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의 문화경제전략과 미술품 유동성 활성화에 관한 연구 - 문화청의 선진미술관 정책 추진을 중심으로 -

        추민희 한국예술경영학회 2019 예술경영연구 Vol.0 No.51

        Recently, the Japan Cultural Agency announced a plan for revitalizing the art market represented by reading museums (advanced art museums) to promote industry through strengthening the sustainability and economics of art museums. Along with these policy announcements, the Japanese cultural system and Bypyeongje are divided into pros and cons, and there has been a heightened opposition, which is now in a state where policy promotion has been temporarily suspended. The opposite reason is that it does not meet the museum’s inherent purpose of preservation and lore, and the reason for favoring that commercialism can ruin the art world is that the Japanese art society is other than art museums and museums Also, it consists of non-profit organizations, art festival administration organizations, support staff, volunteers, etc., but because of the high subsidy bias, no real labor costs are paid, which means that it is virtually neglected. Also, there is a vigilance that the art society itself, which reduces its reliance on subsidies in response to social changes, can survive. Seeing that the situation is not much different from Japan, Korea is also actively discussing new establishments of the National Art Bank, performing art appraisal and evaluation functions for revitalizing art works, art loan, art trust, etc. There is. As it is difficult to solve realistic problems with subsidies from the future situation, it is difficult for us to expand investment in culture, and culture and economy are united and linked. You will find a plan to make it operational. In this regard, it is thought that the examination of the cultural and economic agency’s strategy, represented by the Japanese advanced art museums, gives us a meaningful suggestion. 최근 일본 문화청은 미술관의 지속 가능성과 경제성 강화를 통한 산업증진 등을 위하여 리딩 뮤지엄(선진미술관)으로 대표되는 예술시장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였다. 인구감소 시대로 진입함에 따라 인구절벽과 지역사회 공동화 등은 큰 사회적 문제이다. 문화의 향유자와 창조자 모두 급감하여 문화 기반 자체가 붕괴할 위험이 있고, 문화지원 예산이 현안에 밀려 현재의 문화 지원의 수준도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다. 또한 일본 국민의 자산 수준이 국제적으로 보아도 높은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미술산업 시장은 미국, 중국 등에 비하여 매우 낮은 수준이다. 일본 정부는 해결방안으로 미술품의 유동성을 증진방안을 채택하였다. 일본 내 미술관의 일부를 미술 시장 활성화를 위한 선진미술관으로 지정하여 예산 지원과 학예사 인력을 증원과 체질을 강화한 후 소장 미술품 등의 가치를 평가하여 수장품의 보존 여부를 판단 후 투자유치를 위하여 소장품을 시장에 매각하겠다는 전략이다. 정책 발표와 함께 문화계와 비평계가 찬반으로 나뉘어 큰 갈등에 휩싸였고 반대 여론이 높아져 현재 정책 추진이 잠정 유보된 상황이다. 반대 이유로는 보존과 전승이라는 박물관의 고유 목적에 부합하지 않고 상업주의가 예술계를 망칠 수 있다는 것이고 찬성 이유는 일본의 예술사회는 미술관과 박물관 이외에도 비영리단체, 예술제의 운영조직, 지원인력, 자원봉사자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보조금 편향성이 높다 보니 실질 인건비도 지급하지 못하여 사실상 방치상태라는 것이다. 또한, 사회 변화에 따라 보조금 의존도를 줄여야 예술사회 자체가 살아남을 수 있다는 경각심도 나타나고 있다. 일본과 상황이 크게 다르지 않다 보니 우리나라 역시 미술품 유동성 활성화를 위한 미술품 감정ㆍ평가기능 수행하는 국립미술은행의 신설이나 미술품 담보대출, 미술품 신탁 등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절벽이 현실로 다가오는 상황에서 보조금만으로 현실적 문제를 타개하기 어려우므로 우리 역시 문화에 대한 투자를 확충시켜 문화와 경제가 일원적으로 운용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기후 변화 대응 방안을 위한 문화예술의 역할:문화예술의 사회적 책임을 중심으로

