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 고용유지에 대한 산업체 구성원과 특수교사의 인식

        하윤영,박재국,김은라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5 장애와 고용 Vol.25 No.2

        본 연구는 장애인의 고용유지에 대한 산업체 구성원들과 특수교사의 인식 수준과 두 집단 간의 인식 차이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 소재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특수교사 146명과 현장중심 직업교육 및 워크 투게더 프로그램 참여하는 사업체의 고용주, 직장상사, 동료근로자 129명을 대상으로 ‘장애학생 고용유지 요인 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의 고용유지 요인에 대한 산업체 구성원들의 인식은 개인생활관련 요인 및 법률 및 제도관련 요인에서 사업장 형태, 업종, 사업장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장애인의 고용유지 요인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은 사회 및 환경관련 요인에서 성별, 연령, 근무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장애인의 고용유지 요인에 대한 산업체 구성원과 특수교사의 인식은 장애인 고용유지 전체와 모든 하위 요인에서 특수교사의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 고용유지 향상을 위한 산업체구성원과 특수교사의 실제적 역할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recognition on employment maintenance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of the members of industry and the teachers on special education, as well, to explore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of the two groups. To these ends, 129 members of industry and 146 teachers on special education were required to complete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recognition of members of industr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omains such as factors of person's daily lives and of law and institution according to types of business, categories of business, and patterns of busines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members. Second, in terms of recognition of teachers on special educa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omain such as factors of society and environment according to teachers' gender, age, and grade of school.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omains such as factors of person's daily lives, vocation, and law and institution. Third,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level between members of industry and teachers on special education was verified. That is, level of recognition of teachers on special educ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members of industry on the all of the four domains. Based on these results,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specific and useful information and instruction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improve the level of employment maintenance.

      • KCI등재

        1세 영아반의 ‘환경 그림책 활용 및 가정과 연계한 지속가능성을 위한 교육’ 사례 탐구

        류승희,하윤영,심은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4 유아교육학논집 Vol.28 No.2

        본 연구는 1세 영아반에서 환경 그림책 활용 및 가정과 연계하여 지속가능성을 위한 교육을 실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참여자는 영아 5명과 영아 가정, 연구자 3인이었으며, 연구절차는 크게 두단계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단계에서 영아들은 4주 동안 교사와 함께 환경 그림책을 감상한 뒤 지속가능성을 위한 행동을 실천하고, 이를 가정과 연계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일상에서 지속가능성을위한 실천 행동을 유지해 나가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자료는 영아와 함께한 활동 기록, 사진 자료, 부모 기록과 면담, 관찰 기록, 저널 등의 모든 기록물이었다. 자료 분석은 첫 번째 단계에서 4주간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두 번째 단계에서 4주간 실행 이후 나타난 모습에 초점을 두고 범주화하였다. 분석 결과, 영아와 가정, 교사들은 지속가능성을 위한 행동을 실천하였고, 어린이집에도 지속가능성을위한 실천 행동을 함께하려는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이처럼 본 연구는 삶의 맥락으로 접근한다면 영아또한 지속가능성을 위한 교육의 주체가 될 수 있고, 지속가능성을 지향하는 사회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영아의 실천 행동이 단초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sustainability education using environmental picture books and its connection with home in a 1-year-old infant class. The participants were five 1-year-old infants, their families, and three researchers. The study was divided into two stages. In the first stage, the infants spent four weeks enjoying environmental picture books with their teachers, engaged in practical actions for sustainability, and connecting them to their homes. In the second stage, they went through a process of maintaining practical actions for sustainability in their daily lives. Data included all records, such as activity records with infants, photographs, interviews, records obtained from parents, infant observation records, and researcher’s journals. Data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cases for four weeks in the first stage and were categorized focusing on the appearances after four weeks of implementation in the second stage. The analysis revealed that infants, families, and teachers practiced actions for sustainability, and an atmosphere emerged in which practical actions for sustainability were shared in daycare cent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uggesting that infants can also become agents of sustainability education if approached within the context of life and that infants’ practical actions can serve as the starting point for creating a social atmosphere aimed at sustain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