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복어의 건조와 냉동에 의한 근육조직의 변화

        하수용,하진환,송대진 濟州大學校 工科大學 産業技術硏究所 1991 産業技術硏究報告 Vol.2 No.-

        The observations on the histological changes of muscular tissue during the processes, such as drying, freezing and thawing were carried out to get basic data for processes and storage of puffer, Fugu xanthopteru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Epidermal part is tough and thick. That is connected with muscular tissue by soft and tough connective tissue . The muscular tissue structures of puffer are epidermis, corium and partially dark muscle, without hypodermic fat. According to the respective muscular parts, there exist crossed muscle fibers like abalone. The connective tissues of intercellular materials and myocommata were found abundantly. During the couresc of drying, the dehydration of muscular tissue occured on connective tissue in the early stage ; thus caused widening between muscle bundles respectively. In the late stage of drying, contraction of myocommata and the widening between muscle bundles were appeared. After frozen storage for a month, distributions of ice crystal were affected deeply by freezing temperature, that is. those were observed mainly on the intracellular sites when frozen at -35℃. while on the extracellular sites when frozen at -10℃. but the ice crystals formed in both temperatures caused the condensation of muscle fibers. Thawing fter frozen storage for a month, a recovery of muscle fibers and figuration were observed in muscular tissue stored at -35℃, while insufficien recovery of muscle fibers and disfiguration by dehydration at -10℃. In the observation of uscle figbers when the tissue was homogenated with 1% cold formali. the fresh tissue was fragmented to myofibril level and intermixed like thred, while the frozen tissue for a month became rigid due to disfiguration, contraction, the loss of elasticity and water holding capacity.