        추민희 국제문화&예술학회 2023 국제문화예술 Vol.4 No.3

        Purpose: The COVID-19 pandemic has given us an opportunity to increase awareness of climate change and recognize the need for climate change response measures in the cultural field. Based on this, this study aims to provide climate change response measures by analyzing the role of culture and arts in climate change response through case studies centered on social responsibility. Methods: This study utilized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as research methods.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we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le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cultural arts, and examined climate change response measures through international case studies. Result: As a result, we identified five implications of the role of culture and arts for climate change response. ① Culture and art can serve a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protection of ecosystems and biodiversity. ② Culture and art can be an important medium for raising awareness of climate issues. ③ Activist cultural education can be used as an effective way to raise awareness of climate change issues. ④ When faced with social issues, arts and culture can help solve problems visually and audibly. ⑤ Culture and the arts can be seen to strengthen social responsibility through cooperation and networking. Based on the above, we have suggested way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Conclusion: First, public participation in climate action should be a priority. Second,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and collaboration, a hybrid approach, is an important key to problem-solving for climate change responses in the cultural sector. Third, sustainable collaborative networks can enhance climate change responses in the arts. The study concludes that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the arts is necessary and that the role of the arts as a social responsibility is a significant one.

      • KCI등재후보

        인공지능시대 대체 불가능한 예술인의 역할과 대안들: 인공지능모델의 예술창작 사례를 중심으로

        추민희 국제문화&예술학회 2024 국제문화예술 Vol.6 No.2

        연구목적: 인공지능이 발달하면서 인공지능이 만든 작품들이 인간의 작품과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발전하고있으며, 이는 예술계에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다. 인공지능의 발전이 예술인을 대체할 수는 없겠지만, 예술창작 방식을 변화시키고, 예술인들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줄 것이다. 본 논문은 인공지능 모델의 예술창작 사례를 분석하여 인공지능시대 대체불가능한 예술인의 역할과 대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문헌 연구를 통해 인공지능의 발달로 인한 예술인의 창작구조의 변화와 예술인의 역할을 탐색하였고, 국외 사례연구를 통해 대체 불가능한 예술인의 역할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예술인은 인공지능이 예술작품을 잘 생성할 수있도록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스템 조작자이며, 인공지능으로 생성될 작품의 예술감독이다. 또한, 인공지능을 함께작업하는 협력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결론: 인공지능의 시대 예술은 인간의 창의성과 감성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주장은 매우 중요한 논점으로 볼 수 있다. 인공지능이 예술 작업에 참여함으로써 기술적 가능성을확장시키고 있지만, 예술의 본질은 인간의 독창적인 경험과 감정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인공지능시대 예술인의 역할은 인공지능의 발전을 수용하면서 인간만의 창의적 표현을 통해 예술의 본질을 유지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Purpose: As artificial intelligence advances, artworks created by AI are becoming indistinguishable from human artworks, raising fundamental questions for the art world. Althoug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cannot replace artists, it will change the way art is created and open the way for artists to realize their full potential. This paper analyzes the case of artistic creation based on A.I. models to explore the role and alternatives of irreplaceable artists in the A.I. era. Method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we explored the changes in the creative structure of artists and the role of artists due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xamined the role of irreplaceable artists through international case studies. Result: Artists are the manipulators of the systems that generate the data that enables the AI to create art, and they are the artistic directors of the artwork that will be created by the AI. They also play an important role as collaborators with the AI. Conclusion: In the age of AI, the argument that art should be centered on human creativity and emotion is an important one. While AI is expanding the technological possibilities by participating in artistic endeavors,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the essence of art comes from the unique human experience and emotions. The role of artists in the AI era will be to embrace the advancement of AI while maintaining and developing the essence of art through human creative expression.

