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입법자의 기본권보호의무와 헌법적 통제

        표명환(Pyo Myoung-Hwan) 한국헌법학회 2005 憲法學硏究 Vol.11 No.2

        Die Entwicklung und Konsolidierung der Figur der grundrechtlichen Schutzpflicht in den letzten Jahrzehten hat diese als eine komplementare Grundrechtsfunktion neben die klassische Abwehrfunktion der Grund- rechte treten lassen. Wahrend die Abwehrfunktion den grundrechtlichen Freiheitsraum gegen staatliche Eingriffe schutzt, sichert die Schutz- pflicht das grundrechtliche Schutzgut gegen Stroungen von nichtstaatlicher Seite. So besteht insbesondere ein Unterscheid der Wir- kungsweise: Wahrend das Grundrecht als Abwehrrecht dem Burger verfassungsunmittelbar eine subjektive Rechtsposition gegen den in das Grundrecht eingreifenden Staat einraumt und erst das Gesetz einen Grundrechtseingriff gestatten kann(Gesetzesvorbehalt), wirkt die ebenfalls staatsgerichtete Schutzpflicht im Verhaltnis zum hier nichtstaatlichen Storer nicht verfassungsunmittelbar; vielmehr bedarf es erst des die Schutzpflicht einlosenden Gesetzes, um auf seiner Grundlage private Eingriffe in das grundrechtliche Schutzgut zu unterbinden (Gesetzesmediatisierung). Wahrend es in Literatur und Rechtsprechung inzwischen weitgehend anerkannt ist, daß den Grundrechten die Dimension staatlicher Schutz- pflichten zukommt und sie in dieser Funktion Handlungspflichten des Gesetzgebers zu begrunden vermogen, haben die bisher von Verfassungs- gericht entschiedenen Verfassungsbeschwerden, in denen das Unter- lassen schutzpflichtkonformer Regelung auf den Gesetzgebr gerugt worden ist, doch deutlich gemacht, daß die verfassungsprozessuale Durch- setzung gesetzgeberishcer Schutzpflichten auf einzelnen a uf vielfaltige Schwierigkeiten stoßt. Dieser Beitrag versucht, die Besonderheiten zusammenzustellen, die sich bei der Prufung der Zulassigkeit und Begrun- detheit derartiger Verfassungsbeschwerden regelmaßig ergeben.

      • KCI등재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헌법적 보호에 관한 연구

        표명환(Pyo, Myoung Hwan) 한국토지공법학회 2008 土地公法硏究 Vol.42 No.-

        Es handelt sich bei dieser Untersuchung darum, wie Raucher und Nichtraucher verfassungsrechtlich geschützt werden. Rauchen als Rechtsproblem beschäftigt dabei vor allem die Nichtraucher, die unfreiwillig zu Passivrauchen werden und sich das angesichts der gesundheitlichen Konsequenzen nicht gefallen lassen wollen. Rauchen führt deshalb zu heftigen Auseinandersetzungen zwischen Rauchern und Nichtrauchern. Kritisch wird es dort, wo Menschen auf relatvie engem Raum miteinander zu tun haben und für beide Seiten nur beschränkte Ausweichmöglichkeit bestehen. Raucher und Nichtraucher sind als Grundrechtsträger im Verfassungsrecht zu schützen. Der besondern Bedeutung der Grundrechte von Rauchern und Nichtrauchern für die verfassungsmäßige Ordnung des koreansichen Verfassungsrechts entspricht das Bestreben, den Bestand und die Wirksamkeit der Grundrechte zu schützen und zu erhalten. Der Aufgabe dieses Schutzes dienen die dem koreanische Verfassungsrecht unbekannten Regelungen des Art. 10, namentlich die Gewährleistung des Schutzes durch die Gerichte und das Institut der Verfassungsbeschwerde. Ruacher und Nichtraucher sind durch die Theorie von Schutzpflicht des Staates zu schützen. Demgemäß kann sich unmittelbar aus das Recht auf Rauchen und Nichtrauchen eine staatliche Pflicht ergeben, ein durch diese geschütztes Rechtsgut vor rechtswidrigen Eingriffen anderer zu bewahre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태아의 생명보호에 관한 헌법적 고찰

