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태지역의 미국군사력의 총량평가

        카우프만, 스튜어트 한국전략문제연구소 1996 전략연구 Vol.3 No.3

        군사적인 관점에서만 본다면 미국은 아태지역애서 자신의 이익을 지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아태지역에서 미군이 개입될 가능성이 높은 군사적 갈등은 한반도에서 무력충돌의 개발, 대만해협에서의 군사적 갈등, 그리고 남사군도의 군사충돌 정도이며, 미국은 이러한 사태에 대처하여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군사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남사군도나 대만해협과 같은 해양지역에서의 군사적 충돌에 있어서는 미국의 공군이나 해군이 질적인 면에 있어서나 양적인 면에 있어서 압도적 우위를 점하고 있기 때문에 그와 같은 결론이 더욱 명백해 지는 것이다. 한반도에서의 군사력균형은 양적인 면에서는 미군측이 그다지 유리한 상황에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 지적되겠지만 한국과 미국의 군사력이 질적인 면에서 우위에 있기 때문에 한미연합군의 전반적인 방어능력은 적절한 상태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순수 군사적인 측면에 있어서의 분석은 몇 가지 군사적, 정치적 불확실성이라는 요소를 더 고려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미국의 합참의장이 중국은 대만을 침략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지 못했다고 했지만 중국이 대만을 봉쇄할 능력은 가지고 있다. 미국은 그러나 봉쇄를 뚫을만한 군사적 능력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미국 국내적으로 그리고 국제적으로 그러나 군사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정치적 지지를 얻을 수 있을까? 만약 중국이 자신의 영토적 순수성이 달려있다고 주장하면서 미국의 개입을 저지하기 위해서 핵무기를 사용하겠다고 위협한다면 그러한 상황에서 미국과 아시아에서 미국 동맹국의 결의는 어떻게 될까? 마찬가지로 남사군도에서 충돌이 발생할 경우 미국이 개입하는데 있어서 잠재적으로 가장 커다란 장애는 동남아국가들의 태도이다. 동남아국가들이 과연 미국의 군사적 개입을 요청함으로써 중국에 정면으로 적대적인 행동을 취하고자 할까? 그와 마찬가지의 정치군사적 계산이 한반도에서의 군사적 충돌에도 적용된다. 유사시 미군이 한국을 지원하기 위해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한국에 도착 하는 것은 일본이 그러한 작전을 위해서 어느 정도의 지원을 제공하는가에 달려있다. 그리고 그러한 문제에 있어서 일본의 태도는 한국의 태도, 그리고 한국과 일본의 관계가 어떠한 상태에 있는가에 달려있게 된다. 그리고 한국과 미국, 일본 3국의 정책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는 없지만 북한이 핵무기나 화학무기를 실제 사용하거나 사용하겠다고 위협을 하느냐 하는 점에 영향을 받게 된다. 일본은 미군이 자국의 시설을 사용하도록 신속하게 허락해 줄까? 아니면 이를 지연할 것인가? 한국이나 미국은 자신이 도발적으로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동원령을 내리는 것을 지연할까? 만약 북한이 일본이나 미국의 영토에 재래식탄두를 장착한 미사일을 발사하기만 해도 이는 상당한 정치적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그러나 반면 미국이 지나치게 과잉반응을 한다면 이는 중국이나 러시아가 북한을 어느 정도 도와줄 수 있는 구실이 될지도 모른다. 물론 이러한 질문은 끝없이 계속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논문의 목적은 미국의 군사력이 적절한 것인가 하는 질문에 답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러한 불확실성이 미국에 가져올 수 있는 군사적, 정치적 효과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필자는 우선 미국이 아태지역에 관여하고 충돌이 발생할 경우 군사적으로 개입할 의지가 어느 정도인가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국가안보에 대한 미국내의 논쟁을 간략하게 검토하고자 한다. 그리고 난 이후 군사력에 대한 분석으로서 아태지역 내의 미군구조에 대한 분석, 즉 현재 상태와 장래 군사적 충돌이 발생할 시기에 미군구조가 어떻게 전개될지를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 한반도 내에서 한국군과 미군 군사력을 평가해 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결론으로서 한국과 다른 잠재적 충돌지역에서의 정치적 불확실성을 검토함으로써 미국이 주도하는 동맹이 효과적으로 작동할지를 결정하는 주요 정치적 변수를 밝혀보고자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ssess the adequacy of American forecs in terms of potential conflict in the Korean peninsula. For those purpose, firstly, a brief consideration of the American debate on national security policy, as a way of evaluating the degree of American resolve to remain engaged in the East Asia-Pacific region and to act militarily in case of conflict. Although heated debates has been done over the American security policy and necessary military capability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little of the debate directly affects policy toward the Asia-Pacific region. No major political figure in the US advocate significant change in American policy or force posture in the region. The consensus for maintaining US troops in Korea remains unchallenged. Even those who suggest steep reductions in the overall American force structure do so with the calculation that the remaining forces would be adequate to maintain current US defense commitments to East Asia and elsewhere. Accordingly, minor adjustments aside, the "Base Force"currently at the center of Clinton Administration plans is likely to remain the overall force posture of the United States in coming years. Secondly, military analysis, examining the American force structure on the Korean peninsula, both currently and prospectively in the future conflict is necessary. For each "Major Regional Contingency, such as a potential new war in Korea, the U.S. plans to be able to deploy approximately half of all active-duty ground and naval forces, and half of all aviation forces including active and reserve elements. The air component, for example, would include up to 10 Air Force fighter wing-equivalents (about 720 aircraft), four or five carrier air wings (200 to 250 combataircraft), and the aviation elements of one or two Marine expeditionary forces, for a total of over 1000 tactical aircraft, plus up to 100 long-range bombers.(28) The ground component would include four or five Army divisions, four or five Marine brigade-equivalents, plus Army National Guard units, (29) with each "division slice" (Army division plus all supporting personnel) including up to 50,000 troops. The naval component would center around the four or five aircraft carrier battle groups, plus Marine amphibious vessels and possibly additional craft. The total number of troops deployed to Korea itself--not counting air and naval forces in the surrounding region--is planned to reach 400,000.