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 경험회피의 매개효과와 문제중심 대처의 조절효과

        추상엽,임성문 한국청소년학회 2010 청소년학연구 Vol.17 No.2

        Experiential avoidance means that individuals are not likely to be in contact with private events such as unwanted thoughts and feelings when they occur and take actions to alter the situations that occasion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experiential avoidance is a strong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depression in undergraduates. Furthermore, it was investigated whether an interaction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problem-focused coping has influence on depression. Data were collected from 204 undergraduates in two universities. We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ull mediation model of experiential avoidance was identified to be better than partial mediation model, and the pathway from life stress to experiential avoidance accounted for 58% of the variance in depression. Second, the interaction of problem-focused coping and experiential avoidance affected depression. It means that the positive effect of problem-focused coping to lead the reduction of depression is strong when the level of experiential avoidance is high, but the positive effect is little when the level of experiential avoidance is low. These results present that experiential avoidance is a much stronger variable to intervene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depression, than problem-focused coping. 경험회피는 불편한 생각이나 감정 같은 사적 경험이 일어날 때 이에 접촉하지 않고, 이 경험이나 이것을 일으키는 상황을 바꾸려고 행동을 취하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험회피가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유력한 매개변인이 될 것으로 예측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경험회피가 문제중심 대처와 상호작용하여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시와 충청북도에 소재한 2개 대학교에서 설문조사한 후 204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과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경험회피의 완전매개 모형이 지지되었고 생활 스트레스에서 경험회피에 이르는 경로는 우울 전체 변량의 약 58%를 설명하였다. 둘째, 문제중심 대처는 경험회피 수준과 상호작용하여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우울감소를 가져오는 문제중심 대처의 긍정적 효과는 경험회피 수준이 높을 때에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험회피 수준이 낮을 때에는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들은 경험회피가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문제중심 대처의 영향력을 능가하는 강력한 중재변인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 KCI등재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 간의 관계: 수행회피 성취목표의 매개효과와 인지전략, 메타-인지전략의 조절효과

        추상엽,임성문 한국청소년학회 2009 청소년학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erformance-avoidance goal in the process wher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ffects academic procrastination. Furthermore, whether cognitive strategies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have moder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avoidance goal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was also investigated. Data were collected from 703 students in eight middle and high schools. For the analyses of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we used Baron and Kenny step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erformance-avoidance goal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This means that performance-avoidance goal increases a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rises and the increased levels of performance-avoidance goal increase the level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Second, cognitive strategies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avoidance goal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unseling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are needed for students who academically procrastinate because of performance-avoidance goal. Moreover, it is expected that enhancing cognitive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additionally helps to decrease the level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본 연구는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가 학업적 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수행회피 성취목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수행회피 성취목표가 학업적 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지전략과 메타-인지전략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경기도, 충청도, 경상도에 소재한 8개의 중·고등학교에서 설문조사한 후 703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Baron과 Kenny의 매개효과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연구 문제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수행회피 성취목표는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가 학업적 지연행동에 곧바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기보다,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수행회피 성취목표가 증가하게 되고, 증가된 수행회피 성취목표가 학업적 지연행동을 증가시키게 됨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인지전략과 메타-인지전략은 수행회피 성취목표와 학업적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에서 비롯된 높은 수준의 학업적 지연행동을 낮추기 위해서는, 수행회피적인 학생의 성취목표를 숙달 또는 접근 목표성향으로 바꿀 수 있는 교육환경 및 상담개입의 제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나아가 인지전략과 메타-인지전략을 증진시키는 개입이 병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부모의 성취압력과 학업성취 간의 관계: 부모의 교육지원행동,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학업적 지연행동의 조절효과

