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ersonality Correlates of Political Support: Evidence from South Korea

        하상응 충남대학교 아시아여론연구소 2019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Vol.7 No.4

        Despite a vast amount of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political attitudes,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s of personality on individuals’ support for the political system of their own country. Using three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sets from South Korea,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the personality dimensions—particularly, Agreeableness—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olitical support, which encompasses confidence in the presidency, confidence in the government, and national prid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wo facets of Agreeableness—trust and compliance—are activated in expressing individuals’ support for their political system. Thus, mobilizing citizens who score high on Agreeableness is essential to maintain political stability and legitimacy, but such a task appears to be difficult, given that ideological polarization discourages them from being politically active due to their propensity to conflict avoidance.

      • KCI우수등재

        유권자의 정치 관심은 언제나 바람직한가?: 정부 신뢰의 이념 편향을 중심으로

        하상응,길정아 한국정치학회 2020 한국정치학회보 Vol.54 No.2

        Politically interested voters are more likely to be actively engaged in politics, which contributes to enhancing governmental accountability and responsiveness. Previous studies have proposed a variety of civic education programs that intend to increase political interest of ordinary citizens, assuming that political interest can make voters rational and political system stable. This study argues that, in an ideologically polarized era, political interest can be detrimental to democratic governance. Analysis reveals that trust in government—a key element for the health of democracy—tends to be influenced by voters’ ideology: conservative voters demonstrate higher levels of trust in government under the conservative regime, while liberal voters show higher levels of trust in government under the liberal regime. Such an ideological bias turns out to be larger among politically interested voters than their counterpar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olitically interested voters are not necessarily rational voters; rather, they are likely to exacerbate ideological polarization. 정치에 관심을 갖는 유권자들은 정치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정부의 책임성과 반응성을 제고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많은 연구들은 유권자의 정치 관심을 증진시키는 방안으로 시민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다. 기존 연구들은 정치 관심이 가지는 규범적으로 바람직하며 긍정적인 속성에 초점을 맞추어 왔던 것이다. 기존 연구와 달리 이 연구는 정치 관심이 갖는 부작용을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정치 관심이 높은 유권자들에게서 더욱 강한 이념 편향성이 나타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검증하고 있다. 설문 자료 분석 결과, 보수 정당이 집권한 2014년에는 보수적인 유권자가 정부를 보다 신뢰하는 반면, 진보 정당이 집권한 2018년에는 진보적인 유권자가 정부에 대해 높은 신뢰를 보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이 경향성이 정치 관심이 높은 유권자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난다는 결과가 본 연구의 핵심적인 발견이다. 이 연구는 이념적으로 양극화된 정치적 환경 하에서 바람직한 대의민주주의의 실현을 위해서는 정치 관심의 고취에 그치는 것이 아닌, 합리적 유권자의 육성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한국의 피선거권과 정당가입 연령 하향에 대한 고찰

        하상응,한정훈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25 한국정치연구 Vol.34 No.1

        2021년 말 공직선거법 및 정당법이 개정되어 2022년부터 피선거권 연령은 만18세, 정당 가입 연령은 만16세로 하향 조정되었다. 이러한 제도 개선은 2020년 1 월 선거권 연령이 만18세로 낮추어진 변화(공직선거법 제15조 1항)에 발맞추기 위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피선거권 연령을 만18세, 정당가입 연령을 만16세로 하향 조정한 선거제도 개혁의 실효성을 논리적, 경험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비교정치학적 관점에서 유럽 여러 국가들의 선거권과 피선거권 개혁의 목적과 추세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 내 제도 개혁의 특징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피선거권과 정당가입 연령 조정에 따른 거시적 효과를 제도 개혁 전후전국지방선거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검증한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제도 개혁이개인적 수준에서 한국 유권자들 사이에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검증한다. At the end of 2021, laws were amended, lowering the age for candidacy to 18 and the age for political party membership to 16 in South Korea. This institutional reform was made in line with the change in January 2020, which lowered the voting age to 18.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electoral system reform, which lowered the age for candidacy to 18 and the age for political party membership to 16. The present study desribes the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al reforms in South Korean society, based on the trends of electoral reforms in various European countries from a comparative politics perspective. This study alsol examines the effects of lowering the age for candidacy and political party membership by comparing the results of national and local elections before and after the reform. Finally, this study reports the results from analysis of survey data to investigate how such institutional reforms are perceived by South Korean voters.

      • KCI등재
      • KCI등재

        Personality Traits and Civic Engagement: The Case of South Korea

        하상응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9 Journal of Asian Sociology Vol.48 No.4

        This article expands on previous research on the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civic engagement by evaluating the role of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with regard to associational membership and volunteering activities. The results of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the South Korean population demonstrate a variety of effects of personality on participatory patterns. Individuals high in Agreeableness or Emotional Stability are likely to be active in at least one voluntary civic organization. Meanwhile, individuals high in Openness are likely to be involved in a larger number of organizations and to be more active in volunteering. Extraversion also turns out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voluntary associations with which people are affiliated. These findings are in line with those from previous studies conducted in Western cultures, and therefore contribute to enhancing the external valid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civic engagement.

      • KCI등재

        정서 양극화와 집단 정체성 인식

        하상응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2022 亞細亞硏究 Vol.65 No.4

        Using an online survey conducted in the context of the 20th South Korean parliamentary election,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ffective polarization (i.e., partisanship-based in-group favoritism) is associated with individuals’ national identity and attitudes toward immigrants. The present study tests a set of hypotheses based on a social psychological theory that suggests in-group favoritism is fungible. Analysis demonstrates that individuals are more likely to hold strong national identity and express antagonism against immigrants, as the level of affective polarization increases. The findings, which are more salient among those who support conservative political parties than their counterparts, imply that affective polarization may be able to promote nationalistic sentiments, out-group prejudice, and populist attitudes. 이 연구는 온라인 설문자료 분석을 통해 유권자 차원에서의 정서 양극화가 직관적으로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유권자의 다른 태도와도 상관관계를 맺고 있음을 보기 위한 작업이다. 유권자 개인 기준으로 보았을 때, 다른 정당 대비 자신이 지지하는 정당에 대한 호감도가 상대적으로 높을수록 보다 강한 국민정체성을 갖고 이주민에 대한 태도는 더 부정적일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한다. 이러한 가설은 한 영역에서의 내집단 중심주의가 다른 영역에서의 배타성과 상관관계를 맺는다는 이론적 근거에 기반하고 있다. 분석 결과, 국민정체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이념 성향, 학력, 세대 등을 통제한 상황에서도, 새누리당 지지자는 자신의 정당에 대한 상대적 호감도가 높아질수록 더 강한 국민정체성 인식을 보여주었고, 유사한 관계가 국민의당 지지자의 경우에도 확인되었다. 마찬가지로 정당 기반 내집단 중심주의가 잠재적 이주민에 대한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경향성은 그 이주민이 중국인인 경우에만 무당파 대비 새누리당 지지자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 양극화 현상이 가져올 수 있는 폭넓은 부작용에 대한 경고를 주고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