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러시아어 형태론의 변화 양상 - 활용 체계에서 분석성 -

        표상용 ( Sangyong Pyo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21 슬라브연구 Vol.37 No.3

        동사에서 발생하는 분석적 구조의 한 단면으로 본 논문은 상 중립 동사, 돌발형 동사, 동사 미정형, 동사 미래시제, 동사의 [대동사 + 추상명사]구문으로의 전이 등을 다루고 있다. 러시아어 동사에서 분석적 구조에 대한 연구가 미흡했던 만큼 의미 있는 연구이다. ① 동사 자립미정형 사용은 점차 활발해지고 있으며 활용체계의 굴절어미가 발현하지 않는 점에서 분석적 경향의 취지에 부합한다. 명사 대용에서는 문법표지가 없지만 성, 수 범주는 내재하며 활용형의 대용에서는 양상적 의미, 뉘앙스 등이 발현하지 않는다. ② 미래시제는 분석적 구조와 종합적 구조가 경쟁관계이다. 남슬라브어에서 종합적 구조는 소멸, 연사 быть를 통한 분석적구조로만 발현하지만 러시아어에서는 종합적 구조의 발현 빈도가 압도적으로 우세하다. 즉, 미래시제에서 분석적 경향은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종합적 구조(완료상 미래)와 분석적 구조(불완료상 미래)가 지시하는 시간대 차이로 인해 분석적 구조로의 전이가 용이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③ 양상(двувидовые)동사는 신조 동사의 30% - 40%를 차지할 정도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현대 러시아어에서 상 기능이 약화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학계는 이러한 견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신조 동사만 분석 대상으로 하면 러시아어 상 체계는 완료상, 불완료상의 2원 체제가 아니라 완료상, 불완료상, 양상의 3원 체계이다. 양상동사의 양적 증가는 분석적 경향에 합치한다: 문법범주의 약화, 소멸은 그 대체 수단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한 언어 전체적으로 보면 분석적 구조로 나가는 것이다. ④ 돌발형 동사는 시제, 성, 인칭 등이 문법 표지로 전혀 발현하지 않는 특이한 형태이다. 굴절어미가 발현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분석적 구조로의 전이에 해당되며 향후 범위를 넓힐 경우 다른 유럽어, 이를테면 영어나 독일어보다 이 형태에서만은 가장 분석적인 형태이다. ⑤ 하나의 동사를 [동사 + 명사]구로 표현하는 분석적 구조는 단일 동사와 동의관계이다. 구어와 대중매체에서 [동사+명사]의 분석적 구문이 더 선호되고 있으며 양적으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매스미디어 언어에서 자동사의 대동사로 идти(혹은 пройти), 타동사의 대동사로 вести(혹은 провести)의 분석적 구문이 아무런 제약 없이 발현하고 있으며 러시아어의 분석적 경향에 중요한 항목으로 간주된다. It was recognized that analytic properties in the conjugation system rarely occur compared to the inflection system, but the analytic structures expressed in verbs are in the verb future tense (буду писать), in the subjunctive [бы+ verb past tense], and in the imperative form [пусть (пускай, пускай, пущай)+ 3rd person singular/plural], [давай(давайте)+ infinitive(or 1st person plural)], passive verbs past/future tense (построен, был построен, будет построен). This paper deals with bi-aspectual verbs, interjection-verb words, verbs bare infinitive forms, verb future tenses, and transitions of verbs to the [verb+ abstract noun] construction as a cross section of the analytic structure that occurs in verbs. It is a meaningful study as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the analytical structure of verbs in Russian, regardless of synchronic or diachronic morphology. ① In the past, the verbal infinitive expressed command, justification, condition, question, resentment, etc. but now it appears on the same level as the noun or instead of the verb conjugation rather than the use to express these modal meanings. ② In the future tense, the analytic structure and the synthetic structure are in competition. In Russian, the analytic structure is insignificant and the frequency of expression of the synthetic structure is overwhelmingly dominant. In other words, there is no analytical trend in the future tense, and it is judged that the transition to the analytical structure is not easy due to the time difference indicated by the synthetic structure (perfect future) and the analytical structure (imperfect future). ③ Bi-aspect (двувидовые) verbs are increasing rapidly, accounting for 30%-40% of new verbs. This can be seen as a weakening of the aspectual meaning in modern Russian, but the academic community does not accept this view. When only the neologism verbs were analyzed, the Russian Aspect category changed to a ternary system of perfect, imperfect, and bi-aspect rather than a binary system of perfect and imperfect. Also, if there is no lack of expression of grammatical meaning in dialogue even in the absence of a counterpart, the increase in the quantity of bi-aspectual verbs is consistent with the analytical trend: the weakening and disappearance of the grammatical category is the analytic tendency of the language as a whole, even if the alternative means does not appear at all. ④ Interjection-verb words are a unique form in which tense, gender, and person do not appear as grammatical markers at all. Previously they focused on the expressive meaning, but now they are being coined without any restrictions and without any expressive meaning. In the sense that inflectional endings are not expressed, it corresponds to a transition to an analytic structure, and when expanding the scope in the future, it is the most analytical form (without any inflectional endings) in this form than in other European languages. ⑤ The analytic construction of [verb+noun] is rather preferred in spoken language and mass media, and the quantity is rapidly increasing. In mass media languages, the analytic construction of идти (or пройти) as an intransitive verb and вести (or провести) as a transitive verb is expressed without any restrictions, and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item in the analytical trend of Russi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