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ystematic Review of ‘Algorithmic literacy’ in Literacy Education

        편지윤 국어교육학회 2022 國語敎育學硏究 Vol.57 No.5

        This study analyzed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using a systematic review to outline the research topography of the field of literacy education on algorithmic literacy. Although a related studies are not sufficiently accumulated, a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to deriv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algorithmic literacy education by examining existing literature based on a more valid methodology. Accordingly, the finally extracted 35 studies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publication and definition trends, research topics and keywords, research methods and subjects, and educational plans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and point of research on algorithmic literacy in future literacy educ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학문 문식성 교육 내용으로서 지식에 대한 시론

        편지윤 한국국어교육학회 2021 새국어교육 Vol.- No.129

        Purpose: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to explore the education contents of disciplinary literacy centering on knowledge in order to reify the discourse on disciplinary literacy education. Method: The ‘total of knowledge necessary for the practice of disciplinary literacy’ was viewed as disciplinary literacy knowledge, and the nature and types of disciplinary literacy knowledge were explored as educational content. Results: The knowledge in disciplinary literacy education was categorized into epistemological knowledge, text knowledge, procedural knowledge, and conceptual knowledge, focusing on the components of literacy practice (practice subject, language, action procedure, and principle), and content elements for each type were detailed. Conclusion: In order to develop the disciplinary literacy education content prepared in this study and to further materialize the disciplinary literacy education discourse,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presented. 목적: 이 연구는 학문 문식성 교육 담론을 구체화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지식을 중심으로 학문 문식성 교육 내용을 탐색해 보는 시론적 연구이다. 방법: ‘학문 문식성 실천에 필요한 앎의 총체’를 학문 문식성 지식으로 보고, 교육 내용으로서 학문 문식성 지식의 성격과 유형을 탐색하였다. 결과: 문식성 실천의 구성 요소(행위자, 언어, 행위 절차, 원리)를 중심으로 학문 문식성 교육에서의 지식을 인식론적 지식, 텍스트 지식, 절차적 지식, 개념적 지식으로 유형화하고 유형별 내용 요소를 상세화하였다. 결론: 이 연구에서 마련한 학문 문식성 교육 내용을 발전시키고, 학문 문식성 교육 담론을 보다 구체화하기 위해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온라인 독서 교실의 공간성 : 온라인 독서 교실에 대한 국어 교사의 경험을 중심으로

        편지윤 한국독서학회 2022 독서연구 Vol.- No.64

        이 연구는 새로운 독서 교육 공간으로서 ‘온라인 독서 교실’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고자 했다. 이에 팬데믹 상황에서 온라인 독서 교실을 설계 및 운영한 경험이 있는 중등 국어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한 후, 6가지 교실 공간 요소(교실, 문, 창문, 교탁과 책상, 칠판, 게시판)를 중심으로 온라인 독서 교실의 공간적 의미와 특성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온라인 독서 교실은 가상 교실로서 물리적 교실의 시공간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에듀테크 플랫폼을 통해 독서 교실 활동 및 교사-학생 간 관계를 발전적으로 변화시키는 등 오프라인 독서 교실과는 다른 공간성을 지니고 있었다. 다만, 특유의 공간성으로 인해 독서 교실의 제 기능을 온전히 실현하는 데 제한점을 갖기도 했다. 이에 온라인 독서 교실이 1) ‘수업’ 외 교실 공간의 다양한 기능을 온전히 실현할 수 있도록 사회적 실재감을 제고하는 방안, 2) 학생 변인에 따른 독서 학습의 제약 및 소외를 극복할 수 있는 비계 공간으로 기능하도록 하는 방안, 3) 온라인 교실의 성공적 운영 조건으로서 학생들의 행동적 관여를 촉진하는 공간 설계 방안 등에 대한 연구가 후속되어야 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온라인 수업에서 독서 평가의 실행 양상 - 중등 국어교사의 인식과 경험을 중심으로

        편지윤 청람어문교육학회 2022 청람어문교육 Vol.- No.89

        이 연구는 온라인 수업에서 독서 평가의 실행 양상을 살펴 온라인 독서 평가의 현장 안착을 위한 독서 교육적 시사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등 국어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온라인 수업에서 독서 평가를 설계 및 운영했던 구체적 경험과 인식을 조사하였다. 서면 및 대면의 방식으로 수집한 인터뷰 자료를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여, 교사들이 경험한 온라인 독서 평가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은 온라인 평가의 이점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독서 수행 및 학습 지원을 위한 과정중심 독서 평가를 다양한 양태로 실행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사들의 온라인 독서 평가 실행 양상을 평가 목적 및 특성에 따라 나누어 살펴보면, 1) ‘학습으로서의 독서 평가’의 설계 및 실행, 2) 독서 과정 점검 및 활동 참여율 제고를 위한 형성평가의 활용, 3) 배움 촉진을 위한 개별 피드백의 확대, 그리고 4) 독서 포트폴리오 평가의 활성화 등의 특성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온라인 독서 평가의 정착 가능성과 필요성을 시사하나 온라인 독서 평가의 한계도 확인되었다. 이에 온라인 독서 평가의 성공적 안착과 발전을 위한 논의점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복합양식 텍스트 유형별 읽기 전략 사용 비교

