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정서 경험에 따른 주관안녕, 건강지각 및 신체질병의 예측

        한덕웅,표승연 한국건강심리학회 2002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7 No.3

        We investigated the connections of the emotional experiences in everyday life to subjective well-being, health perception and physical illness through a survey research. We also examined the relative predictive power of emotion dimension approach(ie, positive or negative emotions) and emotion category approach(discrete emotions) to those relationships. Participants in this survey were 1309 students(344 male college students, 324 female college students, 304 male high school students, 346 female high school students) from three regional areas in Korea. The results obtained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showed that both of the dimension model and the discrete category model were validated to predict subjective well-being, health perception and physical illness, provided appropriate and frequently used emotion terms were chose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lso showed that different discrete emotions were connected to cardiovascular, respiratory, skin and digestive disease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previous studie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added. 정서경험이 주관안녕, 건강지각 및 신체질병을 예측하는데 유의하게 기여하는지 조사연구를 통해서 알아보았다. 정서경험을 정적 및 부적 차원으로 분류한 차원모형과 아울러 정서의 성질에 따라서 범주로 구분한 범주모형 가운데 설명력이 높은 모형을 탐색하고자 전국 3개 지역에서 고등학생과 대학생 1309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사용빈도와 적절성이 높은 정적/부적정서 각 100문항으로 차원모형을 검증한 결과에서 주관안녕, 건강지각 및 신체질병을 모두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사용빈도와 적절성이 비교적 높지 않은 정적/부적정서 각 60문항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신체질병의 설명변량이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정적정서를 5범주로 구분하고 부적정서를 7범주로 구분하여 범주모형을 검증한 결과를 보면 12개 정서가 세 준거변인들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정서들 가운데 전체주관안녕과 주관안녕인지를 유의하게 예측한 정서는 우울, 자부심, 기쁨이었고, 주관안녕정서를 유의하게 예측한 정서는 우울, 기쁨, 자부심, 적개심이었다. 또한 건강지각을 유의하게 예측한 정서는 우울, 자부심, 우애, 공포였고, 신체질병을 유의하게 예측한 정서는 유쾌감과 공포였다. 한편, 질병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을 판별하는데 기여하는 정서는 분노, 적개심, 우울, 공포, 유쾌감이었다. 특정 질병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을 구분해 주는 정서를 판별분석한 결과, 감기는 우울, 유쾌감, 애정, 소화계통에는 유쾌감, 심혈관계질병에는 자부심과 유쾌감, 피부병과 비염에는 기쁨이 유의한 단일판별 기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정서 범주들에 속하는 용어들의 적절성이 높으면 주관안녕, 건강지각 및 신체질병이 예측되며, 여러 신체질병마다 관련되는 정서들이 서로 다르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장래 연구의 방향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양자관계에서 조절초점부합과 과제요구가 공동수행자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

        한덕웅,양모현,표승연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rough a laboratory experiment the effects of regulatory focus-fits among dyad and task demands upon partner choice in collective task.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higher the regulatory focus among self, partner, and task demands, the higher the choice as the participant's partner.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2 self-regulatory focus(promotion vs. prevention) × ⑵ regulatory focus-fits between self and partner(fit vs. nonfit) × 3 task demands(promotion vs. prevention vs. mixed strategy) randomized mixed factorial design. Self-regulatory focus was measured by two self-regulation scales and the participants with high-promotion or high-prevention focus were selected. Regulatory focus of two potential partners were manipulated by two questionnaires. The task demands were framed in terms of the task performance strategies. Ninety eight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6 condi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main hypothesis of regulatory-fits were confirmed: ⑴Participants chose good-fit partners more than poor-fit partners. ⑵Higher choice of good-fit partners was consistently observed among the participants with high-promotion focus in spite of differences in task demands. But choice of good-fit partners was differently appeared according to the task demands. ⑶Three way interaction effect of self-regulatory focus, self-partner regulatory fits and task demands were also fou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regulatory focus-fit hypothese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added. 본 연구에서는 두 사람이 짝을 이루어 공동으로 집합과제를 수행하는 상황에서 자기와 상대의 만성적 동기지향성인 조절초점과 아울러 과제에서 요구하는 전략이 서로 부합하는 수준에 따라서 상대의 선택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실험을 통하여 알아내었다. 조절초점부합가설을 대인관계로 확장하여 양자관계에서 과제요구의 조절초점에 부합하는 상대일수록 많이 선택한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먼저 자기의 향상조절초점이나 예방조절초점이 각각 높은 사람들을 선별하고, 이들에게 향상조절초점과 예방조절초점이 각각 높은 사람들을 제시한 다음에 자신과 공동수행을 함께 할 상대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중요한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⑴자기와 과제요구의 조절초점이 부합하면 자신과 부합하는 상대를 부합하지 않는 사람보다 많이 선택하였다. 이 현상은 향상조절초점이나 예방조절초점이 높은 사람들에서 모두 일관되게 나타났다. ⑵자기와 조절초점이 부합하는 상대를 부합하지 않는 상대보다 많이 선택하였다. ⑶과제수행의 전략으로 향상과제, 예방과제 및 복합과제의 세 과제요구에 따라서 자기와 조절초점이 부합하는 상대를 선택한 반응이 달라져서 3원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자기향상조절초점이 높은 사람들은 과제요구와 상관없이 자신과 부합하는 상대를 많이 선택한 바와 달리 자기예방조절초점이 높은 사람들은 예방과제에서만 이 현상을 보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장래 연구를 위한 시사점들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