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항 민족주의’의 계승과 발전: 북한의 우리 국가제일주의

        표윤신,허재영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22 문화와 정치 Vol.9 No.4

        This Many studies interpret the ‘Our State First’ has advocated by North Korea since 2017 as a strengthening of ‘Statism’. It is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as North Korea's recent emphasis on the identity of a ‘state’. However, this study aims to show that ‘Our State First’ is a kind of ‘nationalism’ that connects the lineage of ‘resistant nationalism’ which North Korea has used to justify its authority in the face of threats from outside. To this end, we will examine how the Juche ideology was born as a resistant nationalism, examine how ‘Minjock Jeiljueu’(North Korean Superiorism) has inherited it, and show how ‘Our State First’ is a concept developed based on the above nationalisms. The argument that ‘Our State First’, which emerged along with the completion of nuclear force, should be looked at in the context of ‘resistant nationalism’ rather than a new ‘statism’ discourse will provide a new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North Korea's nuclear discourse. 2017년부터 북한이 주창하는 ‘우리 국가제일주의’를 두고 많은 연구들은 ‘국가주의’의 강화라고 해석하고 있다. 최근 북한이 ‘국가’의 정체성을 강조하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파악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우리 국가제일주의’는 북한이 외부로부터 위협에 맞서 체제의 정체성 강화에 활용해 왔던 ‘저항 민족주의’의 계보를 잇는 ‘민족주의’라는 것을 보여줌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앞서 주체사상이 어떻게 저항 민족주의로서 태동됐는지 살펴보고 조선/우리 민족제일주의가 이를 어떻게 계승했는지 고찰하며, 우리 국가제일주의가 위의 민족주의들에 기반해 발전한 개념임을 보여주고자 한다. 핵무력 완성과 함께 등장한 우리 국가제일주의는 새로운 ‘국가주의’ 담론이 아닌 ‘저항 민족주의’의 맥락에서 살펴봐야 한다는 주장은 북한의 핵 담론을 이해하는 데도 새로운 시각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김정은 시대 북한의 국가성격은 변화하고 있는가?: 당ㆍ정ㆍ군 현지지도 네트워크 분석

        표윤신,허재영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19 한국과 국제정치 Vol.35 No.3

        Kim Jong-un of North Korea constructed a party-government-military regime system by being inaugurated as the head of the People’s Party and the chairman of State Affairs at the 7th conventions of Korea Worker’s Party in 2016. Unlike his father, Kim Jong-il, who adopted a military-first politics called Songun politics, Kim Jong-un put his efforts to carry out typical socialist policies that could build up an image as a ‘normal state’. This research tries to find out that Kim Jong-un's effort to depart from ‘Songun politics’ and make a ‘normal state’ would have impact on the power structure of North Korea. To figure out the changes in the power structure, it used the social network analysis on the North Korean elites from party, government and military that accompanied on the Kim Jong-un’s onsite visits. By calculating eigenvector centrality which could measure the power changes in networks, this research would identify that the power structure in North Korean elites would shift from military elites to party and government elites in Kim Jong-un regime.

      • KCI등재

        미국 의회의 대북제재 법안 통과 결정요인 분석

        표윤신(Yoonshin Pyo),허재영(Jaeyoung Hur)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21 연구방법논총 Vol.6 No.3