        편지윤 청람어문교육학회 2020 청람어문교육 Vol.0 No.7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empirical basis for the reading education of multimodal text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use of readers' reading strategies by multimodal text types.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readers' reading strategies in reading static multimodal texts and dynamic multimodal tex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ading strategies were different for each type of multimodal text. In static multimodal text reading, strategies such as "skimming" and "subjectively exploring and designing" were prominent. On the other hand, in dynamic multimodal text reading, strategies such as 'Reading sequentially with different focus parts', 'Selective reading', 'Backward inferencing using the rearranging page', 'Reading in style', 'Building pattern and reading path', and 'paragraph division through Compartmentalization' were derived. 이 연구는 복합양식 텍스트 유형별 독자의 읽기 전략 사용 양상을 비교‧분석하여,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교육의 경험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대학생 독자 9명을 대상으로 정태적 복합양식 텍스트와 동태적 복합양식 텍스트를 읽는 과정에서 독자가 어떠한 읽기 전략을 사용하는지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텍스트 유형에 따른 읽기 전략 사용에 있어 주목할 만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정태적 텍스트 읽기에서는 훑어 읽기, 읽기 경로 형성을 위한 주체적 탐색 및 설계하기 등의 전략이 두드러지게 사용되었다. 반면, 텍스트의 재생 속도 및 장면의 연쇄적 나열 등의 텍스트 특성에 따라 동태적 텍스트 읽기 전략은 크게 ‘주어진 속도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과 ‘분할되어 연쇄적으로 제시되는 구조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범주화되었다. 전자와 관련하여서는 초점 부분을 달리 하며 순차적으로 읽어 나가기, 선택적으로 읽기, 정리 페이지를 활용하여 후방 추론하기, 스타일로 읽기 등의 전략이, 후자에서는 패턴 찾아 읽기 경로 구축하기, 구획하기를 통한 문단 구분하기 등의 전략이 도출되었다.

      • KCI등재

        2022 개정 읽기 교육과정 실행의 쟁점 탐색 — ‘의도된 변화’를 ‘실현’하기 위한 보강 요소를 중심으로

        편지윤,권순희 국어교육학회 2023 國語敎育學硏究 Vol.58 No.2

        To improve the newly promulgated curriculum’s implementation,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conduct preparatory work, such as reviewing the curriculum’s features and implications and exploring curriculum implementation issues. Thus, this study examined what changes are intended in the 2022 revised “Reading” curriculum, what are the foreseen issues in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what must be improved before it can be implemented in the field to fully realize the intended changes.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the features and implications of the 2022 revised “Reading” curriculum along three dimensions: What kind of readers does the reading curriculum intend students to become? How does the reading curriculum establish the scope and sequence of education contents? Issues of the 2022 revised “Reading” curriculum implementation were derived from four aspects: fostering “Agentic Readers,” developing the ability to read multimodal texts, practicing goal-oriented reading, and growing as a “Social Reader.” The study also discussed what elements should be supplemented concerning these four aspects. 새로 고시된 교육과정의 성과를 살피고 실행상의 쟁점을 탐색하는 것은 교육과정의 실행성을 제고하기 위한 준비 작업에 해당한다. 본고 역시 이러한 취지에서 2022 개정 읽기 교육과정이 어떠한 변화를 의도했으며,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데 있어 예측되는 쟁점이 무엇인지, 의도된 변화를 온전히 실현하기 위해 현장 적용에 앞서 무엇이 보강되어야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교육과정의 목표에 해당하는 독자관(학습자관), 그리고 교육 내용의 범위와 위계 설정 양상을 중심으로 2022 개정 읽기 교육과정의 특징 및 의의를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실행의 쟁점은 2022 개정 읽기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 지점을 중심으로, 주도적 독자 형성 방안 측면,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 발달 측면, 목표지향적 읽기 실천 측면, 그리고 사회적 독자 형성의 측면에서 도출하였으며, 각 지점에서 어떠한 요소들이 보강되어야 하는지를 논하였다.

      • KCI등재

        문해력 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의 성과와 전망 - C교육대학교 초기 문해력 교사 리더의 목소리를 중심으로 -

        편지윤,김미혜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24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8 No.1