        추상엽,임성문 한국청소년학회 2008 청소년학연구 Vol.15 No.7

        본 연구는 부모의 성취압력이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부모의 교육지원행동이 1차 매개변인이고 자녀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2차 매개변인인 경로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부모의 성취압력이 교육지원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자녀의 학업적 지연행동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충북, 충남에 소재한 6개 고교에서 설문조사한 후 683명(남 349명, 여 334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으로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은 관찰된 자료와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부모의 성취압력이 많을수록 자녀에 대한 교육지원행동이 증가하고, 더 많은 부모의 교육지원행동은 자녀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여 결국 학업성취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둘째, 학생의 학업적 지연행동은 부모의 성취압력이 교육지원행동에 미치는 경로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즉, 학업적 지연행동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보다 지연행동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부모의 성취압력이 교육지원행동에 더 큰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 자녀의 학업에 대한 부모의 성취지향적 태도가 실제적인 학업성취 향상을 가져오는 데는 부모의 높은 수준의 교육지원행동이 중요하고 이 과정에 학생의 학업지연행동 수준이 일정부분 관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pass model which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affects parental involvement, parental involvement affects academic self-efficacy, and finally academic self-efficacy affects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Furthermore, it was investigated whether academic procrastination has a moderating effect in the pathway from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to parental involvement on the pass model. Data were collected from 683 students(349 males, 334 females) in six high schools. For the analyses of the mediating effects and the moderating effec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was used. The results were following. First, the pass model was identified to fit observed data. It means that as parents have more expectation to their children, they give more academic supporting activities to them, and then parental involvement makes to enhance children's academic self-efficacy, which finally leads to increase their academic achievement. Second, academic procrastin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and parental involvement on the pass model. That is, the influence of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on parental involvement in the lower mean group was bigger than the influence in the upper mean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increase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education or counseling interventions which can reduce student's academic procrastination as well as increase the levels of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parental involvement, and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are needed.

      • KCI등재

        가족구조와 고등학생의 학업성취 간의 관계; 부모소득, 학업지원행동의 매개효과

        추상엽,임성문 한국청소년학회 2007 청소년학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한부모 양부모 여부의 가족구조가 부모의 소득 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자녀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학업지원행동의 매개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때 가족구조 및 부모소득과 자녀의 학업성취 사이에서 부모의 학업지원행동이 완전매개 하는지 또는 부분매개 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로모형을 구성하고 전국에 소재한 7개 고교에서 실시한 총 812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가족구조, 부모의 소득, 학업성취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부모의 학업지원행동이 부모의 소득과 학업성취 사이에서 매개하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모의 소득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남으로써 가족구조 및 부모소득과 학업성취 간에 학업지원행동의 완전매개모형이 지지되었다. 이는 선행연구와 일치하게 가족구조가 가정경제에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는 것이나, 가족구조에 따른 경제적 빈곤이 곧바로 고등학생 자녀의 학업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기보다 부모의 학업지원행동을 통해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저소득층 한부모 가정 자녀의 학업성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경제적 지원정책과 함께 부모의 자녀에 대한 학업지원행동 증진을 유도하는 부모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in the process which family structure affects parental income a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s. Moreover, it was investigated whether parental involvement has a full mediating effect or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ucture, parental income, a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s. Two competitive models were developed and tested b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Data were collected from 812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a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al income is the mediating variable between family structure income and academic achievements. Furthermore, the full mediating model of parental involvement was identified in the relations between family structure, parental income, and academic achievement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economic difficulties of one-parent families have the indirect effects through parental involvement, not the direct effects on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Therefore, one-parent families should receive economic supports, a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parental involvement in order to prevent the decline of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s in one-parent families.

      • KCI등재

        고등학생의 친구관계와 우울 간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추상엽,임성문 한국청소년학회 2010 청소년학연구 Vol.17 No.11

        그동안 친구관계와 우울의 관계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경험적 연구의 근거 없이 연구자의 가정에 기초해 두 변인 간 인과적 방향을 설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종단자료를 사용하고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을 적용하여 친구관계와 우울 간 관계에서 인과적 방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최근 연구들에서 친구관계를 친밀한 정도에 따라 친한 친구관계와 학교 친구관계로 구분하고 있어, 두 유형의 친구관계와 우울 간 인과적 방향을 각각 알아보고자 하였다. 종단자료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한 패널자료 중 고등학생 자료인 3차, 4차, 5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인 학교 친구관계는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우울은 학교 친구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긍정적인 친한 친구관계는 우울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우울은 긍정적인 친한 친구관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 친구관계는 우울의 원인변인으로, 친한 친구관계는 우울의 결과변인으로 작용함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는 고등학생의 우울 감소를 위한 개입시 긍정적인 학교 친구관계 증진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majority of studi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friendship and depression have been conducted based on casual relations assumed by researchers without empirical research. It comes to be a limitation to confirm the casual relation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friendship and depression with the longitudinal data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Because in the recent studies friendship is divided into two forms of friendship by the extent of intimacy, friendships with friends in school and close friends, we investigate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two forms of friendships and depression respectively. The longitudinal data was from third, fourth, and fifth wave of the Korean Adolescent Policy Research Institut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 effects of friendships with friends in school on depression was significant, but the effects of depression on friendships with friends in school was not. Second,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effect of friendships with close friends on depression was not significant, but the effect of depression on friendships with friends in school was. These results mean that friendships with friends in school is a predicting variable and friendships with close friends is an outcome of depression, and imply that the intervention to reduce depression should be focused on positive friendships with friends in school.