(30) Thirdly, for military analysis, examining the American force structure in the region, both currently and prospectively in case of future conflict is necessary. As a result of analysis, I would suggest that the South Korean Army, aided primarily by U.S. air and naval forces, with only modest U.S. ground involvement, could probably stop a North Korean attack. In favorable circumstances, it would also have the capability, with U.S. support, to launch a decisive counter-offensive, possibly even without major U.S. reinforcements on the ground. All of these considerations, however, overlook North Korea's unconventional weapons and capabilities, which could have an important political, as well as military, effect in any possiblewar. Seoul, for example, is within range of North Korea's long-range artillery and FROG short-range missiles. A major artillery bombardment of the city might disrupt ROK command-and-control arrangements. It would also probably create an enormous flow of civilian refugees out of the city, which would clog roads, substantially slowing the movement of ROK and U.S. supplies and reinforcements to the front lines. (49) While such actions probably would not have powerful enough political and military effects to change the outcome of a war, their possibility does have an important coercive effect: even if South Korea could defeat the North in a war, much of the South would be destroyed by the war as well. It is this fact which gives North Korea's military forces their political leverage. The crucial question, in case of North Korean chemical or nuclear weapons use. is the likely U.S. response. An ineffective nuclear attack--e.g. a botched attempt to use a nuclear weapons in a tactical battlefield role, or an attack on a port or airfield which missed its target--might conceivably be overlooked in order to strengthen the norm against nuclear use: an effective nuclear attack would likely prompt retaliation in kind. U.S. policy regarding a response to chemical weapons use is less predictable, but it is possible that there would be political constraints on U.S. use of chemical weapons: South Korean leaders might not want such weapons used against North Korean troops on ROK territory, while attacks on fixed sites in the North might be constrained by concerns about collateral damage to civilians. Presumably the response would depend on the military situation: a response with chemical or even nuclear weapons would be more likely if it were deemed necessary to prevent a military collapse on the U.S./ROK side. Overall, however, the conclusion of this military net assessment is that for most likely contingencies. U.S. and ROK forces are probably strong enough to stop a North Korean attack, except under the most unfavorable circumstances. A successful surprise attack with chemical weapons might produce such circumstances, but only at the cost of enormous political uncertainty, since the U.S. could choose to use its weapons of mass destruction to obliterate North Korea entirely. At this point, however, the issue becomes a question of political judgement rather than military net assessment. Finally, as a conclusion, political uncertainties associated with the Korean and other scenarios should be examined to identify the crucial political variables which will determine effectiveness of potential American-led coalitions. The more difficult question is not what the U.S. could do militarily: it is what the U.S. and its friends and allies would choose to do for political reasons. A nightmare scenario for South Korea, for example, would have North Korea threatening to attack Japan with missiles armed with chemical weapons if it allowed the U.S. to use Japan's naval and air port facilities to support South Korea. If Japan acceded to North Korean demands after a successful North Korean chemical weapons attack on South Korea, the U.S. would be hard-pressed to move enough reinforcements to Korea to help halt the North Korean offensive. In this connection, the troubled relations between Japan and South Korea present another problem, in that they would complicate any direct involvement by Japan in defending the ROK. It would probably not be difficult for the U.S. to mobilize popular support for a U.S. policy of countering a clearly defined threat in the Asia-Pacific region--for example, possible Chinese and North Korean expansionism. Such a policy could be justified by the existence of longtime treaty allies such as Japan, South Korea, the Philippines, and Thailand, and by pointing to the nature of the adversary as a "Communist aggressor, easy to demonize in U.S. politics. The U.S. can only build such a policy, however, if it has reliable local partners. The reliability of some of those partners is the aspect of the U.S. commitment, to the region most in doubt.