      • 인공지능시대 대체 불가능한 예술인의 역할과 대안들: 인공지능모델의 예술창작 사례를 중심으로

        추민희 ( Chu Min-hee ) 국제문화&예술학회 2024 국제문화예술 Vol.5 No.2

        연구목적: 인공지능이 발달하면서 인공지능이 만든 작품들이 인간의 작품과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는 예술계에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다. 인공지능의 발전이 예술인을 대체할 수는 없겠지만, 예술창작 방식을 변화시키고, 예술인들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줄 것이다. 본 논문은 인공지능 모델의 예술창작 사례를 분석하여 인공지능시대 대체불가능한 예술인의 역할과 대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문헌 연구를 통해 인공지능의 발달로 인한 예술인의 창작구조의 변화와 예술인의 역할을 탐색하였고, 국외 사례연구를 통해 대체 불가능한 예술인의 역할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예술인은 인공지능이 예술작품을 잘 생성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스템 조작자이며, 인공지능으로 생성될 작품의 예술감독이다. 또한, 인공지능을 함께 작업하는 협력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결론: 인공지능의 시대 예술은 인간의 창의성과 감성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주장은 매우 중요한 논점으로 볼 수 있다. 인공지능이 예술 작업에 참여함으로써 기술적 가능성을 확장시키고 있지만, 예술의 본질은 인간의 독창적인 경험과 감정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인공지능시대 예술인의 역할은 인공지능의 발전을 수용하면서 인간만의 창의적 표현을 통해 예술의 본질을 유지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Purpose: As artificial intelligence advances, artworks created by AI are becoming indistinguishable from human artworks, raising fundamental questions for the art world. Althoug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cannot replace artists, it will change the way art is created and open the way for artists to realize their full potential. This paper analyzes the case of artistic creation based on A.I. models to explore the role and alternatives of irreplaceable artists in the A.I. era. Method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we explored the changes in the creative structure of artists and the role of artists due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xamined the role of irreplaceable artists through international case studies. Result: Artists are the manipulators of the systems that generate the data that enables the AI to create art, and they are the artistic directors of the artwork that will be created by the AI. They also play an important role as collaborators with the AI. Conclusion: In the age of AI, the argument that art should be centered on human creativity and emotion is an important one. While AI is expanding the technological possibilities by participating in artistic endeavors,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the essence of art comes from the unique human experience and emotions. The role of artists in the AI era will be to embrace the advancement of AI while maintaining and developing the essence of art through human creative expression.