      • KCI등재

        실패공포와 학업적 지연행동 간의 관계

        추상엽(Choo Sang-Yup),임성문(Lim Sung-Moo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한국청소년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실패공포가 고등학생의 학업적 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회피목표가 1차 매개 변인이고 인지적 의지통제가 2차 매개변인인 경로모형(실패공포→회피목표→인지적 의지통제→학업적 지연행동)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 모형의 회피목표가 인지적 의지통제에 미치는 경로에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부모의 성취압력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충북, 충남에 소재한 6개 고교에서 설문조사한 후 683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매개와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은 관찰된 자료와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패공포가 학업적 지연행동에 곧바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기보다, 실패공포가 높을수록 회피목표가 증가하게 되고, 증가된 회피목표는 인지적 의지통제를 감소하게 하고, 감소된 인지적 의지통제는 학업적 지연행동을 증가시키게 됨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본 연구모형에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부모의 성취압력은 자녀의 회피목표가 인지적 의지통제에 미치는 경로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만성적 학업적 지연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직접적으로 실패공포를 다루는 개입뿐만 아니라, 높은 수준의 회피목표를 낮추어가되 부모의 성취압력과 심리적 통제를 고려하는 개입 및 부족한 인지적 의지통제를 증진시키는 개입이 병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a pass model in which fear of failure affects avoidance goals. Avoidance goals, in turn seem to affect the orientation of cognitive volition control, and this has an effect on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procrastination. Furthermore, whether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chievement pressure have any moderating effects in the pathway from the avoidance goal to cognitive volition control on our pass model were also investigated. Data were collected from 683 students in six high schools. For the analyses of the mediating effects and moderating effec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was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ss model was identified to fit the observed data. This means that avoidance goals increased as fear of failure rises, the increased levels of avoidance goals decreasedcognitive volition control, and the decreased levels of cognitive volition control increase the level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Secon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avoidance goals and cognitive volition control on our mod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erventions which deal with avoidance goalsand cognitive volition control are needed, in order to reduce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procrastination caused by the fear of failure. These imply, additionally, that when counselors try to reduce the high levels of avoidance goals, they should consider the levels of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and psychological control at work as influences.

      • KCI등재
      • KCI등재

        가족구조가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성취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비관성의 조절효과

        염연옥,추상엽,임성문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7 청소년상담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which are psychological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ucture(single parent family or both parents family) and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Furthermore, it was investigated whether student's optimism/pessimism, has a moderating effect in this mediating pass model. Data were collected from 981 high school students(476 males, 505 females; 888 both parents family, 93 single parent family) who completed Achievement Motivation Scale, Academic Self-efficacy Scale, Life Orientation Test. For analyse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goodness of fit and multiple sample analysis, which allows testing whether a pattern of relationship is invariant across different samples, were used. The results follow. First, it was revealed that achievement motiv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completely mediate in the process which family structure influences academic achievement. This shows that family structure affects achievement motivation, achievement motivation affects academic self-efficacy, and finally academic self-efficacy affects academic achievement. Second, while optimism did not have any moderating effects, pessimism moderated only the pathway between achievement motiv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These results suggest that for preventing the decline of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in one parent families, it is needed to enhance achievement motiv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and to reduce their pessimism as risk variable through educational counseling. 본 연구는 가족구조가 자녀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전 연구들에서 다루어 왔던 환경 및 부모 변인 대신에 자녀의 개인 특성변인에 주목하여 매개와 조절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가족구조 → 성취동 기 → 학업적 자기효능감 → 학업성취의 경로모형을 구성하여 성취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 증하고, 나아가 이 모형의 성취동기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이르는 경로에서 낙관성/비관성의 조절효과를 검 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소재한 8개 고교 총 981명(남학생 476명, 여학생 505명)에게 성취동기 검사,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 삶의 지향성 검사를 실시한 다음,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족구조와 학업성취 간의 관계에서 성취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매개변인 역 할을 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양부모 한부모가정의 여부는 자녀의 성취동기에 영향을 미쳐 한부모가정의 자녀일 수록 성취동기가 낮고, 성취동기가 낮을수록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낮고, 이는 결국 학업성취 저하를 가져오게 됨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비관성은 성취동기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이르는 경로에서 조절효과를 보였다. 즉, 학생의 성취동기수준이 높을 때, 높은 수준의 비관성을 갖게 되면 낮은 수준에 비해 훨씬 더 크게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떨어뜨려, 높은 성취동기에도 불구하고 상응하는 학업성취를 얻지 못하게 됨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한부모 가정 자녀의 학업성취 저하를 막기 위해서는 한부모가정 자녀의 성취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을 증진시키고 비관성이 주는 부정적 영향을 낮출 수 있는 상담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 KCI등재