      • KCI등재
      • KCI등재

        무형유산 제자리 찾기: 정책 및 관행에 대한 제안

        네드 카우프만 국립민속박물관 2013 International Journal of Intangible Heritage Vol.8 No.-

        무형유산과 유형유산 사이에 존재하는 유감스런 간극은 이제 해소돼야한다. 유형의 장소가 중요한 이유는 대개의 경우 그곳에 존재하는 무형의 가치 때문이며, 무형유산은 대부분 특정 장소에 뿌리를 두고 있어장소가 사라지면 존속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은 이런 장소의 중요성에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국가 및지역사회 차원의 보존 정책도 장소에 내재된 무형의 가치를 보호하는데 효과적이지 못한 경우가 많다. 특정 장소에 내재된 무형의 가치 보호를 위한 정책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그런 정책을 개발하려면 문화유산 전문가들이 관광에 적합한 문화유산에만 관심을 기울이지 말고 평범한 일상적 장소로 눈을 돌려야 한다. 이런 장소에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부여하는 요소는 사람과 장소사이에 형성되는 심리적 유대다. 문화유산 전문가들이 이런 유대를 찾아내는 통찰력을 가지려면 사람들의 관습, 사연, 기억에 담긴 이야기에주목해야 한다. 문화유산 분야 관계자들은 인류학, 사회학, 지리학, 환경생태 연구의 조사 기법을 응용해 사람과 장소의 관계를 분석하고, 그런 관계의 주관적 측면을 정형화해 효과적인 정책의 토대로 삼을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정책을 실행하려면 조직력이 필요하며, 한 조직에서유형유산과 무형유산을 함께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조직은 무형유산의 가치에 열린 자세를 갖고 있어야 할 뿐 아니라 무형유산을 규정함에 있어 민주적인 참여를 보장해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