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일 상호 이해를 위한 역사교육연구의 새로운 경향 -한일 역사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카마타 사토시 한국역사교육학회 2008 역사교육연구 Vol.- No.7

        이 논문은 일본과 한국 역사교육 담당교사의 역사인식과 역사의식,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한일 상호이해롤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점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일본의 역사교육 담당교사들이 시험성적을 더 의식해서, 역사적 사실을 기억시키는 학습을 중시하고 있다. 둘째, 한국의 역사교육 담당교사들이 역사의 특성이나 역사를 배우는 의의를 중시하는 역사수업을 하고 있다. 이러한 조사 연구의 결과와 카마다의 선행 연구의 결과(한국의 중학생이 역사 용어를 더 잘 이해하고 있다는 것 등)에서, 한국의 역사교육은 역사를 배우는 의의나 의미를 이해시키면서, 역사 용어를 알게하는 것도 중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일본의 역사교육 담당교사는 역사를 배우는 의의나 의미를 학생들에게 이해시키려고 하면서도, 눈앞에 닥친 시험의 압력 때문에 역사 수업의 내용과 방법에서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일본 교사들이 ‘한일관계수업’에서 느끼는 어려움 -일본교사들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허신혜,카마타 사토시 한국역사교육학회 2008 역사교육연구 Vol.- No.8

        이 연구는 일본의 중학교 역사수업 담당 교사들이 한국과 관련된 수업에서 느끼는 어려움을 조사하고 분석한 것이다. 근현대사를 공유해 온 한일관계는 역사교과서 왜곡과 독도 문제 등 끊이지 않고 사회적인 이슈들이 등장해 왔으며 동시에 상호이해를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상호이해와 역사인식의 공유라는 커다란 목표는 상대가 어떤 생각과 견해를 갖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즉 타자와 자기가 어떻게 다른지 그 차이를 알아가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과정은 상호이해를 위한 실효성 있는 대안 제시의 토대가 될 뿐만 아니라 상호이해를 위한 출발점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에서는 타자 이해의 한 방안으로서 일본의 교사들에 대한 조사를 통해 일본의 학교교육 속에서 한일관계수업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교사들이 한일관계수업에서 느끼는 어려움에 대한 조사는 수업을 둘러싼 외적 환경이나 교사들 개개인이 갖고 있는 역사교육관을 추측가능하게 해 주었다. 수업시수의 문제라든가 평가 문제가 교사가 원하는 수업을 하는 데에 제약으로 작용한다는 점은 한국의 역사수업 상황과 유사한 환경이었다. 이 외에도 학생들이 한국에 대해 완전히 무관심하거나 매스컴의 영향으로 부정적인 생각을 갖고 수업에 오는 경우가 많아서 수업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있었다. 그리고 이 조사에서 일본의 교사들이 역사교육에 대해 갖고 있는 견해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첫째, 쌍방에 대한 관점을 중시하는 견해, 둘째, 일본 본연의 모습을 중시하는 견해, 그리고 셋째, 애매하고 혼란스럽다는 견해였다. 이 가운데서 가장 많은 교사들이 기술한 것은 세 번째 유형이었다. Matters of distorted history text book and Dokdo have become social issues continuously in korea and Japan. And in the other hand, Efforts to prepare the foundation of mutual understanding have been processed in Korea and Japan. The review of the thought and view of a partner needs necessarily before setting of large goals of a share of history recognition and mutual understanding. The course to know the difference of the partner and me will become the course to reveal whether we are same and I differ in any point with theirs. This will become the starting point for mutual understanding as well as the base for make an alternative idea.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o look into Japanese teachers' thoughts and conditions in the history class related with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Japanese teachers have troubles in that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