      • KCI등재

        『六書尋源』의 部首 排列法과 屬部字 探析

        河水用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3 漢字 漢文敎育 Vol.11 No.-

        『六書尋源』의 部首髓系는 『說文』, 『字彙』, 『正字通』 『康熙字典』의 부수 파생 및 관련체계를 계승하여 207부로 편성하였음을 알수 있다. 『字彙』, 『康熙字典』의 총부수는 214부로 편성되어 있는데 이 가운데 八, 빙, 기, 章, 聿, 이, 창, 치부를 다른 부로 轉移配置하여 207부로 편성하였다. 특히 자형의 파생관계를 근거로 하여 재편성하였다는 점에서는 타당성이 있다고 하겠으나 일부 무리가 있는 부분도 존재한다. 그리고 한자의 파생관계를 字形, 字義, 字音도 고려하였으며 획수도 안배하였음을 알 수 있다. 部首는 一劃인 一부터 시작하여 十七劃인 侖部로 끝을 맺었다. 「康熙字典」에서는 속부자의 배치를 병렬로 배치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지만 『六書尋源』에서는 한자의 파생관계에 따라 세로로 次順別 編制를 구성하였다. 이는 마치 族譜의 世代順 編制와 흡사한 조직을 보여준다. 蔣和의 『說文部數表』에 근거하면 『說文』에서도 한자의 자형적인 파생관계를 안배하여 배치하되 「文」으로 나누어서 구성하였으나 그 파생관계를 드러내지 않고 병렬로 조직하였으며 이는 『字彙』, 『正字通』, 『康熙字典』 모두 같은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六書尋源』에서는 漢字派生關係를 밖으로 드러내어 구성하였다는 점이 특이하다고 할 것이다. 이렇게 자의 파생관계를 외형적으로 드러내는 구성법은 장화의 「설문부수표」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또한 우리나라의 족보체제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부수에 따른 속부자의 편성은 먼저 획수와 자형의 변화를 고려하되 성모를 기준으로 하여 파생되는 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속부자들을 구성하였으므로 자형, 자음, 자의의 관계를 자연스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 또한 특징적인 구성법이라고 하겠다. 그러나 같은 자를 중복해서 편성한 것은 문제점으로 볼 수도 있겠으나 예를 들면 形자의 경우 한편에서는 자의 파생관계로 구성하고 한편으로는 자형의 구성관계에 따라 편성하였다는 점으로 본다면 하나의 글자도 다양하게 파악해 볼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러나 『六書尋源의』의 部首編成 방법에 있어서는 간혹 形, 音, 義 세가지 요소 중에서 음이 없고 형만이 있는 것들을 부가부수로 편성한 것은 무리라고 할 수 있으며 특히 『康熙字典』 등과 다른 큰 차이점으로는 異體字를 附加部首로 드러내었으며 또한 자형에 대한 석형을 성의있게 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을 것이다. The Pusu(部首) System of Yuksoesimwon(『六書尋源』) is constructed with 207 Pu in which Seolmun(『說文』), Jahwi(『字彙』). Jung Ja Tong (『正字通』), Kanghuijajeon(『康熙字典』) and related Pusu derivation System are inherited. The total Pusu of Jahwi, Kanghuijajeon is composed of 214 Pu. but that of Yuksoesimwon is made up of 207 Pu in which 八, 빙, 기, 聿, 이, 창, 치 are rearranged. It is reasonable that the rearrangement is based on the derivation of the forms of a character 字形, but partially improper section exists. And we can find that 字型, 字義, 子音 based on the deriv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s are reflected, and the number of strokes is also regarded. Pusu(部首) in Yuksoesimwon begin with one stroke character 1 and end with 17 stroke character. However the parallel arrangement of Sokbuja is adopted in Kanghuijajeon. the sequential method which is written vertically in Yuksoesimwon It is similar t o the method used in the genealogy of East Asia. According to the Seolmunpusupyo of Jang Hwa. the Structure of Seolmun is organized in parallel and arranged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derivation of Jahyung(字形) without statement and split with 文. This is the same in Jahwi, Jungjatong, Kanghuiiajeon. It is remarkable that the deriv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 is clearly expressed. In this way, it is supposed that the method exposing the derivation of Ja is influenced from the Seolmunpusupyo of Janghwa. First, the change of Jahyung was taken into account. SokbuJa are framed for understanding the derivative relation based on Sungmo. It is peculiar that the relation of Jahyung, Jaeum, Jaui is well comprehended. Although we can take the duplication of the same characters as a problem, we have the advantage of multiple point of view on one character. For example. we can get derivation of Ja and Jahyung for 形 in the same time. It is illogical that characters that have only Hyung(形), no Eum(音) in Hyung, Eum. Ui(義) are classified to Bugapusu(附加部首) in Pusu organization of Yuksoesimwon. There is a distinction with Kanghuiiajeon that I Cheja is grouped into Bugapusu and did Seokhyung on Jahyung well.

