의를 해체하고 있다. 본 논문은 다양한 포스트모더니즘 미술 양식들 가운데 ``관객의 작품 공간 내 함몰 및 작품과의 일체화를 지향’하는 특징을 공유하는 미니멀리즘 미술과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의 관객 신체성을 비교하여 상호 공통점 및 차이점을 분석하고, 그함의를 고찰하였다. 그 이유는 현대 미술에서 부각되고 있는 ``관객 신체를 통한 소통`` 이라는 주제를 양자 간, 혹은 여러 장르간의 비교를 통해 각 미술양식들의 차이를 명료화시키고, 그 관계에 대한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여러 선행 이론가들의 담론과 다양한 미술 작품 사례들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미니멀리즘 미술과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관객 신체성의 공통점은 양자 모두 관객이 실제 공간과 현존적 시간 속에서 작품 내 배회하며 참여 및 거주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작가는 작품과 상호소통 하는 방법을 기획하여 관객신체를 일부 훈육시키고 있었다. 차이점은 관객신체 움직임이 작품 내 반영되는 범위가 달랐으며, 미니멀리즘 미술은 특정 부분에 집중해야 하는 내재적 공간논리를 파괴하고 있으나,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는 오히려 특정 장소에 대한 몰입을 요구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제한된 공간 내에서 관객의 일부 감각을 훈육시키는 공통점은 여타 포스트모더니즘 미술 장르들 보다 양자가 관객과 접촉하는 소통 구조에 더욱 집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양자의 차이점은 그것을 구성하는 매체적 특성에서 도래한 것이기에, 현대 미술에서 매체의 속성이 감상방법, 작품의 구조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고찰할 수 있었다. 그럼으로 많은 작품 분석 요소 가운데 ‘관객신체성’ 이라는 독립적인 관점으로 포스트모더니즘 미술 장르들을 분석할 수 있었다. Since mid 20 Century, modern art forms such as minimalism, land art, conceptual art and feminism are deactivating visual oriented principle requiring not only visual aspect but also multiple senses. This study compared audience``s body aspect for minimalism art and interactive media art among various post modernism art forms which share characteristics of ``Audience``s Immersion within space of art works and pursuing integration with art works`` and analyzed its characteristics in common and difference and also contemplated their implication. It means this study clarifies differences between each art form for a theme of ``Communication through audience``s body`` that is highlighted by modern art in a way that compares both and each genre, and extends a study for their relations beyond boundary.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came to the conclus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many preceeding theorist``s discourse and cases for various art works. Common characteristics in audience``s body aspect for minimalism art and interactive media art is that audience for both art forms roams and resides in art works inside actual space and existing time and artists teach some of audience``s body by planning method to communicate with art works. The difference is that a scope to reflect audiences`` body movement onto art works is different, and minimalism art demolishes intrinsic spatial logic requiring concentration on specific area whereas interactive media art requires immersion into specific location. Through these results, it``s clarified that common aspects in teaching some of audience``s sense inside limited space are to more concentrate on communication structure with audience than other post modernism art genres. And since the difference between two genres is caused by media``s characteristics structuring them, this study was able to clarify that characteristics of media in modern art have been affecting appreciation of art work and structure of art works.

      • KCI등재후보

        현대 디지털 예술작품의 복제성에 대한 고찰

        송대섭(Song Dae-Sup),하임성(Ha Im-Sung)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9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17

        예술작품의 복제는 오래전부터 광범위한 유포와 이익을 위해 이루어져 왔다. 최근 디지털 복제 매체의 발달에 따라 물질적 복제화와 함께 예술작품 내에 그 개념이 개입되며 의미가 더욱 확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근래 두드러지고 있는 디지털 예술작품의 복제성이라는 개념을 현대 대중문화와 연관지어 고찰하고, 기계 매체 시대의 복제성과 비교하며, 또한 새롭게 정립할 수 있는 그것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The duplication of art works has been made for wide distribution and profit from long time ago. With material duplication due to recent development of digital duplication media its concept was intervened in art works and the meaning gets expanded more. In this thesis, I will review on the concept of recently marked arts duplication connecting with modern mass culture, compare with duplication of machinery duplication era and research on the features to establish in new way. After all, the duplicational features of digital art works got deeply connec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lized modern digital mass culture for duplication. In previous times old-fashioned machinery duplication such as pictures, woodblock prints and films played their roles as democratic and social value of art works and now it will be enough to say that the modern digital art works could be developed to be non-materialized factor of art works with the concept of duplication as well as duplication of objects just like previous cases. Besides duplicational factors derived spatial and emotional effects with visional sympathy in existing machinery duplication era and could have verified that the object for duplication was transferred from minor commercial producers to major aud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