      • KCI우수등재

        해외 문화재 등의 국내 전시에 대한 법적 규제 ― 문화행정법의 새로운 과제 ―

        성봉근,추민희,박혜련,진정환 한국공법학회 2017 공법연구 Vol.46 No.1

        In the view of the constitutional ideology that pursues the cultural state, legislative deficiencies arise in the field of cultural administrative law which embodies this. Even if we try to bring in cultural assets, museum materials, and artworks, which are located in the foreign countries, in Korea, it is not ready for the legislation on the Culture Administrative Law. That is significant problem. Recently, the countries that have a lot of cultural assets, such as Japan, France, and Iran etc, have presented us with legal conditions for legal protection of these items as conditions for renting for exhibitions in our country. Although the principles of a cultural state are declared in the Constitution, there is a lack of legislation that can harmonize the Cultural Rights in the field of cultural administrative law that embodies these constitutions.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Korean people to have access to exhibitions in Korea for diverse and abundant overseas cultural assets, overseas art objects, and overseas museum materials. How can we find solution for these issues legitimately? Legislation for the prevention of foreclosure of cultural properties is intended to ensure that even if exhibited cultural assets are not seized, it is a “Legal Instrument” that can promote exhibition and exchange. This does not deny the legitimacy of restitution, such as plundering, deception, and forcibly exported cultural properties. However, the return of it can be very long time because political, diplomatic and economic problems are complex entangled. Therefore, there is a public duty in the cultural country that provides an opportunity to enjoy the culture through the exhibition separately from the resolution of the dispute. The way of ‘Exhibition after return’ takes a long time to resolve the dispute and is costly. It is very unclear whether the objective of exhibiting cultural assets will be achieved. Therefore, to be able to take the way of ‘return after the exhibition’ is to resolve the conflicting values harmoniously. For this purpose, there is a need to make temporary protected exhibit of cultural assets from seizure possible so that they can pursue harmoniously while respecting conflicting values such as justice for return of it and cultural rights. Return of ownership is a permanent task, but the exhibition of cultural properties is a tentative task. Not only is it logically compatible, it is not necessarily against the legal sense. Therefore, I would like to create and present the legislation that is lacking in the specific cultural administrative law field.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hall establish discretionary rules for the protection of these items and propose legislation on procedures, deadlines, and details. I also tried to provide a legal theoretical basis for the field of cultural administrative law. In particular, the ‘Steering State’ and the ‘the Principle of the Distance’ that should be applied to the Cultural State. It is proposed as a way of approaching the cultural realm, in which the cultural autonomy should be respected and exceptionally intervened by that principle. 문화국가를 추구하는 헌법적 이념에 비추어 이를 구체화하는 문화행정법 분야에서 입법의 흠결이 발생하고 있다. 해외에 소재해 있는 문화재, 박물관자료, 미술품 등을 국내에 들여와서 전시를 하고자 하여도 문화행정법에 대한 입법이 되어 있지 않아 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 일본, 프랑스 , 이란 등 분쟁 대상이 되는 문화재를 많이 소유하고 있는 나라들이 우리에게 이들 물품에 대한 법적 보호를 위한 입법이 되어 있는지를 우리 국내에서의 전시를 위한 대여조건으로 제시해 오고 있다. 문화국가의 원리가 헌법에 선언되어 있지만, 이러한 헌법을 구체화하는 문화행정법 분야에서 문화향유권을 조화롭게 보장할 수 있는 입법이 흠결되어 있다. 따라서 우리 국민들은 다양하고 풍부한 해외 문화재, 해외 미술품, 해외 박물관 자료 등에 대하여 국내에서 전시를 접할 기회가 매우 어려운 상황에 있다. 이러한 문제를 어떻게 입법적으로 해결할 것인가? 문화재 압류방지를 위한 입법은 문화재를 전시하더라도 압류당하지 않도록 보장하겠다는 취지에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전시 및 교류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법적인 장치’(Legal Instrument)이다. 이는 약탈되거나 절취 및 강제로 반출된 문화재 등에 대한 반환(Restitution)의 정당성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다. 다만, 그 반환은 정치적이고 외교적이며 경제적인 문제들이 복잡하게 얽혀져 있어서 시간이 매우 오래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분쟁의 해결과 별도로 전시를 통한 문화향유의 기회를 제공해 주는 공적인 과제(Aufgabe)가 문화국가에게 있다. ‘선반환 후전시’(先返還 後展示)는 분쟁해결을 위한 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비용도 많이 요구되며. 문화재 전시 기회의 목적을 달성할지가 매우 불분명하다. 따라서 ‘선전시 후반환’(先展示 後返還)이라는 방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충돌하는 가치들을 조화롭게 해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충돌하는 정의와 문화재 향유권 등 상충되는 가치들을 모두 존중하면서도 조화롭게 추구할 수 있도록 국민들에게 분쟁의 소지가 있는 문화재들을 잠정적으로 전시의 기회를 제공하는 입법을 할 필요성이 있다. 소유권 반환은 영구적인 과제이지만, 문화재 전시는 잠정적인 과제이기 때문이다. 논리적으로 양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법감정에도 반드시 반한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문화행정법 분야에서 흠결된 입법의 모델을 만들어서 제시해 보고자 한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의 이들 물품의 보호결정에 대한 재량규정을 신설하고 이에 대한 절차 및 기한, 그리고 세부적인 내용들에 대한 입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문화행정법 분야에 대한 법이론적 기반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특히 국가가 문화영역에 대한 접근방식으로서 종래의 규제국가에서 탈피하여 문화의 자율성을 존중하고 예외적으로 개입하여야 한다는 ‘제어국가의 국가관’과 이에 적용하여야 할 ‘거리의 원칙’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광학현미경 관찰을 위한 동물 조직표본 제작과정에서 고정 및 염색의 중요성

        송기성,전유미,허해주,김현지,김예진,김소희,추민희,신윤지,김정탁,이지학,이경석,김완종 순천향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17 순천향자연과학연구 논문집 Vol.23 No.1

        Microscopy goes through various steps toward identify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issues, especially after tissue extraction. In the process of microscopy, the‘fixation’and‘staining’are indispensable steps. The fixation serves to prevent destruction of morphology through protein denaturation and promote mordancy of staining. A variety of staining methods can be used. The H&E staining is one of the methods that were used in microscopy to enhance contrast using hematoxylin and eosin. The present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need for tissue fixation and double staining. Kidney, liver, pancreas and testis of rats were targeted to observe of the tissue specime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fixed tissue sections were effectively stained and clearly observed. While the morphology of tissue sections that were not fixed also resulted in much destruction of the tissues. In conclusion, fixation with formalin and double staining with hematoxylin and eosin made detailed morph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