      • KCI등재

        『六書尋源』의 著者 惺臺의 六書觀 : 首編을 中心으로 In the Center of Head Parts

        河水用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3 漢字 漢文敎育 Vol.10 No.-

        우리나라에 한자가 유입된 시기는 대체로 고구려, 백제, 신라 중 고구려건국을 기점으로 한다고 해도 그 이전부터 한자는 사용되었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한사군이 설치된 이후 직·간접적으로 이웃에 있던 나라들에 한자가 전래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 이후로 본격적인 설문학연구로 꼽을 수 있는 것은 온재 박선수의 『설문해자익징』과 성대 권병훈의 『육서심원』을 들 수 있다. 온재는 금문을 이용하여 『설문』을 연구하였으며 성대는 금문, 주문, 고문, 소전 등을 아울러 이용하여 『설문』을 연구하였다. 특히 성대의 『육서심원』은 『설문』을 계승한 『옥편』, 『자휘』, 『강희자전』, 『광운』, 『집운』등을 이용하여 자학서의 집대성을 시도하려고 한 대저술이다. 이는 한자가 우리나라에 유입된 이후로 자랑할만한 자서겸 자학서라고 할 수 있다. 성대는 『육서심원』의 수편에 자신의 육서관을 집약하였는데 그는 『설문』에서 정립한 육서론을 계승하고 아울러 자신 나름의 육서분류를 하였다. 즉 상형류, 지사류, 회의류, 해성류, 전주류, 가차류로 분류하였다. 상형류는 상형과 결합한 문자들이며, 지사류는 지사와 결합한 문자들이며, 회의류는 의미로 결합한 문자들이며, 전주류는 형전, 성전, 의전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류하였으며, 가차류도 『설문』의 방법을 계승하였다. 이러한 분류는 상형, 지사, 회의, 해성이 서로 혼재하는 현상이 잔존하지만 이러한 분류는 나름대로 그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특히 해성류의 분류를 아주 세밀하게 한글의 받침소리를 분류기준으로 하여 나누었으며, 해성자에 있어서 성부도 은의가 있음을 고려하였다. 문자를 해석함에 있어서 모자의 자형, 자의, 자음중 자음을 반절로 병음함에 있어서 반절도 자형, 자의와 관련성을 바탕으로 한 병음법을 이용하엿으며 문자를 설명함에 있어서도 반절음을 활용하였다는 점이며, 해성자도 약시자 즉 성모를 이용하여 설명하였다는 점이다. 따라서 『육서심원』은 한자학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값진 연구물이므로 앞으로 더욱 많은 연구가 필요한 저서라고 할 수 있다. Although we decide that the time that Chinese characters were transmitted to Korea is the point of founding of Ko Kyu Rye among Ko Kyu Rye, Back Jae and Chin La, we can assume Korean had used Chinese characters before that time. Namely, I can assume that Chinese characters were transmitted to foreign countries after Han Sa Gun was founded. What I could choose as a real Sul-Mun Hak research after that is On Jea Park, Sun Su s [Sul Mun Hea Ja Ik Jing] and Sung Dae Kwan, Byung Hun s [Youk Soe Sim Won]/ On-Jea had a research about {Sul Mun} by using Gum Mun and Sung-Dae had research about [Sul Mun], using Gum Mun, Ju Mun, Go Mun and So Jeon. Especially , Sung Dae s [ Youk S? Sim Won] is a great book that had been tried to complie books for self-studying into one book, using [Ok Peon], ]Ja Hwe], [Kang Hee Ja Heon], [Gwang Un] and [Jip Un] that secceed to [Sul Mun]. This is and excellent book for self-studying after Chinese characters were transmitted to Korea. Sung Dae complied his Youk Seo into one book in the head part of [Youk Seo Sim Won]. He secceede to Youk Seo Theory which he made in [Sul-Mun] and he also classified his own Youk Seo. In other words, He classified it into the types of Sang Hyung is Wee, Hea Sung, Jeon Ju and Ga Cha. The type of Sang Hyung is characters which are combined with Sang Hyung. The types of Ji Sa is characters which are combined with Ji Sa. The types of Heo Wee is chracters which are combined with meaning. The types of Jeon Ju is classified with methods such as Hyung Jeon, Sung Jeon, or Wee Jeon, etc. The type of Ga Cha is transmitted with ways of [Sul Mun]. This kind of classification is the situation that Sang Hyng, Ji Sa, Heo Wee and Hae Sing are mixed with one another. However, the classification has its own characteristics. Further, Sung Dae classified the type of Hae Sung on the basis of Bat Chim So Ri of Han Gul very elaborately. He also considred that there are hiding meanings in the parts of sound of Hea Sung Ja. As he interpret characters and connect Ja Um among Ja Hyung, Ja Wee and Ja Um of original characters with Ban Joel, he used Byung Um Bub which is based on the fact that Ban Joel also has relation with Ja hyung and Ja Wee. As he explained characters, he made use of Ban Jeol Um. He also explained Hea Sung Ja by using Yak Si Ja, that is ,Sung Mo. Therefore, since [Youk Seo Sim Won] is a value research book which has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the Chinese characters studies, more researches are needed for this book.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