        표명환(Pyo, Myoung-Hwan) 한국토지공법학회 2010 土地公法硏究 Vol.51 No.-

        본고는 태아의 생명보호에 관한 헌법적 제문제를 중심으로 전개하였다. 헌법상 보장된 권리로서 생명권은 헌법상 예정하고 있는 모든 인간의 권리로서 인정되고 있다. 나아가 인간형성의 발전단계에 있는 태아의 주체성 또한 일반적으로 인정하고 있다. 따라서 헌법 제10조 제2문에 따라 국가는 태아의 생명권을 보호할 의무를 진다. 생명권의 주체로서 태아 의 보호와 관련하여 형법은 낙태를 원칙적으로 금지하는 규정을 두고 있다. 형법의 낙태에 관한 죄의 규정은 태아의 생명보호를 보호법익으로 하고 임신부의 자기결정권을 부차적인 것으로 하는 태아를 위한 보호입법으로서의 성질을 가진다. 그러한 점에서 형법의 낙태죄 규정은 기본권제한측면에서가 아니라 기본권보호입법의 관점에서 헌법적 정당성이 심사된다. 이와 달리 모자보건법 제14조의 인공임신중절허용의 한계 규정은 임신부의 보호규정으로서의 의미 뿐만 아니라 다른 한편 태아의 생명보호라는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모자보건법 제14조의 인공임신중절의 허용사유는 태아의 생명권을 제한하는 성질을 더욱 강하게 내포하고 있다. 그러한 점에서 모자보건법 제14조의 헌법적 심사는 기본권제한법률의 심사기준으로서 과잉금지의 원칙 및 명확성의 원칙 등이 적용된다. 본고에서는 생명의 차등적 취급을 규정하고 있는 보호입법으로서 형법의 낙태죄규정에 관하여는 기본권보호의무이론 및 인간형성 단계에서의 생명가치에 대한 차별적 취급의 헌법적 가능성을 제시하면서 헌법적 정당성을 도출하였다. 그러나 모자보건법 제14조의 인공임신중절의 허용한계규정과 관련한 적응사유에 대하여는 명확성의 원칙 및 과잉금지의 원칙 등을 적용하여 그 문제점을 제시하고 새로운 입법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고에서는 기한사유를 규정하고 있는 모자보건법 시행령 제15조와 관련한 태아의 생명보호에 대한 헌법적 문제를 제시하면서 적응사유별로 다른 기한사유를 규정할 것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described laying stress on constitutional several problems about the protection of an unborn child's life protection. The right to life as constitutional right is acknowledging as the right of all humans. Furthermore, the basic right to life of an unborn chid, who is in development stage of formation of human, is admitted. Therefore, the state takes duty to protect the right to life of an unborn chid according to sentence 2 of Art. 10 of Constitutional law. In concerning of the protection of an unborn child, who is the subject of the right to life, Criminal law keeps a regulation that prohibits abortion in principle. Regulation of crime about abortion has characters which are as benefit and protection of an unborn child's life and legislative protection law for an unborn child in pregnant's secondary self-determination. So, regulation of illegal abortion on criminal is judged from not viewpoint of restriction of nature right but the legislative protection law of nature right. In contrast, regulation of restricted permission of induced abortion on Art. 14 of Mother and Child Health Law has meanings which are as a pregnant's protective regulation as well as protection of unborn child's life. However, the reason of regulation of permission of induced abortion on Art . 14 of Mother and Child Health Law involves character restricting of right to an unborn child's life more strongly. On that score, examination of constitutional justice on Art. 14 of Mother and Child Health Law is applied the anti-overrestriction principle and the principle of definiteness as a screening of restrictive act of nature rights. In this paper, I have drawn constitutional justice with showing constitutional possibility of discriminative treatment about life's value on stage of forming human and theory of protection of required nature rights on regulation of criminal abortion on Criminal law as a legislative protection law enacting graded treatment of life. But, about regulation of restricted permission of induced abortion on Art. 14 of Mother and Child Health Law, this paper showed that problem and presented direction of new legislation, applying the antioverrestriction principle and the principle of definiteness. Also, this paper suggested regulating another reason of deadline showing constitutional problems about protection of an unborn child's life related to Art. 15 of Mother and Child Health Law which enacts the reason of deadline.

