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 고분의 젠더 분석 시론 - 적석목곽묘를 중심으로-

        하대룡 중부고고학회 2023 고고학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적석목곽묘를 중심으로 한 신라 고분을 대상으로, 피장자의 젠더에 따라 부장품을 비롯한 무덤의 구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구체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통해, 신라 고분에 표현된 젠더관계의 성격은 무엇이고 그것이 함의하는 바는 무엇인지 고찰하는 데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크게 세 가지 절차를 통해 진행하였다. 첫째는 이론적인 문제로 성별과 젠더 간의 관계를 고고학적으로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의 선결과제이고, 둘째는 방법론적 문제로써 인골자료의 부재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의 문제이며, 셋째는 분석적 문제로써 구체적으로 어떻게 분석을 수행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성별-젠더 관계에 대한 이론적 문제는 기본적으로 양자가 분리된 것이라는 입장에서 접근하고자 하였으며, 성별 판단의 방법론적 문제에 대해서는 인골 자료가 결여된 현실적 문제를 받아들여, 현존하는 가설 두가지 입장(대도 가설, 천 가설) 모두를 고려하는 것을 택하였다. 분석적 문제는 두 가지 가설 각각에 따라 젠더를 구분하고 그에 따른 부장품 양상을 비교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분석 결과는, 각 가설에 따라 젠더 별 부장품 구성은 매우 상이하게 나타났으나, 결과적으로 어느 가설을 따르든 적석목곽묘에서는 젠더에 의해 토기 또는 철기의 구성과 내용, 수량에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사회적 지위가 같더라도, 젠더에 따라 정치적·경제적 권력에서 차별화가 있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사회복합화의 진전과 젠더 차별화가 상당한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종래의 고고학적·인류학적 성과와 궤를 같이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동시의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권력이 반드시 일치하지않았음을 시사한다. 신라의 고총기는 국가 단계, 혹은 고대국가로 향하는 과도기적 단계로 여겨지는 만큼, 심화되는 사회적 차별화에 준하는 젠더 차별화가 진행되었으며, 그것이 무덤 자료에도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composition of tombs, focusing on burial goods, varies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deceased, by targeting the Silla tomb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ree major procedures. First is the theoretical issue of how to 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sex and gender archaeologically. Second is the methodological issue of how to overcome the absence of skeletal data. Third is the analytical issue of how to specifically conduct the analysis. I approached the theoretical issue of sex-gender relationship from the standpoint that the two are separate. For the methodological issue of determining sex, given the realistic problem of the lack of skeletal data, I chose to consider both existing hypothesis. For the analytical issue, I chose a method that distinguishes gender according to each hypothesis and compares the patterns of burial goods accordingly.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composition of burial goods by gender varied greatly depending on both hypothesis. However, regardless of which hypothesis is followed, it was reveal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mposition, content, and quantity of pottery or ironware according to gender. This is interpreted as there being discrimination in political and economic power according to gender, even if the social status is the same. Such analysis results are considered to coincide with the traditional archaeological and anthropological achievements that show a certain correlation between social complexity and gender discrimination. It also suggests that women's social status and power did not necessarily coincide. Since the ancient Silla period is considered a transitional stage towards an ancient state, it is judged that gender discrimination, equivalent to social discrimination, proceeded, and this is reflected in the mortuary practice.

      • KCI등재

        신라 적석목곽묘 계층화와 의례적 자원 차별화 - 지니계수 분석을 출발점으로 -

        하대룡 영남고고학회 2023 嶺南考古學 Vol.- No.97

        본고의 목적은 토기, 철기, 봉분 등 적석목곽묘의 장례에 투입된 의례적 자원의 양적 측면이 피장자의 계서에 따라 차별화되는 양상을구체적으로 밝히고, 이를 통해 축조집단이 의도한 바가 무엇인지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일차적으로 각 변수(토기 63기 4,859점, 철기 47기 4,565점, 봉분 60기)의 차등적 분포를 지니계수로 검토한 결과, 철기(0.90)와 봉분(0.78)은 여타 국가형성기 자료에 근접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토기(0.63)는 크게 낮은 수치를 보였다. 아울러 황남대총 남분은 여타 고분에 비해 비교불가의 자원 투입량을 보여, 현존 유일의 조사된 왕릉으로 추정되었다. 이후 착장위세품의 공반양상을 통해 잠정적으로 6개 계서로 피장자를 등급화하고, 등급에 따른 자원의 투입량을 비교하였다. 계서와 의례적 자원의 투입량은 복잡한 관계를 보였는데, 토기의 경우 부곽이 설치된 경우 계서에 따라 부장량이 증가하였으나, 부곽이 설치되지않은 경우 계서가 높아져도 증가하지 않았으며, 이로 인해 토기의 지니계수는 낮은 값을 보였다. 철기 또한 유사한 방식으로, 세환군은 계서와 부장량이 비례관계를 보였으나, 태환군은 그렇지 않았다. 다만 철기는 황남대총 남분에 극도로 집중되어 높은 지니계수가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면 피장자 집단이 착장위세품에 의해 수직적으로, 다른 요소에 의해 수평적으로 분화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적석목곽묘의 부장품 종류와 수량은 임의적, 경쟁적으로 결정된 것이 아니라, 사회적 합의와 의례적 규범에 의해피장자의 수평적, 수직적 위치에 따라 결정되었음을 시사하며, 의례적 자원 투자에 대한 합의와 규범은 조묘자 간의 과도한 경쟁과 과시를 제한하여 최고지배집단의 이념적 조작과 재생산을 독점하는 기제로 작동하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현재 정황으로 보아 왕릉으로 여겨지는 봉황대와 서봉황대는 부곽을 갖추고 대량의 토기ㆍ철기를 부장하였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추정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quantitative differences in ritual resources like pottery, ironware, and mound size in th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based on the deceased’s rank. Using the Gini coefficient, ironware (0.90) and mound (0.78) aligned with state formation data, while pottery (0.63) deviated significantly. Hwangnamdaechong stood out with its resource investment, suggesting it’s a unique royal tomb. The deceased were categorized into six ranks using ornaments, revealing a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rank and resource investment. The distribution of burial goods in stone chamber wooden coffin tombs wasn’t random but determined by the deceased’s social and vertical position, adhering to societal consensus and ritual norms. This system curbed excessive competition among the living, reinforcing the dominance of the top ruling group. Bonghwangdae and Seobonghwangdae, believed to be tombs of kings(Maripgan), likely had attached chambers and significant pottery and ironware burial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