        유학생의 문화적응전략, 민족유형과 심리적 안녕감, 우울의 관계

        김현옥,추상엽,임성문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0 No.1

        In some studies regarding acculturation strategies developed Berry(1997), not the preference for integration, but the preference for assimilation showed the best adjustment, which is different from the results of the majority of studies. For the reason of these results, we supposed that when the people of the host society expect the minority members to be assimilated to the host society and the minority members have very similar culture to the host society, the preference for assimilation in the minority members would show the best adjustment. And we tested this hypothesis with Korean-Chinese who had very similar culture to Korean culture and Han-Chinese who had very different culture from Korean culture. For two hundred and twenty five students(63 Korean-Chinese and 162 Han-Chinese), we asked them to complete a questionnaire including Acculturation Strategies Scal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and Depression Inventory. Data from the survey were analysed using two-way ANOVA. As a result, the interaction effect of acculturation strategies and ethnic types affected both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pression. In details, for Korean-Chinese students, the preference for assimilation showed the highest level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lowest levels of depression, but the preference for integration showed the lowest level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highest levels of depression. For Han-Chinese students, the preference for integration showed the highest level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lowest levels of depression, and the preference for marginalization showed the lowest level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highest levels of depression. We discussed the meanings of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interventions to help chinese students adjust Korean society. Berry(1997)가 제시한 문화적응전략에서 통합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응적이라고 보고된 대부분의 연구결과와 달리 근래 몇몇 연구들에서 동화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적응적임을 보여주었다. 그 이유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는 주류사회가 이주자들에게 주류사회에 동화되기를 기대하고 있고 이주자가 주류사회와 유사한 문화를 가지고 있을 때 동화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응적일 것이라고 추론하고, 이 추론을 한국문화와 유사한 문화를 가지고 있는 중국조선족 유학생과 전혀 다른 문화를 가지고 있는 중국한족 유학생을 대상으로 검증해 보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조선족 유학생 63명과 중국한족 유학생 162명을 대상으로 문화적응전략, 심리적 안녕감, 우울 척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심리적 안녕감과 우울을 종속변인으로 하는 4(문화적응전략)☓2(민족유형) 이원변량분석을 사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심리적 안녕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모두에서 문화적응전략과 민족유형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즉 예측대로 중국조선족 유학생의 경우 동화를 사용할 때 가장 높은 심리적 안녕감과 가장 낮은 우울을 보였다. 그러나 통합을 사용할 때 가장 낮은 심리적 안녕감과 가장 높은 우울을 보였다. 중국한족 유학생의 경우 예측대로 통합을 사용할 때 가장 높은 심리적 안녕감과 가장 낮은 우울을, 주변화를 사용할 때 가장 낮은 심리적 안녕감과 가장 높은 우울을 보였다. 연구결과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중국유학생의 적응을 돕기 위한 개입 방안에 대한 함의를 기술하였다.

      • KCI등재

        완벽주의와 자기구실 만들기 간의 관계:성취목표의 매개효과

        오지은,추상엽,임성문 한국상담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3 No.1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self-oriented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s on self- handicapping. Authors tested the mediation model in which achievement goals mediated the effects of self-oriented or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self-handicapping. Data from 705 students in six middle and high schools were analyzed using both multiple regress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ndings in this study showed that self-oriented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s produced negative and positive influences on self-handicapping, respectively. Resul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exhibited that a self-oriented perfectionism directly affected self-handicapping without any mediators of achievement goals, bu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ffected self-handicapping through the mediator of performance -avoidance achievement goal as well as its direct effect. Interpretations on the current results which are not consistent with those in previous study are given and discussed. Additionally,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s designed to reduce the levels of self-handicapping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첫째로 청소년의 자기구실 만들기에 미치는 자기 지향적 완벽주의와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둘째로 자기 지향적 완벽주의 및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가 자기구실 만들기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성취목표의 세 하위유형들이 매개하는 경로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충청북도, 충청남도에 소재한 6개 중․고등학교에서 설문조사한 후 705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중다회귀 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으로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자기 지향적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자기구실 만들기는 감소하였고,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자기구실 만들기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 지향적 완벽주의는 성취목표를 매개하지 않고 자기구실 만들기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만,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는 자기구실 만들기에 대한 직접 영향뿐 아니라 수행회피 성취목표를 매개로 자기구실 만들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선행연구와 일부차이를 보인 결과에 대한 해석 및 청소년의 자기구실 만들기 감소를 위한 시사점과 구체적인 개입 방안이 기술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