        이 연구는 대학 중심 문해력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의 국내 모델 사례인 C교육대학교의 ‘초기 문해력 교사 리더 양성 과정’의 성과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문해력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의 지향을 구체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기 문해력 교사 리더 양성 과정’을 이수한 교사 리더 5명을 대상으로 Kirkpatrick의 4수준 평가 모형에 따른 설문 조사 및 초점집단인터뷰(FGI)를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 교사 리더들은 초기 문해력 교육에 대한 효능감과 연구 역량의 성장 등 분명한 성취와 발전을 경험함에 따라 프로그램에 매우 만족하였다. 교사 리더들은 프로그램 이수 후에도 초기 문해력 수업과 연구를 실천하려고 노력하고 있었으며, 프로그램 이수 결과가 지도 학생과 교사의 성장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문해력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의 지향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①문해력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이 ‘교사 재교육’의 기능을 온전히 실현할 수 있도록 대학 중심의 장기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②교육 현장의 요구에 맞는 실천 지향적 프로그램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③재교육의 효과를 장기적으로 이어가기 위해서는 ‘교사 연구자’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는 균형적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④재교육 이후 교사가 문해력 교육 전문성을 발휘하고 지속적으로 신장시킬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Recently, the literacy crisis has emerged as an urgent concern in society, prompting discussions on teacher re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teachers’ professionalism in literacy education, systematic university-based teacher reeducation programs are required. This study focuses on the “Early Literacy Teacher Leader Training Course” of the C University of Education as a domestic model of such a university-centered literacy teacher reeducation program. To analyze the outcomes of the Early Literacy Teacher Leader Training Course, we conducted a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 (FGI) with five teacher leaders who completed the program, using Kirkpatrick’s four-level evaluation model. The survey and FGI questions were structured to encompass four levels of evaluation: response, learning, behavior, and outcome.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conducted by developing an analysis framework specifically tailored to address the objectives of the evaluation as well a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nd contextual factors of the Early Literacy Teacher Leader Training Course. The analysis revealed that teacher leaders were very satisfied with the program because they experienced “significant advance- ments in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achievement.” They reported improved efficacy in early literacy education and research competency as direct outcomes of the program. Furthermore, teacher leaders demonstrated a continued commitment to applying the knowledge and skills acquired during the program and actively engaging in early literacy instruction and research even after completion. Significantly, they acknowledged the substantial positive impact of the program on both their growth and that of their students. Consequently, the direction of the literacy teacher reeducation program is proposed as follows: ① developing a university-centered long-term program; ②adopting practice-oriented approach; ③implementing a balanced curriculum; and ④supporting ongoing professional development.

      • KCI등재

        문해력 수업과 딜레마 — 교사들이 고백한 ‘문해력 수업 딜레마’ 사례를 중심으로

        편지윤 국어교육학회 2024 國語敎育學硏究 Vol.59 No.2

        이 연구는 문해력 수업 자체에 대한 이해가 충분하지 못한 문제의 원인으로 ‘연구 전통의 부재’를 지적하고, 문해력 수업 연구 접근법의 하나로 ‘문해력 수업 딜레마’ 연구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문해력 수업의 개념을 고찰하고, 다른 교과 수업과의 비교를 바탕으로 문해력 수업의 위상을 탐색하였다. 또한 수업 딜레마를 조사한 연구 문헌에서 문해력 수업 딜레마의 사례를 발굴함으로써, 문해력 수업 딜레마가 교사들이 이미 경험하고 있는 현안이며, 국어 수업 외 다양한 교과 수업에서 실재하는 현상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문해력 수업 딜레마의 발생에는 사회문화적 제도, 교사, 교수(실행), 학생 및 환경 측면 등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교과별, 학교급별에 따라 문해력 수업 딜레마의 양상이 상이할 수 있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문해력 수업 딜레마 연구의 방향과 내용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absence of research tradition” as the root cause of the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literacy class and proposes investigating the “literacy teaching dilemma” as a vital approach to researching literacy class.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literacy class and investigates their status in various subject’s class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iverse factors such as teacher factors, pedagogical factors,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nd institutional factors including social policies and culture intricately contribute to the occurrence of the literacy teaching dilemma. Additionally, the aspects of such dilemma vary by subject and school level. Building upon these research findings, recommendations are proposed for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research on the literacy teaching dilemmas.

      • KCI등재

        예비 국어교사의 논술 첨삭 지도 양상 분석

        편지윤 청람어문교육학회 2023 청람어문교육 Vol.- No.92

        이 연구는 예비 국어교사들이 논술문을 첨삭 지도하는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교원 양성 과정에서 논술 교육 및 평가 전문성을 함양하는 방안에 대한 시사를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 국어교사 36명이 실제 고등학생의 논술문에 대하여 첨삭 지도한 자료 72편(첨삭 지도 사례 수: 572건)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첨삭 지도의 요소는 크게 ‘제시문 이해, 논술문 내용, 글의 구성, 표현, 그리고 논술 문제의 조건 충족 여부’ 등 5개 범주로 추출되었다. 첨삭 지도 양상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예비교사들은 긍정적 피드백보다는 지적 위주의 부정적 첨삭 지도를 더 빈번하게 하며, 서면 의사소통에 능숙하지 않고 쓰기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형성 및 실현하는 데 익숙하지 않음에 따라 ‘학생의 논술 능력을 신장시키는 유의미한 첨삭 지도’를 행하는 데 어려움을 보였다. 또한 논술 교육 전문성이 다소 부족하여 간혹 부적절한 첨삭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상의 논의를 기반으로, 예비 국어교사들의 논술 평가 전문성, 특히 첨삭 지도 능력을 계발하기 위한 교육적 시사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