        바이든 행정부의 출범 이후 미국이 대북제재를 높여 갈 지 완화 할 지에 대한 예측들이 쏟아지고 있다. 그동안 미국의 대북제재 향방에 있어 행정부에만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어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미국 의회는 스스로 대북제재 법안을 만들어 통과시키는 등 대북제재의 주체로서 그 중요성을 과시하고 있다. 미국 의회는 그동안 북한의 핵개발 및 미사일 개발에 대해 꾸준히 제재 법안을 만들어 왔다. 하지만 통과된 대북제재 법은 "2016 대북제재 및 정책 강화법(H.R.757)". "2017 제재를 통한 미국의 적성국에 대한 대응법(H.R.3364)", "2020 국방수권법 중 2019 오토웜비어 북핵 제재법(S.1790)" 단 3건 뿐이다. 발의된 많은 법안(bill) 중 이 3개의 법(law)이 통과되는 데는 어떤 결정요인이 작용한 것일까? 본 연구는 미국 의회의 대북제재 입법을 법안 특성 요인과 행위자 요인으로 나누어 총 4가지 결정요인을 살펴보았다. 통과된 3개 법은 북한 뿐 아니라 제3국까지 제재 대상에 넣는 2차 제제의 성격을 갖고 있다. 이들 법의 통과에는 북한의 도발보다는 중국과 러시아처럼 2차 제재의 대상이 되는 제3국과 미국의 대외관계가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회와 행정부의 관계 역시 법안 통과에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법안의 대표 발의자가 외교 또는 국방위원회의 상임위원장일 경우 법안 통과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미국의 대북제재를 예측함에 있어서 북한의 도발이라는 1차적 요인 외에 입체적인 요인들을 함께 살펴볼 것을 제시한다. Since the Biden administration took office, we have focused on whether the administration will strengthen or ease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This is because we have considered the administration as the most important agent in the U.S. decision to impose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Recently, however, the U.S. Congress has been showing off its importance as the main agent of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by making and passing laws o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The U.S. Congress has been steadily proposed bills to impose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development. However, the only 3 bills became laws - "North Korea Sanctions and Policy Enhancement Act of 2016(H.R.757)", "Countering America"s Adversaries Through Sanctions Act(H.R.3364)" and "Otto. Warmbier North Korea Nuclear Sanctions and Enforcement Act of 2019 (S.1790)". What was the determinants of the passage of these three laws among the many bills proposed? This study examines four determinants of the U.S. Congress"s North Korea sanctions legislation by dividing it into bill characteristic factors and actor factors. The three passed laws contained secondary sanctions that impose not only North Korea but also third countries. It was found that foreign relation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ird countries such as China and Russia had a greater impact on the passage of these laws than North Korea"s provoca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gress and the administration(president) also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passage of the bill, and it was found that the passage of the bill was effective if the representative initiator of the bill was the chairman of the Foreign Affairs or National Defense Commission. This study proposes to look at three-dimensional factors in addition to the primary factor of North Korea"s provocation in predicting U.S.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 KCI우수등재

        국제사회의 대북 경제제재와 북한 '로동신문'의 대응담론 : 김정일 체제와 김정은 체제의 비교

        허재영,표윤신,조화순 한국정치학회 2017 한국정치학회보 Vol.51 No.5

        The international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s nuclear test started after its first nuclear test in 2006 and reinforced so far for more than 10 years with repeated nuclear tests. Even though the sanctions continued for a substantial period of time, it was almost impossible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sanctions, given there was no credible economic figures in North Korea due to the North Korea’s closed economy. This paper focuses on finding out the discourses North Korea made against sanctions by text analyzing Rodong Sinmun. This paper could shed light on the direction of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midst the absence of information on effectiveness of sanctions. 국제사회는 북한이 첫 핵실험을 강행한 2006년부터 강도 높은 대북 경제제재를 실시해왔다. 그러나 1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 북한의 추가 핵실험과 국제사회의 대북 경제제재의 악순환이 계속되고있다. 기존 연구들은 주로 북한의 무역수지를 분석함으로써 제재의 실효성을 논의해왔으나, 이는 북한 경제의 폐쇄성을 고려할 때 한계점을 지닐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로써 북한이 대북 경제제재에 대해 형성하는 담론을 분석했다. 북한이 조선로동당의 기관지 로동신문을 통해 표현한 경제제재에 대한 반응을 텍스트 분석함으로써 제재국가별, 체제별로 북한이 만들어내는 담론을 추적하고 비교하였다. 본연구는 대북 경제제재에 관한 북한사회 내 담론 변화에 맞춰 대응할 수 있는 정책이 무엇인지를발견할 수 있게 함으로써 대북정책의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