      • KCI등재

        헌법재판소의 명확성원칙의 적용에 관한 고찰

        표명환 ( Myoung-hwan Pyo ) 한국법정책학회 2020 법과 정책연구 Vol.20 No.4

        명확성원칙은 법률의 위헌여부를 심사하는 독자적 심사기준으로서 헌법원칙이다. 헌법재판소는 그 동안 과잉금지원칙과 더불어 명확성원칙을 중요한 심사기준으로 하여 법률의 위헌여부를 심사하여 왔다. 그 일련의 과정에서 헌법재판소는 헌법원칙으로서의 명확성원칙의 헌법적 근거, 심사기준 및 심사강도 그리고 다른 위헌심사기준과의 경합의 경우 그에 관한 해소 등의 문제를 구체화하였다. 본고는 이에 관한 그 동안의 헌법재판소의 판례를 범위로 하여 그 내용을 검토하고, 몇 가지 보완적 의견을 제시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본고에서 명확성원칙에 관한 보완적 의견으로 제시된 것은, 우선 헌법원칙으로서 명확성원칙의 근거에 관하여 명확하게 한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법률의 명확성요청은 법치국가원리의 핵심적 내용인 법적 안정성과 신뢰보호의 요청에 의한 것으로서, 법치국가에 근거한 헌법원칙이라는 점이 통일적으로 표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명확성원칙의 심사기준으로서 예측가능성의 판단 관점을 완결적 법률과 위임입법의 경우를 각각 구분하여 설정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즉 완결적 법률의 경우에는 수범자로서의 국민, 그리고 위임입법의 경우에는 위임입법의 구조에 따라 행정입법의 제정주체의 관점에서 확인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완결적 법률에 비해 위임입법에서는 명확성원칙의 완화된 적용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위헌심사기준의 경합에 있어서, 위임입법에서의 수권법률에 대한 명확성 심사와 포괄위임금지 여부를 병합적으로 심사하는 것은 실익이 없으므로 위임범위의 한계에 대한 심사를 통하여 명확성원칙을 실현하는 것으로 일원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과잉금지원칙과의 관계에서도 불명확한 법률에 의한 기본권제한의 정도를 심사하는 것은 정당하지도 또한 가능하지도 않다는 것에서 명확성원칙의 심사로서 충분하다는 점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The principle of clarity is a constitutional principle as an independent examination criterion for examining whether or not a law is unconstitutional.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been examining whether or not the law is unconstitutional, using the principle of clarity as an important examination criterion. In the leading case, the Constitutional Court clarified the constitutional basis of the principle of clarity as a constitutional principle, the examination standards and examination intensity, and the resolution of conflict with other unconstitutional examination standards. This paper consists of reviewing the contents of the previous Constitutional Court precedents as a scope, and presenting some complementary opinions. What is suggested as a supplementary opinion on the clarity principle in this paper is that first, as a constitutional principle, the basis for the clarity principle should be clarified. The request for clarity of the law is a request for legal stability and trust protection, which are the core contents of the rule of law, and the point that it is a constitutional principle based on the rule of law must be expressed in a unified manner. And the point of view of judgment of predictability as a criterion for examination of the principle of clarity should be set separately for the case of conclusive legislation and delegated legislation. In a conclusive law, predictability should be judg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eneral public and in delegated legislation, predictability should be confirm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nacting entity of the administrative legislation. In competition for unconstitutional screening, it is not practical to review the principle of clarity and the rule of comprehensive delegation support. That is, it is reasonable to examine only the clarity of the limits of the scope of delegation. In addition, even in competition with principle of prohibition of excess limit, the restriction by the unclear law does not satisfy the formal requirements of the restriction of basic rights, so there is no need to examine the degree of restriction.

      • KCI등재
      • KCI등재

        사회복지국가실현과 헌법

        표명환(Pyo, Myoung-Hwan) 한국법학회 2013 법학연구 Vol.50 No.-

        본고는 최근 정치권에서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는 복지정책과 관련하여 선결되어야 할 과제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하였다. 국가의 복지정책 및 그 추진은 헌법의 명령으로서 국가는 헌법의 지침에 따라서 이를 이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헌법적 명령에 따른 국가의 사회복지실현은 헌법이 이에 관한 모든 사항을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지 않음에 따라 여타 헌법규범과 관련하여 체계적인 해석을 통하여 구체화의 작업이 선결되어야 한다. 사회국가의 복지실현에 있어서 해결되어야 할 선결과제는 사적 영역 중에서 어떠한 영역을, 어떠한 방법으로, 어떻게(또는 무엇을 통해서) 행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는, 우선 헌법이 규정하고 있는 명령의 내용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우리헌법은 사회국가실현에 대한 명령으로서 기본권형태로서 구체화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사회국가의 헌법적 의무는 사회적정의, 사회적 안전, 사회적 통합 등을 통하여 실질적 자유와 평등 실현의 내용으로 구체화된다. 이러한 내용의 사회국가의 헌법적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우선 그 복지영역의 설정이 선결되어야 한다. 복지영역의 설정은 헌법의 여타 의무와 관련하여 실질적 자유와 평등실현을 위하여 시대적으로 요구되는 영역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선택된 영역에 대한 방법은 사회국가실현의 방법적 한계로서 보충성의 원칙이 결정적인 선택기준이 된다. 이에 따라서 보면 선별적 이행이 타당하다. 그리고 복지실현을 위한 복지재정의 확충은 과세의 수단을 동원하되 응능부담의 원칙에 입각하고, 경기부양책으로 운영해 오고 있는 감세 및 비과세정책을 복지실현과 비교형량을 통하여 축소하는 방법을 통하여 확충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그리고 무분별한 복지정책을 위하여 복지비용상환제의 도입도 필요한 제도 중의 하나라고 본다. It is the realization of welfare which is the best important one of recently political issues in korea. The extension of welfare as the one of realization of welfare has to be made in the frame of constitution. These binding of constitution in the realization of welfare state results in the prevision of constitution which is prescribed in most modern state-constitution. These constitutional prevision for the doctrine of social state is prescribed in the constitution of korea. The extension of welfare in korea has to get accomplish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prevision of constitution. It is necessary in oder to realize the welfare that is of the financial support of state. If there is no financial support of state, it is no use of the realization of welfare and it means just only formal action of state. The financial affaire of state depends on the tax of the n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fulfill these problems of constitu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realization of welfare state. In this paper this problems is investigated and also the direction for them is submitted.

