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문화가정의 사회적 지원 방안

        하미용 호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9 인간과사회 Vol.2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on social supporting methods for multi-cultural families. 161 participants from the husbands and their foreign spouses in Yeon-gi District were analysed, SPSS 15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uring the stage of family relationship formation, family education programs are needed to be developed and put into practice. Specifically, the programs should include integrated information service on life in Korea, designated help desk in public offices, translation services, regulation on the international matchmaking businesses, and family education according to life-cycle. Second, programs should be sought to use the female immigrants married to Koreans as valuable human resourc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community. The methods need to be specified and customized to their region(urban or rural area), social status, nationality, residential period, and level of education. Third, the policy and support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 the way of interactive adaptation and integrated approach, respecting the cultures of the female immigrants married to Koreans.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하미용,남상권 한국예술치료학회 2011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는 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Y군 내 위치한 지역 아동센터 초등학교 저학년 8명(남아 1명, 여아 7명)이다. 프로그램은 매주 2회, 90분씩 총 15회기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된 도구는 투사검사 인 K-HTP(동적 집-나무-사람)와 KSD(학교생활화), Coopersmith(1987)의 아동용 자 아존중감 척도를 신철(1997)이 수정보완 한 자아존중감척도, 정범모(1971)가 제작한 초 등학교 인성검사 중 사회성 검사 내용을 권영세(1999)가 수정, 보완한 사회성척도를 초등학교 2학년 수준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검사 도구에 의해 측정된 사 전, 사후 검사 점수를 토대로 t검증 하였으며, 조사된 자료의 처리는 SPSS/PC(ver. 11.0)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아존중감 하위 척도의 일반적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아존중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 고,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투사 검사 분석을 통해서도 확인되었다. 둘째,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다. 특히 사회성 하위척도의 협동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사교성척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셋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 램은 회기별 활동에서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와 몇 가지 연구의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의 효과를 검증한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농촌지역 결혼이주여성의 일 경험 "날고 싶은 거위의 꿈"

        남기민 ( Ki Min Nam ),하미용 ( Mi Yong Ha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가족복지학 Vol.37 No.-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 결혼이주여성의 일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밝히고 이들이 어떻게 한국사회에 통합되어 나가는지 보다 풍부한 이해를 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고 연구 참여자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면서 일을 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으로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등록된 자이며 총 8명이다. 자료수집 방법은 심층면담을 사용하였고 자료의 분석은 Colaizzi가 제시한 7단계들에 의거하였으며 연구결과, 경험의 본질적 구조로서 22개의 주제와 8개의 주제묶음을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경험의 8가지 주제묶음은 ``낯 선 땅에서 살아남는 길 찾아 나서기``,``차별과 편견의 문 두드리기``,``현실의 벽에 마주하기``,``버텨내기``,``갈림길에 서기``,``한 걸음 더 나아가기``,``버팀목에 기대기``,``미래를 향한 꿈꾸기`` 등 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적 개입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개입방안들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eaning and nature of work experience of the marriage migrant female at rural areas and to understand how they have been integrated in the Korean society,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The subjects were 8 marriage migrant female at rural areas who were registered at multi 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depth interview was used, Data were analized according to Colaizzi`s 7 stages. The study results consisted of 22 subjects and 8 subject groups of essential structure of the experience. These categories were characterized as follows: ``Discovery of ways to survive in unfamiliar land``, ``Knock on the door of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Facing wall of reality,`` ``Enduring``, ``Standing up at crossroad``, ``Going ahead one step more``, ``Relying upon wooden support``, and ``Dreaming for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it suggestions for social work political and practical intervention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