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창기 사회주의 지식인의 러시아혁명 인식

        김현주(Hyun-Joo Kim),카게모토 츠요시(KAGEMOTO Tsuyoshi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2 동방학지 Vol.201 No.-

        이 연구는 한국에서 최초로 레닌과 볼셰비즘을 본격적으로 소개한 글로 평가받는 김명식의 「니콜라이 레닌은 어떠한 사람인가」(『동아일보』, 1921.6.3.~8.31, 총 61회 연재, 이하 「레닌」)를 중심으로 조선의 사회주의 지식인들이 공론장에서 러시아혁명과 볼셰비즘을 논제로 삼기 시작했을 때의 문제의식과 인식 내용을 살펴보았다. 「레닌」의 전체 20절 중 서론과 결론을 제외한 18개의 절은 일본에서 여러 저자가 발표한 글 또는 책에서 발췌하여 번역한 것이다. 본고는 첫째 「레닌」의 일본어 저본을 확정하고, 둘째 저본들의 성격을 검토했으며, 셋째 저본들을 분절하여 교차적으로 배치한 의도와 효과를 분석했다. 「레닌」의 본론은 다음과 같은 논문과 책에서 가져온 내용이 짜깁기되어 있다. 야마카와 히토시(山川均)의 「레닌의 생애와 사업(レーニンの生涯と事業)」, 「레닌의 첫인상(レーニンの第一印象)」(『社會主義硏究』, 1921.4)에서는 1917년 혁명에 성공하여 소비에트 정부의 수반이 되기까지 레닌의 생애와 혁명 활동, 그리고 레닌에 대한 짧은 인상기를 가져왔다. 우치야마 쇼조(內山省三)의 『世界革命史論』(江原書店, 1919.7.)에서는 러시아의 근대사와 혁명운동의 전개, 1905년에서 1917년까지 러시아 국내 혁명의 경과, 그리고 혁명 성공 후 볼셰비키의 정책에 대한 서술을 가져왔다. 마지막으로 출처 미상의 볼셰비키의 헌법에 대한 설명과 나카메 히사요시(中目尙義)가 번역한 『볼셰비즘 비판: 원제 과격파의 본령(ボルシェヴィズム批判 : 原名 過激派の本領』(大鐙閣, 1921)에서 가져온 볼세비키의 대내외 선전에 대한 설명이 있다. 김명식은 레닌주의자인 야마카와의 글과 반볼셰비즘의 주장이 담긴 우치야마와 나카메의 책에서 가져온 조각들을 교차 배열함으로써 검열을 우회하는 한편, 레닌의 생애 이야기를 넘어서 러시아혁명의 역사적 조건과 현재 모습을 이해하고자 했다. 김명식이 레닌이 활약하기 이전 러시아의 근대사와 혁명운동에 대한 우치야마의 분석에 관심을 가진 것은 식민지인 조선의 상황과의 유사성 때문이었다. 한편 독일과의 강화조약을 볼셰비키의 굴욕적 양보로 평가한 우치야마에 대해 레닌을 인용하면서 주석을 단 것은 강화조약이 제국의 해체와 연동되어 있었음을 인식한 결과로서 식민지 지식인의 위치성을 드러낸다. 아울러 그는 우치야마와 나카야마의 글을 통해 혁명 후 법과 제도 등으로 구현된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현황도 파악하고자 했다. 「레닌」의 목표는 러시아혁명에 대한 역사적이고 종합적인 이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im Myung-sik(金明植, 1890~1943)'s “What kind of person is Nikolai Lenin?” (Dong-A Ilbo, 1921.6.3.~8.31, serialized 61 times in total, hereinafter “Lenin”), as the first article to introduce Lenin and Bolshevism in earnest. Of the total 20 verses of “Lenin”, 18 verses-that is, excluding the introduction and conclusion-were translated from articles or books published by various authors in Japan at the time. This study first confirms the original Japanese articles of “Lenin”, before examin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analyzing the intention and effect of having segmented and intersected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