      • KCI등재

        독일연방헌법재판소의 약국판결과 우리 헌법상의 직업의 자유의 해석론

        표명환(Pyo, Myoung-Hwan) 한국헌법학회 2009 憲法學硏究 Vol.15 No.1

        현행헌법 제15조는 “모든 국민은 직업선택의 자유를 가진다.”라고 하여, 직업의 자유를 규정하고 있다. 동조가 규정하고 있는 직업의 자유는 헌법적 문언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매우 간결하고 추상적이어서 헌법해석을 통한 구체화가 요구되고 있다. 헌법해석을 통한 우리헌법상의 직업의 자유의 구체화와 관련하여 가장 크게 영향을 끼치고 있는 판결이 1958년 6월 11일 독일연방헌법재판소의 약국판결이다. 따라서 우리헌법상의 직업의 자유에 관한 체계적 해석을 위하여는 약국판결에 관한 검토가 선행되어한다. 이러한 필요성에서 본고는 우선 독일연방헌법재판소의 약국판결의 주요 내용을 검토ㆍ분석하고 아울러 그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고찰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여전히 직업의 자유의 해석론에서 논의되고 있는 헌법정책적 및 이론적 문제에 관한 해석론을 제시하였다. 특히 다수학자들이 여전히 주장하고 있는 직업의 자유에 대한 제한원리로서 단계이론의 적용에 대하여, 기본법 제12조 제1항과 우리헌법 제15조의 체계상의 차이 및 단계이론 자체에서 야기되는 문제점 등을 근거로 하여, 헌법 제37조 제2항을 통한 직업의 자유의 제한원리를 강조하였다. In Art. 15 KV wird “Alle Staatsbürger haben die Freiheit der Berufswahl” bestimmt. Dieser Artikel ist abstrakt, offen, unbestimmt. Die Sinne dieser Artikel ist durch die Verfassungsinterpretation zu vollenden. Dafür ist das Apothekenurteil des BVerfG als wichtig auszusehen. Im Apothekenurteil geht von dem Zusammenhang zwischen Berufswahl und Berufsausübung. Im Wortlaut von Art. 12 GG kommt jedoch deutlich zum Ausdruck, dass die Regelungsbefugnis nur um der Berufsausübung willen gegeben wird, während die Berufswahl sich grundsätzlich in Freiheit vollziehen soll. Die Berufsaus übung bedarf der gesetzlichen Regelung, weil sie sich auf die Sozialsp häre aus wirkt, für die der Staat mitverantwortlich ist. Die Berufswahl bedarf dagegen der Freiheit am dringendsten, weil sie die größte Bedeutung für die Persönlichkeit aller Menschen hat, die im Beruf ihre Lebensaufgabe finden wollen. Daraus folgen bei der Anwendung des Grundsatzes der Verhältnis mäßigkeit je nach der Tiefe des Eingriffs in die Freiheit der Berufswahl drei Stufen, für die unterschiedliche Bindungen gelten. Die Interpretation des Art. 12 Abs. 1 GG durch das Bundesverfassungsgericht trifft trotz man cher Unstimmigkeit den Kern der Problematik. Der Art. 12 Abs. 1 GG wird anders als Art. 15 KV bestimmt. Bei der Anwendung der Interpretation in Art.15 KV ist die Interpretation des Art. 12 Abs. 1 GG durch BVerG nachzuprüfe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